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
교보환경대상 독수리 아빠 김덕성 씨 선정

교보생명교육문화재단은 제16회 교보환경대상 환경교육부문 대상 수상자로 '독수리 아빠' 김덕성 씨를 선정했다고 26일 밝혔다. 생명문화부문 대상에는 무등산풍경소리(이사장 진화스님), 생태대안부문 대상에 여성환경연대(으뜸지기 남미정, 김양희, 장이정수), 국제부문 우수상에 인도의 UDYAMA(대표 Mr. Pradeep Mahapatra)가 각각 수상했다. 김덕성 교사는 '독수리 아빠'로 더 잘 알려진 잘 알려진 인물이다. 지난 14년 간 한 해도 빠짐없이 겨울나기를 위해 경남 고성에 찾아오는 독수리에게 먹이주기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런 노력 덕분에 고성군은 매년 500여 마리가 찾는 국내 최대의 독수리 월동지로 자리잡았다. 그는 독수리 보호 관련 강의는 물론, 미술을 통한 생태감수성교육, 습지교육, 한중일 환경교육네트워크 운영 등을 통해 고성 지역의 환경교육 발전에 크게 기여한 점을 높이 평가 받았다. 사단법인 '무등산풍경소리'는 지난 2002년 7월부터 매월 '무등산풍경소리'라는 이름의 음악회를 열어 생명문화운동을 전개해오고 있다. 무등산풍경소리 음악회는 불교, 기독교, 천주교, 원불교 등 4대 종단과 광주지역 시민단체들이 함께하는 지역문화축제로 종교와 예술을 넘어 10년 넘게 꾸준히 생명평화운동을 해 온 공로를 인정 받았다. 국내 유일의 여성환경운동단체로 여성의 관점에서 생태적 대안을 찾고 지속 가능한 녹색사회를 만들고자 노력하는 '여성환경연대', 기후변화로 피해를 입은 재해이주민의 정착을 돕고 기술교육을 통해 가난한 농어민의 자립을 돕는 인도의 'UDYAMA'도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교보환경대상은 환경교육, 생명문화, 생태대안, 국제부문에서 생명과 자연을 지키기 위해 노력한 개인이나 단체를 선정해 시상하는 국내 최대규모의 종합 환경상으로 지난 1997년 제정됐다.

2014-03-26 09:26:36 박정원 기자
여전사 당기순이익 2972억원 증가

금융감독원은 신용카드사들을 제외한 여신전문금융회사의 지난해 순이익이 1조879억원으로 전년 7907억원 대비 2972억원 증가했다고 26일 밝혔다. 자동차 할부금융 취급수수료 폐지 등의 영향으로 할부금융손익은 1323억원 감소했지만 금리 하락으로 이자비용이 2481억원줄었고 대손비용이 1310억원 낮아졌기 때문이다. 지난해 말 현재 총자산은 88조원으로 전년 동기 83조원 보다 6조원 가량 증가했는데 할부금융, 리스 등의 고유자산 및 대출금등이 많이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할부금융 신규 취급규모는 11조원으로 2012년 9조원 대비 약 2조원 늘었다. 이는 전체 할부금융의 89.0%를 차지하는 자동차할부금융의 신규 취급액이 1조4526억원, 17.9% 확대 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편, 기업대출 연체율 및 리스자산 연체율은 각각 0.81%p, 0.60%p 하락했으나 가계대출 연체율 3.93%로 전년 3.72% 대비 0.21%p 상승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지난해 여전사의 영업실적 개선은 주로 조달비용 등 비용감소에 기인하고 있어 본격적인 실적 개선으로 보기는 어렵다"며 "수익성, 건전성 등 재무상황에 대한 모니터링과 함께 경쟁력 제고방안에 대해서도 감독 노력을 기울여 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2014-03-26 08:30:32 박정원 기자
기사사진
정기예금 1%대 바닥금리 수준 추락

정기예금이 1%대 '바닥 금리' 수준으로 추락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기예금에 묶였던 돈이 썰물처럼 빠져 나가고 있다. 이는 단기 부동자금이 급증한 데 따른 것. 신한은행의 민트 정기예금 기본금리(3개월 만기)는 연 1.6%까지 내려왔다. 온라인 전용 상품에 가입해야 겨우 2%대 금리(2.39%)를 받을 수 있다.국민은행의 국민슈퍼정기예금 금리(3개월 만기)는 연 1.9%, 산업은행의 KDB드림 맞춤 정기예금은 1.95%다. 만기가 1년을 넘는 정기예금 상품 중에는 2%대 중후반 금리를 적용받는 상품이 있지만, 금리는 계속 하락하는 추세다. 신한은행은 이달 24일부터 1년 만기 민트 정기예금과 두근두근 커플 정기예금, 스마트 정기예금의 기본금리를 모두 연 2.5%에서 2.4%로 0.1%포인트 내렸다. 국민은행의 국민슈퍼정기예금 금리(1년 만기)도 지난달 24일 2.59%에서 2.56%로 0.04%포인트 하락했다. 은퇴자 등 이자소득 계층이 1억원을 2.4%짜리 정기예금에 넣어두면 한 해 받는 이자는 240만원이다. 여기서 이자소득세를 빼면 주머니에 남는 돈은 203만400원으로 매월 16만9200원 꼴이다. 한은의 올해 소비자 물가상승률 전망치가 2.3%인 점을 고려하면 실질금리는 마이너스가 될 가능성도 있다. 한은이 집계한 은행 정기예금 평균금리는 지난해 11월 2.58%에서 12월 2.66%로 반등했다가 올해 1월 다시 2.63%로 내렸다. 저금리로 인해 정기예금 매력이 떨어지면서 시중은행 정기예금 자금 이탈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런 상황이 계속될 경우 1년 만기 정기예금 상품이 장기적으로는 사라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말 기준 은행 정기예금 규모는 558조8983억원이었다. 2012년 말보다 16조8084억원(2.9%) 감소했다. 은행 정기예금이 줄어든 것은 8년 만에 처음이다. 지난 2008년 300조원대에 달하던 국내 은행의 정기예금 잔액은 2010년말 500조원을 넘어서며 가파르게 올라섰다. 그러나 지난해 말까지 3년간 정기예금 잔액은 500조원대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정기예금 연평균 증가율은 지난 9년간 9%에 달했지만, 지난해 정기예금 증가율이 0.5%에도 미치지 못했다. 이에 비해 요구불예금과 머니마켓펀드(MMF), 종합자산관리계좌(CMA) 등 단기 부동자금은 712조8854억원으로 사상 처음 700조원을 넘었다. 경제 전문가들은 "저금리 기조가 지속되면서 은행예금 선호도가 약화되고 있다"면서 "이 같은 추세가 지속될 경우 국내 시중은행들의 재원조달 안정성이 떨어져 원화 유동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은행권 관계자는 "이럴 때는 정기예금 금리보다 좀 더 높은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상품에 눈을 돌려야 한다"며 "정기예금금리에 플러스알파를 얻을 수 있는 중수익·중위험 상품이나 세금우대 상품도 주목받고 있다"고 조언했다. 한편 금융당국은 은행권의 정기예금 이탈현상이 심화될 경우 선제적으로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지금은 은행들이 자체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수준"이라며 "향후 상황이 악화될 경우에도 예대율 규제라는 보완장치가 작동하고 있기 때문에 큰 문제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2014-03-25 16:56:35 김민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