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은행 부실채권비율 0.77%…2008년 이후 '최저'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규모 및 비율 추이. /금융감독원 지난해 말 국내은행의 부실채권비율이 0.77%로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금융감독원이 9일 발표한 '2019년 말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현황(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말 국내은행의 부실채권비율은 0.77%로 전년 말(0.97%) 대비 0.2%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2008년 6월 말(0.70%) 이후 최저치다. 부실채권비율은 자산건전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다. 국내은행의 부실채권비율은 2016년 말 24.7%, 2017년 말 21.1%, 2018년 말 18.2%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부문별로 보면 기업여신 부실채권비율은 1.1%로 1년 전보다 0.32%포인트 하락했다. 대기업여신 부실채권비율(1.5%)은 전년 말 대비 0.60%포인트 감소했고, 중소기업여신 부실채권비율(0.89%)은 전년 말 대비 0.16%포인트 떨어졌다. 같은 기간 개인사업자여신 부실채권비율(0.35%)은 0.01%포인트 하락했다. 가계여신 부실채권비율은 0.25%로 1년 새 0.02%포인트 올랐다. 주택담보대출(0.19%)과 기타 신용대출(0.37%) 부실채권비율도 전년 대비 각각 0.02%포인트, 0.01%포인트 상승했다. 신용카드채권 부실채권비율은 1.12%로 전년 대비 0.08%포인트 하락했다. 지난해 국내은행의 부실채권은 15조3000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2조9000억원(-15.8%) 감소했다. 기업여신이 13조2000억원으로 전체 부실채권의 대부분(86.3%)을 차지했고 가계여신(1조9000억원), 신용카드 채권(2000억원) 순이었다. 신규발생 부실채권은 15조1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3조6000억원(-19.1%) 감소했다. 기업여신 신규부실은 11조5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4조1000억원(-26.6%) 줄었고, 가계여신 신규부실은 3조1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6000억원(+23.4%) 늘었다. 지난해 부실채권 정리규모는 18조원으로 전년보다 3조6000억원(-16.9%) 감소했다. 상각은 4조8000억원, 매각 4조1000억원, 담보처분을 통한 여신회수 4조1000억원, 여신 정상화는 4조원이었다. 지난해 대손충당금적립률은 113.2%로 전년 말(104.2%) 대비 9%포인트 올라갔다. 이는 100%를 상회하는 수준으로 최근 3년간 은행권의 대손충당금적립률이 상승하는 등 손실흡수능력이 양호한 것으로 평가됐다. 지방(97.6%)·특수(111.3%)은행이 시중은행(120.6%)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지만 지난 2018년 IFRS9 도입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감원 관계자는 "향후 신규부실 추이 등에 대해 지속 모니터링하는 한편 충분한 대손충당금을 적립함으로써 손실흡수능력을 강화해 나가도록 유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희주기자 hj89@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