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
기사사진
"보험앱, 만족도·사용률 최저"…디지털 서비스 '노력 요함'

은행·슈퍼앱이 '금융생활 필수품'으로 자리잡은 사이 보험앱은 여전히 소비자들의 외면을 받고 있다. 낮은 신뢰도와 보안 우려까지 겹치면서 '사용률·만족도 꼴찌'라는 오명을 안고 인식 개선이란 숙제를 떠안았다. 보험연구원이 최근 전국 19~69세 4000명을 조사한 결과 보험앱 주간 이용률은 19.3 %였다. 은행앱 88.9 %, 토스·카카오페이 같은 슈퍼앱 90.6 %와 네 배 이상의 차이다. 디지털 금융서비스 사용자 가운데 인터넷·모바일 뱅킹 사용 비율은 92.2%로 가장 높았다. 보험 온라인 서비스·앱 사용 비율은 53.2%에 그쳐 약 절반(46.8%)은 사용 경험이 없었다. 보험 서비스·앱 만족도 역시 최하위로 나타났다. 전반 만족점수는 70.3점(100점 환산)으로 뱅킹앱(78.0점)·슈퍼앱(79.1점)에 비해 7~9점 낮았다. 세부 항목별로는 '디자인' 67.8점과 '편리성' 68.7점이 가장 부진했다. 또한 보험에서 다크패턴(눈속임 설계)을 겪었다는 응답은 17.1 %로 금융권 중 가장 높아 소비자 불만을 키우는 요인으로 지적됐다. 반면 소비자들은 금융회사 중 보험사의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적합성은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했다.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자로 적합하지 않은 금융회사 가운데 소비자들이 보험사라고 응답한 비율은 21.2%~26.1%로 가장 낮았다. 문제는 보험사에 대한 소비자의 근본적인 신뢰도가 낮다는 점이다. 보험사가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적합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으나 '수집정보를 자신에게 불리한 용도로 사용할 우려', '민감정보 처리 역량에 대한 의심' 등이 뒤따랐다. 특히 개인정보 수집, 활용에 대한 신뢰도 조사에서 보험사는 51.7점에 그쳐 정부기관(61.8점)·은행(61.2점)·빅테크(54.1점)보다 낮았다. 아울러 '꺼림칙함(불안) 점수'는 69.4점으로 금융권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수집·이용 목적이 명확하지 않다', '동의를 철회하기 어렵다'는 응답 비중이 컸다. 업계에서는 디지털 보험서비스 시장이 꾸준히 확대되는 만큼 소비자 편의성과 데이터 신뢰를 동시에 높이는 것이 향후 성장의 관건이라고 보고 있다. 디지털 채널 고도화·신뢰 제고로 보험앱도 주거래 채널로 자리잡는다면 보험산업의 성장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것. 실제로 디지털 금융서비스가 보편화되면서 비대면 금융거래가 늘어났고 최근에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금융거래도 증가하고 있다. 손해보험의 모바일·온라인(CM) 채널 보험료 수입 비중은 초회보험료 기준 2019년 4.5%에서 2024년 19.6 %로 네 배 넘게 뛰었다. 변혜연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24일 "보험의 특성상 온라인 서비스·앱은 사용 빈도가 낮으므로 보험사들도 웹사이트·앱의 편리성, 디자인 개선에 소홀했을 것"이라며 "보험사가 디지털 건강관리 서비스 등 비전통적 신사업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서비스의 편리성과 신뢰성이 필수요건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개인정보 수집·활용·관리자로서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정보 수집 시, 어떤 정보들을 수집하는지, 어떻게 이용하는지에 대한 투명한 설명, 부분적 수집 동의 용이성, 개인정보 수집·활용 동의 철회 용이성 측면에서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주형기자 gh471@metroseoul.co.kr

2025-06-24 08:31:04 김주형 기자
기사사진
[카드News]신한카드·하나카드

신한카드는 시니어 고객을 피싱 범죄로부터 보호하고 고객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무료 피싱 케어 서비스 '신한 SOL이 지켜드림'을 출시했다. 만 55세 이상 신한카드 고객이라면 신한 SOL페이 앱에서 누구나 무료로 가입이 가능하다. 해당 서비스는 보이스피싱에 취약한 시니어고객을 대상으로 의심 거래를 사전에 탐지하고 관리하는 '사전 예방' 기능과 실제 피해 발생 시 이를 지원하는 '사후 보상' 기능을 동시에 제공한다. 가입 고객의 국내 분실·도난 사고 발생 시 최대 100만원까지, 피싱 금융사고는 최대 2000만원까지 지원한다. 신한카드 관계자는 "신한 SOL이 지켜드림은 별도의 앱 설치없이 '신한 SOL페이 앱'에서 바로 신청할 수 있도록 설계해 고객 접근성과 사용 편의성을 높였다"며 "앞으로도 시니어 고객들이 안심하고 금융 거래를 이용하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하나카드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실시한 'ARS 운영 실태평가'에서 '보이는 ARS' 부문 최우수 기관으로 선정됐다. 이번 평가는 ARS, 보이는 ARS, 챗봇, 보이스봇 등 4개 부문으로 나누어 진행됐다. '보이는 ARS'는 손님이 ARS 이용 시 휴대폰 화면을 통해 시각적 정보를 제공해 음성 안내만으로는 불편했던 정보 확인 및 선택을 보다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다. 하나카드는 '보이는 ARS' 운영 시 이용자 편의성과 접근성, 서비스 품질 등에서 탁월한 성과를 인정받았다. 하나카드 관계자는 "손님 경험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서비스 품질을 개선하고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적용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2025-06-24 07:32:05 김정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