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
기사사진
[금융가 사람들]건설사 실적 개선…“주가 상승은 아니다”

지난 6일 GS건설의 실적 발표를 마지막으로 상장사 기준 국내 빅5건설사의 작년 성적이 모두 공개됐다. 대우건설, 대림산업, GS건설이 건설경기 침체의 직격탄을 맞았고, 비교적 선방한 현대건설과 삼성물산도 4분기 이익 감소는 피하지 못했다. 하지만 그간의 부실을 모두 털어내고 올해부터 제로베이스에서 새롭게 출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번 마이너스 실적에 대한 시장의 불안감은 크지 않은 상태다. 이를 반영하듯 대규모 손실 발표 이후에도 주요 건설사들의 주가는 강세를 나타냈다. 이와 관련, 조주형 교보증권 연구원은 지난 7일 메트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선행하는 주식시장의 특성상 건설사들의 주가 하락은 지난해 이미 반영된 상태"라며 "올해 실적은 작년보다는 나아질 게 분명하기 때문에 잇단 어닝 쇼크에도 강세를 보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다만 실적 개선이 곧바로 주가 상승으로 이어지기는 어렵다는 지적이다. 올해 건설업종의 턴어라운드가 확실시되는 상황에서 이익을 낸다는 단순한 사실만으로는 투자 매력도가 떨어진다는 것. 조 연구원은 "흑자 전환 후 창출되는 이익의 규모와 현재 주가 수준을 비교해 투자 가치가 있는 지를 따져보는 게 중요하다"며 "올해 실적이 개선되더라도 해당 건설사의 주가가 이미 높은 수준이라면 밸류에이션 메리트는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나마 건설사들이 시장에서 기대하는 만큼의 실적 향상을 이룰 지도 미지수다. 작년 건설사들의 적자 및 영업익 감소의 원인은 해외와 국내 모두에 있었다. 예컨대 대림산업과 GS건설은 해외 손실이 컸지만 대우건설과 현대산업개발은 국내 주택시장에서 발목이 잡혔다. 조주형 연구원은 "최근 몇 년 사이 국내와 해외가 차례로 문제가 되는 경우는 있었지만 작년에는 국내외 모두가 지뢰밭"이었다며 "올해 역시 국내 미착공PF 사업이 건설사를 위협하고 있으며, 해외 현장의 부실 요인도 100% 제거됐다고 볼 수는 없다"고 꼬집었다. 다만 그는 "추가로 해외에서 손실분이 발생하더라도 작년보다 크지 않을 것으로 추정되며, 국내에서는 미착공PF 문제만 해결된다면 추가적인 부실 발생 부담은 줄어들 전망"이라며 올해 건설업종이 바닥을 다질 수 있을 것으로는 예측했다. 조 연구원은 마지막으로 "건설이라는 수주산업은 사업 기간이 길어 원가 변동 요인이 다양하고, 심지어 그 사이 경기가 좋아졌다 나빠졌다 바뀔 수도 있다"며 "건설업의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고 투자에 앞서 각각의 건설기업과 프로젝트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선행돼야 한다"고 당부했다.

2014-02-09 11:22:30 박선옥 기자
끊이지 않는 사건·사고 금융권 신뢰 곤두박질

최근 은행, 저축은행, 카드, 보험 등 전 권역에 직원들의 횡령, 근무기강 해이로 인한 금전사고가 잇따르면서 금융사들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가 갈수록 추락하고 있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은행이 도쿄지점 직원의 횡령으로 검사를 받고 있는 가운데 최근 삼성화재 설계사가 고객돈을 가로채 잠적하는 사고가 발생 했다. 횡령 등 직원들의 도덕적 해이는 물론 근무기강도 급속도로 무너지고 있다. 최근 발생한 KT ENG 직원의 대출 사기건은 은행과 저축은행에서 좀 더 엄격한 잣대를 들이 댔더라면 막을 수도 있었던 사고였다. 직전에 발생했던 카드사 정보유출 사고의 경우도 개인정보 관련 근무지침만 제대로 수행 했으면 발생하지 않았을 인재라는 것이 금융권 안팎의 시각이다. 직원들의 횡령이나 대출사기에 대해 금융사들은 다소나마 억을하다는 입장을보이기도 한다. 수많은 직원들이 있고 사안이 발생하는데 일일히 들여다 볼수는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 계속해서 금전사고가 터지자 금융권의 신뢰는 계속 땅으로 곤두박질 하고 있다. 이미 카드 사태로 인해 금융회사들에 대한 국민의 믿음은 상당히 낮아진 상태이다. 최근 잇따른 대형 사고에 대해 금융권은 여러가지 해석을 내리고 있다. 경기 침체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 또는 내부 감시 시스템 부재 등 문제점 들을 지적한다. 금융업계에서는 가장 큰 원인으로 금융사들이 가장 기본적으로 갖춰야 할 근간인 정직, 신뢰, 믿음 같은 기본적인 정신이 무너졌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지나친 경쟁 시스템 속에서 수익성,효율성만 추구하다 보니 정작 갖춰야할 덕목을 잊어버리고 있다는 것이다. 금융당국의 관계자는 "금융사들의 CEO들이 대부분 이런 문제에 대해 관심이 없다"며 "경영자로 무엇인가 보여줘야 한다는 압박이 우선하기 때문에 지나치게 경직된 경영을 하고 이런 것들이 아래로 흘러 안좋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금융위와 금감원은 이번 대출사기 사건을 계기로 향후 금융사고에 대해 적극적으로 검사를 실시하고 해당기관과 직원에 대해서는 엄중히 제재조치를 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 모니터링을 계속해 도덕적해이를 예방하고 근무기강이 바로잡힐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

2014-02-09 11:19:24 박정원 기자
KB금융, 지난해 순익 1조2830억…전년比 26% 하락

KB금융그룹은 지난해 4분기 당기순이익 2815억원으로 연간 1조2830억원의 당기순익을 시현했다고 7일 밝혔다. 이날 KB금융그룹 실적발표에 따르면 KB금융의 지난해 당기순익은 전년 대비 25.9%(4480억원) 감소했다. KB금융 측은 "순이자마진 하락으로 이자이익이 줄고 카자흐스탄 센터크레디트은행(BCC) 관련 지분법평가손실 등 일회성 손실이 발생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KB금융의 지난해 4분기 순이자이익은 1조6453억원으로 전분기보다 4.3%(678억원) 늘었으나 순이자마진(NIM) 하락으로 연간 기준으로는 전년 대비 7.3%(5150억원) 감소한 6조5228억원을 기록했다. 방카슈랑스수수료 등 은행 수수료 수익이 줄면서 순수수료 이익은 줄어들었다. 지난 4분기 3477억원으로 전분기보다 6.6%(247억원) 감소했고 연간 기준으로는 5.6%(874억원) 줄어든 1조4793억원을 기록했다. 연말 은행의 부실채권(NPL) 비율 관리에 따른 대출채권 매각손실로 4분기 1983억원의 기타영업손실을 냈으며 연간으로는 5480억원의 손실을 기록했으나 전년(-7199억원) 대비로는 손실 규모가 축소됐다. KB금융그룹은 이날 최대 계열사인 KB국민은행의 실적도 발표했다. KB국민은행의 지난해 당기순익은 842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1.5%(5976억원) 감소했다. 신용카드를 제외한 은행의 NIM은 지난해 4분기 1.79%로 전분기보다 0.06%포인트 하락했다. 한편 카드와 은행을 포함한 KB금융그룹의 4분기 NIM은 카드 팩토링채권 회계처리 변경에 따른 이자이익 증가 등으로 전분기보다 0.02%포인트 오른 2.57%를 기록했다. KB국민은행의 자본적정성 비율(잠정치)은 바젤3 기준으로 BIS자기자본비율과 보통주자본비율이 각각 15.47%, 12.65%를 기록했다. 건전성 지표인 총 연체율은 4분기 0.77%로 전년 대비 0.20%포인트 떨어졌고, 전분기 대비 0.28%포인트 하락했다. 부문별 연체율은 가계대출이 지난해 말 0.67%로 전년 말보다 0.34%포인트 떨어졌고 전 분기말보다는 0.25%포인트 하락했다. 기업대출은 0.88%로 전년 말보다 0.04%포인트 내리고 전 분기 말 대비로는 0.32%포인트 떨어졌다. KB국민카드의 연체율은 지난해 3월 대손상각 기준이 기존 3개월 이상에서 6개월 이상으로 바뀌면서 지난해 말 기준 1.85%로 전년보다 0.56%포인트 상승했다. 대손상각 기준변경 이후로는 연체율이 안정화 추이를 보이면서 전분기말 대비 0.17%포인트 하락했다. 부문별 자산을 보면 KB금융그룹의 지난해 말 총 자산은 379조8000억원이며 이 가운데 신탁자산을 포함한 KB국민은행의 총 자산은 287조8000억원을 차지했다. KB국민은행 영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원화대출금(사모사채 포함)은 187조5000억원으로 전년 말보다 1.9%(3조4000억원) 증가했다. 신용카드 부문의 자산은 14조6000억원으로 전년 말보다 11.5%(1조5000억원) 늘었다.

2014-02-07 17:08:03 김현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