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수수료 개편으로 혜택 9000억 감소"
올해 정부의 카드 가맹점 수수료 개편 방안으로 3년간 카드회원 혜택이 9000억 원 가량 줄어들 전망이다. 여신금융협회와 여신금융연구소는 4일 서울 중구 페럼타워에서 '여전사의 위기, 지속가능한 성장모색'이란 주제로 '제7회 여신금융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카드사의 영업환경 악화와 향후 성장방향'을 발표한 윤종문 여신금융연구소 연구위원은 카드사의 위험요인으로 ▲2018 카드수수료 재산정 ▲간편결제서비스 확대 ▲조달비용 및 대손비용 증가를 지적했다. 특히 윤 연구위원은 카드수수료 재산정으로 인해 개편 초기에는 상품에 탑재되지 않은 부가서비스가 축소되고 이후로 상품에 탑재된 서비스까지 점진적으로 없어지면서 연회비도 인상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내년에는 카드회원의 혜택 감소분이 1000억원, 2020년과 2021년은 각각 2000억원이 될 것으로 추정했다. 카드사의 당기순이익 손실분은 내년에 7000억원, 2020년 5000억원 2021년 3000억원 등으로 3년간 1조 5000억원의 손실을 예측했다. 다만 그는 "카드회원 혜택이 감소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단순하게 계산된 값으로, 향후 카드사들의 대응전략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윤 연구위원은 삼성페이,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페이코 등 다양한 간편결제 서비스가 나오면서 지급결제 시장을 잠식하고 있지만 서울시가 추진하는 제로페이의 영향은 "매우 미미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카드수수료 개편으로 매출액 30억원 미만의 가맹점의 제로페이 도입 실효성이 사라지게 됐다"며 "제로페이의 QR코드 방식이 편의성, 보안성, 범용성 측면에서 모두 플라스틱 카드보다 경쟁력이 낮다"고 말했다. 이어 윤 연구위원은 정부의 적격비용 체계에 대한 근본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국내 가맹점의 93%가 우대수수료율을 적용받게 되면서 적격비융의 유지당위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정치적 이슈에 따라 카드수수료가 인하되면서 3년이라는 적격비용 재산정 기간이 필요하냐는 설명이다. 그는 "외려 카드사의 수익이 악화될 경우 적격비용체계에 대한 카드사의 거부 가능성이 증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윤 연구위원은 편의성 보안성 범용성의 문제가 있는 QR코드보다 편의성과 보안성이 확인된 근거리 무선통신(NFC)결제방식이 활성화되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각 카드사가 개별적으로 빅데이터 사업을 하는데는 한계가 있음을 인지하고 카드사가 공동으로 빅데이터플랫폼을 개발해 데이터 제공규모에 따라 수익을 배분하는 체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