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 공교육' 시작되나...'KB' 전환 과정은 필수
공교육 과정의 'IB(International Baccalaureate,국제공인평가·교육과정)' 도입이 시사되면서 교육계에 논의의 장이 열리고 있다. 다만 고교 서열화 분위기를 잡지 못한 한국 교육에 'IB'가 그대로 수용될 경우, 대입 유리 구조를 갖출 수 있어 한국식의 'KB(Korea Baccalaureate)' 전환이 필요하다는 우려가 나온다. 23일 교육계에 따르면 'IB' 공교육 도입 의견이 높아지면서 논의가 확산되고 있다. IB 교육이란, 1968년 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둔 비영리 교육재단인 IBO가 개발한 국제 공인 교육 프로그램이다. 주로 학습자의 내적 성장을 추구하기 때문에 논·서술과 프로젝트 기반의 정성평가를 진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최근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이하 사걱세) 등 3개 교육시민단체도 '교육부 10대 교육개혁 정책에 대한 교육 3개 단체의 평가 결과'를 발표하면서 'IB교육'의 도입을 시사했다.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 위성곤 더불어민주당 의원, 경기도교육청, 대구시교육청, 부산시교육청등 등 여아 의원과 교육청 역시 'IB, 공교육 도입 의의와 과제'를 주제로 공청회를 개최했으며, 경기도교육청과 한국대학신문은 '미래교육 IB 포럼'을 공동 주관하기도 했다. 한성준 좋은교사운동 공동대표는 "내신에서도 외부에서 검증해 주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보는데 'IB' 방식이 이와 같다"며 "내신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도 외부에서 교사들의 내신 평가에 대해 검증해 주는 지원 체계가 구축돼야 한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지역 교육청이나 교육청에서 설치된 지원 평가가 교사들의 내신 평가 기준을 보증해 준다면 A 고등학교와 B 고등학교의 'A' 등급이 동일하게 여겨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사걱세 등 3개 단체는 IB 도입 자체에는 찬성하는 입장이지만 현 교육부가 추진하는 대학의 자율권 확대와 맞물릴 경우 IB 고교는 대학 입시에서 날개 달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IB학교와 IB 과정에 대한 특혜가 주어질 경우, 고교 서열이 더 세분화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현재 한국의 고교 서열화 기류를 제대로 잡지 않은 채로 IB교육이 도입된다면 오히려 '대입 유리 고교', 일명 '귀족학교'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날 발표에서는 이를 막기 위해 어려운 지역부터 순차적으로 진행돼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전반적으로 교육부 주도하에 이뤄질 'KB' 전환 로드맵을 만들어 가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의견이다. 대구 등 지역 내에서 효과가 입증되면서 특히 지역 교육청들의 주목을 받는 모습이다. 예를 들어, 초중고교 모두 IB교육을 실시하고 제주도 표선면에서는 IB교육을 받고자 전학 오는 학생들이 늘어나고 있다. 표선면의 지난해 출생아는 22명으로 지역 소멸 위험 지수 0.37을 기록했지만 전학생이 대폭 증가하면 상황이 역전되고 있다. 표선초교의 재학생은 2020년 240명에서 지난해 336명으로, 표선중은 306명에서 365명으로 증가했다. 다만 현재의 IB 방식을 한국 교육에 그대로 수용하는 것은 악용의 여지가 있기 때문에 한국만의 'KB' 전환이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이 높다. 여기서 말하는 KB는 IBO와는 별개로 한국의 주체적 교육 철학에 근거해, '열린 교육, 꺼내는 교육'에 맞는 교육 내용, 수업 방식, 평가 방식을 정부 차원에서 전적으로 책임지고 진행하는 체제를 의미한다. /신하은기자 godhe@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