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
김중수 한은 총재 "금융위기로 화폐수요 변화"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는 "최근 화폐수요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친 사건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라고 7일 말했다. 김 총재는 이날 한은에서 열린 '국제 화폐 콘퍼런스'의 개회사를 통해 "금융위기로 경제 주체의 안전자산 선호경향이 강화되고 장기간 저금리로 화폐보유의 기회비용이 낮아지면서 다수 국가에서 화폐발행 잔액이 크게 늘었다"며 이처럼 밝혔다. 이어 "특히 신흥 시장국 경제주체들이 보유 금융자산의 일부를 기축통화로 전환하면서 미국 달러화 등 주요국 통화가 고액권을 중심으로 수요가 확대되는 양상"이라고 설명했다. 또 김 총재는 현금과 비현금지급수단이 조화롭게 발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다양한 비현금 지급수단의 발달을 화폐 수급 환경의 중요한 변화로 지적하며 "비현금 지급수단의 발달은 중앙은행의 기능인 결제시스템 안정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개인 정보 및 거래 기록의 집중을 초래하면서 해킹 등 피해도 확대되고 있어 사이버 보안에도 유의해야 할 것"이라며 "중앙은행은 비현금 지급수단의 발달과 영향을 예의주시하고 대응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콘퍼런스는 미국, 독일, 일본, 호주, 유럽 등 주요국 중앙은행의 발권 및 금융결제 분야 전문가를 초청해 '화폐수급 환경 변화에 대응한 중앙은행의 역할'을 주제로 진행된다

2014-02-07 09:51:04 박정원 기자
금융당국, 매출채권 담보대출 실태조사 착수

금융당국이 KT ENS 직원 대출사기 사건과 관련, 매출채권 담보 대출에 대한 실태를 조사한 후 잘못된 관행을 개선해 나가기로 함에 따라 이사건의 파장이 더 커질 전망이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 등 감독당국은 금융사들의 매출채권 담보대출 절차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고 대대적인 검사에 돌입할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대기업을 대상으로 지나치게 관대한 대출 규정을 손본다는 방침이다. 최근 KT자회사인 KT ENS 직원이 휴대폰 등을 납품 받는 과정에서 매출채권을 이용해 금융기관으로 부터 대출을 받아 가로챈 것으로 드러났다. 금감원은 매출채권이 서류상으로만 존재하는 가공의 매출채권으로 확인됐으며 사기대출 혐의가 있는 것으로 판단했다. 대출사기 혐의 금액은 약 2800억원으로 국민은행, 하나은행, 농협 등 3개 은행권 2000억원, 10개 저축은행을 통한 800억원 이다. 금감원은 저축은행 여신상시감시시스템에서 취급한 대출이 동일차주 한도초과 혐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서면검사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대출사기 혐의를 발견했다. 현재 금감원은 관련 금융기관에 대해 검사를 진행중에 있으며 검사결과 법규위반사항이나 여신심사 소홀 등이 확인될 경우 엄중 조치할 예정이다.

2014-02-07 08:21:30 박정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