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창업/취업
10대 그룹 직원 60만명···삼성전자 10만명 최다

10대 그룹 상장사에 근무하는 직원이 10년 만에 50%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드러났다. 2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10대 그룹 상장 계열사 91곳의 직원은 모두 61만7485명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 말 국내 전체 취업자 2496만2000명의 2.5%에 달하는 수치다. 직원이 가장 많은 회사는 삼성전자로 9만5794명이다. 현대차(6만399명), LG전자(3만8363명), LG디스플레이(3만3643명), 기아차(3만3576명), 롯데쇼핑(2만6943명), 대한항공(1만8347명), 삼성중공업(1만3546명), LG화학(1만2617명), 삼성전기(1만2440명), 현대제철(1만663명) 등 13곳의 직원 수가 1만 명이 넘었다. 10년 동안 직원 수도 크게 늘어났다. 비교치가 있는 10대 그룹 상장사 80곳의 직원 수를 살펴보면 2003년 말 40만2683명에서 지난해 말 59만1904명으로 47% 증가했다. 삼성전자 직원은 2003년 말 5만5379명에서 지난해 말 9만5794명으로 73%나 늘었다. LG디스플레이(2만6214명, 352.9%), 롯데쇼핑(1만9189명, 247.5%), 현대차(1만1628명, 22.6%), LG전자(1만680명, 38.6%)의 증가폭도 컸다. 근속연수는 현대차와 현대중공업 계열사가 긴 편으로 나타났다. 직원 평균 근속연수는 현대차 계열의 현대비앤지스틸이 18.8년으로 가장 길고 기아차 18.2년, 현대중공업 18.0년, 현대차 16.8년, 현대미포조선 15.3년 등의 순이었다. SK텔레콤(1억500만원)과 삼성전자(1억200만원)의 직원 평균 연봉이 1억원을 넘었다. 현대차와 기아차의 평균연봉이 각각 9400만원으로 뒤를 이었고 SK 9000만원, 현대모비스와 삼성물산이 각각 8700만원, 삼성정밀화학과 제일기획이 각각 8400만원이다.

2014-04-21 14:35:52 이국명 기자
서울시교육청 “학원 규제 완화 의견 1위”

서울시교육청이 교육행정 규제개혁을 위한 전수조사를 시행한 결과 학원과 관련된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이 나온 것으로 확인됐다. 시교육청은 최근 '교육행정 규제개혁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본청과 산하 기관, 일선 초·중·고교에 불합리하거나 불필요한 것으로 인식되는 규제사무를 제출하도록 했다고 21일 밝혔다. 그 결과 지난 18일까지 본청 각 과에서 약 50건의 규제사무를 제출했으며 이중 절반가량이 학원과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학원정책 담당 부서인 평생교육과는 28건의 학원·교습소 등 관련 규제 중 21건에 대해 규제 완화 또는 폐지가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냈다. 현행법상 학원이 교습비 이외에 받을 수 있는 기타 경비는 모의고사비·재료비·피복비·급식비, 기숙사비, 차량비로 제한되지만, 학원에서 제작한 교재는 실비를 받을 수 있도록 법률 개정을 검토해달라고도 제안했다. 이외에 개인과외 신고 시 제출해야 할 서류 중 학력증명서는 빼고, 교습소를 설립·운영할 때 교습자의 자택주소는 기재하지 않게 완화하자고 건의했다. 현재 외국인학교 입학자격은 외국인의 자녀나 일정기간 외국에서 체류한 내국인으로 제한되지만, 국내 학교에 적응하지 못한 귀화자 자녀도 입학할 수 있도록 규제를 풀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또 공립고등학교는 경제적 사정, 천재지변 등의 이유가 있을 때 교육감의 승인을 받아 수업료와 입학금을 현원의 15%(특성화고는 30%) 이내에서 면제·감액할 수 있는데 담당 부서는 이런 비율 제한을 없애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봤다.

2014-04-21 12:04:58 윤다혜 기자
SK 공채에 한국사 필기시험 추가

SK그룹은 상반기 신입사원 및 인턴 공채부터 SKCT(SK Competency Test) 인적성검사 필기시험에 한국사 영역을 추가하고 문항의 심층성을 대폭 강화한다고 20일 밝혔다. 지난해 하반기 공채부터 직무수행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도입한 SKCT 인적성검사는 인지역량, 실행역량, 직무수행, 심층역량 영역으로 구성돼 있으며 올 상반기부터는 한국사 영역이 새롭게 추가된다. SK 관계자는 "지원자가 한국사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필기시험에 역사영역을 추가했다"며 "올해 상반기 필기시험에 역사 문제가 10문항 출제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특히 종합적인 사고능력과 문제해결 역량을 검증하기 위해 문항의 심층성을 강화해 경영, 경제, 언어, 논리적 유추, 수리 등에 관한 복합적인 사고를 요구하는 문제를 늘렸다. 지문도 상대적으로 길어졌다. SK는 또 상반기 채용요강을 공고하면서 필기시험에서 다뤄질 대표적인 문제 유형을 채용사이트(http://www.skcareers.com/CONTENT/KOREAN/POS/POS10021.aspx)에 공개했다. SK는 27일 동국대와 건국대에서 8000명의 서류심사 합격자를 대상으로 신입·인턴사원 선발을 위한 필기시험을 실시한다. 필기시험을 통과하면 각 관계사별 면접과 7∼8월 8주간 인턴십을 거쳐 9월 중 최종 합격자를 발표한다. 최종 합격하면 내년 1월부터 정식 신입사원으로 입사한다. SK는 아울러 상반기 채용과정에서 그 해 입사한 신입사원이 구직자를 1대1로 만나 취업 정보를 알려주는 '멘토링 카페'에 대한 호응이 높아짐에 따라 온라인 사전등록제를 도입해 대기시간을 줄였다고 전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실시한 멘토링 카페는 취업 성공담과 합격 노하우를 직접 들을 수 있어 취업 준비생들이 두시간 이상 기다리는 것은 예사고 일부는 대기인원이 많아 발길을 돌리기도 했다. SK는 또 지방에 거주하는 취업 준비생들이 면접을 위해 서울로 상경하는 불편함을 피할 수 있도록 지난 7일부터 4일간 부산, 대구, 대전, 광주 등 전국 4개 주요 도시에서 '찾아가는 채용'을 실시했다.

2014-04-20 10:05:07 김두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