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쇼크' 가상자산 시장 강타…비트코인 8만달러 '붕괴'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촉발한 '관세 쇼크' 여파에 가상자산이 약세를 지속하고 있다. 지난 5일 보편관세 시행에 이어 오는 9일 '상호관세' 시행을 앞두고 위험자산 투자가 위축된 모습이다. 가상자산 대장주인 비트코인 가격은 8만 달러 아래로 떨어져 트럼프 당선 이후 치솟았던 가격 상승분을 대부분 반납했다. 8일 가상자산 시황중계사이트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가상자산 대장주인 비트코인 가격은 이날 오후 1시께 1BTC당 약 7만9900달러(1억1750만원)에 거래됐다. 전일 대비 3% 오른 수준이지만, 비트코인 가격이 하루 만에 10%가량 급락한 전일의 하락을 일부 만회하는데 그쳤다. 1월 22일 기록한 연중 최고가인 10만6100달러와 비교해선 24.7% 내려 트럼프 취임 이후 최저 수준을 지속했다. 알트코인(비트코인 이외의 가상자산)의 하락은 더 두드러졌다. 이날 시가총액 2위인 이더리움(ETH)은 1587달러에 거래되며 연중 최고가 대비 57%의 하락을 기록했고, 시총 3위인 리플은 1.90달러에 거래돼 42% 하락을 기록했다. 가상자산 가격이 하락한 것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일 공표한 보편관세·상호관세가 지체없이 시행될 것이란 전망에 세계적으로 위험자산 선호가 위축됐기 때문이다. 트럼프는 지난 2일(현지시간)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물품이 10%의 관세를 부과하는 '보편관세'와 대(對)미 무역 흑자가 많은 25개국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상호관세' 정책을 공표했다. 보편관세는 지난 5일 발효됐고, 상호관세는 9일부터 부과된다. 보편관세 시행 이후 시장에서는 트럼프가 상호관세를 유예하고 협상에 나설 것이란 관측도 나왔다. 그러나 트럼프가 관세보다 앞선 협상은 없을 것이라고 못을 박으면서 위험자산이 급락했다. 지난 7일 하루 동안 코스피는 5.25%, 일본 닛케이 지수는 7.76% 내렸고, 유럽 증시도 4~5%대 하락을 기록했다. 트럼프는 지난 6일(현지시간) "중국과 EU를 비롯한 다른 국가와의 무역 적자를 해결하고 싶다"면서 "증시를 비롯한 어떤 것도 하락하길 원치 않지만, 때때로는 무엇인가를 고치기 위해 약을 먹어야 한다"라고 말했다. 트럼프는 관세보다 앞선 협상은 없을 것이라 강조했지만, 사후 협상 가능성은 열어뒀다. 협상 조건으로는 대(對)미 수입 확대를 조건으로 내걸었다. 시장에서는 '관세 전쟁'이 협상 국면으로 접어들면 위험자산 선호가 일부 회복될 것으로 관측했다. 트럼프는 관세의 협상 가능성에 관한 질문에 "관세는 영구 조치일 수도 있고, 동시에 협상의 수단이 될 수도 있다"면서 "미국에는 관세 외에도 필요한 것들이 있다. 외국이 닫았던 무역 국경을 개방해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현재 일본, 유럽연합(EU)과의 협상에 돌입했다. 앞서 미국은 일본에 24%, EU에 20%의 상호관세를 예고했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트럼프와 무역장벽 완화를 조건으로 협상 중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EU도 주류 등에 대한 보복관세 예고를 철회하고, 자동차 등 일부 품목에 대한 무역 장벽 완화를 조건으로 내건 것으로 알려졌다. 한 가상시장업계 관계자는 "트럼프가 일부 국가에 관세를 90일간 유예할 것이라는 소식에 가상자산 가격이 잠시 반등했지만, 오보라는 소식에 가격이 다시 하락 전환했다"라면서 "향후 관세 협상 추이에 따라 가격도 일부 회복될 수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안승진기자 asj1231@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