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
기사사진
손보협회, 서울시와 '안전속도 5030' 캠페인

손해보험협회는 서울시, 티맵, 카카오내비와 손잡고 '안전속도 5030' 제도 정착을 위한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25일 밝혔다. '안전속도 5030'이란 보행자 교통사망사고를 줄이기 위해 간선도로는 시속 50km, 이면도로는 시속 30km로 차량제한속도를 낮추는 정책이다. 국토부·경찰청이 주관하며 민관학 12개 단체가 참여하는 '5030 협의회' 주도로 추진되고 있다. 손해보험협회와 서울시 등은 이번 캠페인 기간 동안 제한속도를 준수하는 운전자에게 푸짐한 경품을 지급한다. 티맵(SK텔레콤)은 다음 달 1일부터 25일까지 사용자별 총 주행거리 중 과속 주행거리를 산출해 규정 속도 준수율이 높은 사용자 상위 1만명을 대상으로 엔진오일(5L) 교환권, 최상위자 400명에게는 엔진오일 교환권에 주유권 5만원권을 추가로 증정한다. 카카오내비(카카오모빌리티)는 오는 26일부터 다음 달 25일까지 카카오내비를 이용해 종로(세종로 사거리~흥인지문 교차로), 소월로, 북촌지구, 올림픽공원 등 '안전속도 5030' 적용 구간을 주행하면, 규정 속도 준수율이 높은 운전자 2000명을 무작위로 선정해 주유권을 경품으로 지급한다. 서울시는 서울경찰청과 함께 2016년 서울경찰청 주변, 북촌지구, 2017년 남산소월로, 구로G밸리, 방이동 일대에 '안전속도 5030'을 시범 적용하고 있다. 올해는 지난 6월 서울의 심장부 종로(세종로사거리~흥인지문교차로)의 제한속도를 60km에서 50km로 하향 조정한 데 이어 연내 서울지방경찰청과의 협의를 거쳐 사대문안 내부의 제한속도를 하향할 계획이다. 손해보험협회는 보행자 교통사고 사망자가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4185명)의 약 40%(1675명, 2017년 기준)를 차지하는 만큼 앞으로도 보행자 안전을 위해 유관기관 협력체계 구축 및 제도 홍보에 지속 협력할 예정이다.

2018-10-25 14:15:29 김희주 기자
기사사진
[2018국감]"수협, 노량진수산시장 등 적자 지속"

수협이 은행과 상호금융 분야에서는 지속적인 순이익을 내고 있는 반면 어민의 소득 창출로 연결되는 경제사업분야에서는 모두 적자를 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정부의 공적자금을 갚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2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정운천 의원(바른미래당)은 "수협중앙회와 은행만 순이익이 증가했고 수협유통, 노량진수산시장, 중국법인(위해수협국제무역유한공사) 등 경제사업분야는 적자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며 "경제사업분야는 어업의 수익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유통망임에도 어민들을 위해 노력한 흔적이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현재 수협유통의 바다마트는 지난 2017년 25곳의 점포 중 18곳, 72%의 적자가 발생했고, 중국법인은 지난 2017년 기준 3억 3500만원의 손실이 발생한 상태다. 특히 최근 수산시장 이전 문제로 갈등을 겪고 있는 노량진 수산물시장의 경우 지난 2015년부터 3년 동안 총 63억7800만원의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협중앙회 김임권 회장은 "질 좋은 수산물을 소비자에게 공급할 수 있는 바다마트의 경제적 여건이 최근 좋지 않다"며 "지적해 주신 의견을 수렴해 수산물 판매 비중을 의무화할 수 있는 지침이나 규정을 만들어 어업인의 수익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중국법인과 관련해서는 "최근 수협이 집중적으로 투자한 중국법인이 사드 이후로 중국과의 교류가 활발하지 않아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며 "중국법인과 자주 교류해 실적을 올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한편 이날은 수협중앙회의 공적자금과 억대 연봉자에 대한 문제도 제기됐다. 현재 수협중앙회는 제1금융권 중 유일하게 정부의 공적자금을 갚지 못하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억대 연봉자는 직원의 20%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앞서 정부는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 이후 수협중앙회의 누적 결손금이 9887억원(2000년)까지 증가하자 예금자 보호와 어업인을 위해 1조1581억원의 공적자금을 투입했다. 그러나 현재 수협중앙회가 상환한 금액은 1227억원에 불과하다. 김 회장은 "현재 1700명의 직원 중 300여명이 억대 연봉을 받고 있다"며 "일시적으로 1991~1996년도 입사한 사람이 많아 억대연봉자가 급증한 것일 뿐"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2차례 투입된 공적자금에 대해 인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2018-10-25 14:14:41 나유리 기자
기사사진
카카오뱅크 '26주적금' 50만좌 돌파…5천원·1만원 상품 추가

카카오뱅크는 '26주적금' 상품에 5000원과 1만원 적금을 추가한다고 25일 밝혔다. 26주적금은 매주 납입 금액을 최초 가입금액만큼 늘려가는 방식으로 1000원 상품의 경우, 첫 주 1000원, 2주차 2000원, 3주차 3000원이 납입되는 구조다. 이번에 추가된 5000원, 1만원 상품은 첫 주 각각 5000원과 1만원, 2주차 각각 1만원과 2만원이 납입된다. 26주 후 만기 금액은 각각 약 176만원, 352만원이다. 금리는 연 1.80%며, 자동이체 시 0.20%포인트 우대금리를 제공한다. 5000원, 1만원 적금 상품 가입은 이날 오후 4시부터 가능하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기존 3000원 적금 상품 보다 더 큰 금액 상품 추가를 원하는 고객들의 요청과 그간의 고객 동향 분석 등을 통해 이번 26주적금 금액을 추가했다"고 설명했다. '소확행' '짠테크' '강제저축' 등의 금융 트랜드를 카카오뱅크만의 색깔로 재해석한 26주적금은 지난 6월 26일 출시 넉달 만에 50만좌를 돌파했다. 금액별 가입 비중은 1000원이 30.41%, 2000원이 22.13%, 3000원이 56.79%를 차지했다. 연령별로는 20대, 30대, 40대 가입 비중이 각각 34.3%, 38.7%, 20.4%였다. 성별로는 여성 가입 비율이 66.8%로 많았다. 26주적금 총 납입금액도 1000억원을 넘겼다. 전일 자정 기준 26주적금 계좌 수는 52만6346좌, 총 납입금액은 1063억원이다.

2018-10-25 13:42:24 안상미 기자
기사사진
KB손보, 사회적협동조합 전용 반려동물보험 출시

KB손해보험은 동물병원을 운영하는 사회적협동조합 전용 반려동물보험을 출시한다고 25일 밝혔다. 사회적협동조합 반려동물보험의 가입 대상은 '우리동물병원생명사회적협동조합(약칭 우리동생)'으로 지난 2015년 국내 최초로 사회적협동조합 형태의 동물병원을 설립해 운영 중인 비영리기관이다. 현재 서울 마포구 성산동에서 운영되고 있는 우리동생은 지역 주민을 중심으로 약 1800여 명이 가입해 동물병원을 이용하고 있으며 조합원들은 사회적협동조합 반려동물보험 가입을 통해 반려동물 치료비를 보장받을 수 있게 됐다. 이 상품은 생후 3개월에서 7년 11개월까지의 개 또는 고양이를 가입대상으로 하며 우리동생에서 운영 중인 동물병원에서 발생한 상해 및 질병에 대한 치료비용을 실손 보장한다. 자기부담금은 입·통원 1회당 3만원이며 보상한도는 입·통원 합산해 1년간 총 300만원이다. 보험기간은 1년, 일시납으로만 납부 가능하며 연간보험료는 개의 경우 17만4000원(월납 환산 시 1만4500원), 고양이의 경우 13만8000원(월납 환산 시 1만1500원)이다. KB손해보험과 우리동생은 25일 서울 마포구 성산동 조합 사무실에서 최종 협정서 작성을 통해 상품 개발 준비를 마쳤으며 11월 1일 정식으로 상품을 출시할 계획이다.

2018-10-25 13:41:34 김희주 기자
기사사진
KEB하나은행, 가을과 함께하는'제6회 부동산 투어 세미나'

KEB하나은행은 지난 24일부터 25일까지 경의선 숲길에서 '제6회 부동산 투어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부동산 투어(投:語, Tour) 세미나'는 10여명의 KEB하나은행 부동산 전문가 및 PB들이 60여명의 VIP손님과 함께 투자관심지역을 직접 탐방하는 필드투어 형식의 부동산 투자자문 서비스다. 실내에서 진행되는 투자상담방식을 탈피해 손님과 함께 현장을 찾아가 보고 듣고 느끼며 다양한 상권을 분석하는 KEB하나은행의 부동산투어는 접수시작과 동시에 선착순 마감이 될 정도로 VIP손님에게 인기가 많다. 서울 북촌, 홍대, 성수동, 성북동, 이태원에 이어 여섯 번째로 진행된 부동산 투어는 '경의선 숲길과 함께하는 힐링투어'를 주제로 가을을 맞이한 연남동과 경의선 숲길을 거닐며 해당 지역의 전반적인 상권변화 및 투자포인트 등을 살펴보는 시간이 됐다. 또한 KEB하나은행 WM사업단 부동산자문센터에서 제공한 해당상권 실제매물에 대한 가격분석 및 다양한 투자 유의사항 등의 상세한 정보자료는 현장감은 물론 깊이 있는 상담으로 이어져 참가자들의 만족감을 높였다. KEB하나은행 PB사업부 관계자는 "앞으로도 손님들의 주요 투자관심지역을 미리 파악하여 지속적으로 투어행사를 개최할 예정이다"며, "손님들과 함께 현장을 직접 방문하여 체험적 투자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더 많은 기쁨과 실질적인 도움을 드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2018-10-25 13:30:53 김문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