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 내 멋대로 군복... 군복의 명예는 어디에?
최근 무더위를 기승을 부리면서, 육군의 멋쟁이(패셔니스타)들은 군복을 벗어던지고 지하철에서도 멋을 맘껏 뽐내고 있습니다. MZ세대 군인의 개성은 상상 이상입니다. 전역을 앞두고 예비군 훈련시 착용해야 하는 전투복에 일장기를 부착한 사례도 있습니다. 대통령령으로 정해둔 군인복제령은 사문화돼 가고 있습니다. 비정상이 정상이 되고 있는 육군입니다. ◆군복, 벗어던지는 그 가벼움 메트로경제신문은 25일 오전 9시 50분께 공항철도 마곡나루역에서 육군디지털 무늬 반팔티셔츠만 걸친 육군 병장을 목격했습니다. 군규정에는 반팔티셔츠 차림으로 부대 밖을 나갈 수 없습니다. 본지는 공항철도, 경의중앙선, 2호선 등이 교차되는 홍대입구역에서 군인복제령을 대담하게 위반하는 육군 장병들이 자주 목격된다는 제보를 받아왔고, 실제로 각 노선에서 이 병장과 같은 복장을 한 모습을 사진에 담기도 했습니다. 육군 관계자들은 “재발방지를 위한 장병출타교육을 강화하겠다”는 말을 반복했었지만, 근절되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18개월 군에 끌려온 장병들에게 딱딱한 잣대를 들이밀지 말라’, ‘간부들도 반팔셔츠만 입고 부대인근 카페에서 차를 마시는데 뭐가 문제냐’ 등의 옹호론도 만만치 않습니다. 장병의 권익신장과 현실적 급여도 중요하지만, 민주시민으로서 군인으로서 지키고 익혀야하는 준법정신도 중요합니다. 지난 3월 국방부는 군인들이 정복 등을 이용한 바디프로필 촬영이 난립하게 되자 구체적인 지침을 강구하겠다고 밝힌바 있습니다. 개인은 개성과 젊음을 뽐내는 것은 좋지만, 불필요하게 개인적 사진이 공개되거나 현역군인의 이미지가 상업적으로 악용되는 사례가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국군에서 가장 유연하고 개방적이라는 평을 받는 공군은 제일 먼저 제복을 이용한 바디프로필 촬영금지 지침을 하달했습니다. MZ세대 장교, 부사관들 사이에 전염병처럼 퍼지는 바디프로필 촬영에 대한 규정이 모호한 것도 사실입니다. 부대관리훈령 27조는 “복장과 마음가짐을 단정히 하여 군인으로서의 품위를 유지하여야 한다”고 돼 있습니다. 군인복제령 16조에는 군복의 종류별 착용 상황을 명시하고 있지만, 바디프로필 촬영 등 사적으로 군복을 착용하는 상황은 포함돼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최근 법관이 법복차림으로 바디프로필을 찍고 징계를 받은 사례가 있다는 점, 전사상자 전우와 가족을 돕는 기부행사 외에 제복을 이용한 바디프로필 촬영을 배척하는 미군의 군사문화 등을 미뤄보면, 제복이 갖는 명예와 가치라는 측면에서 바디프로필은 자중이 필요합니다. 군기와 정신전력을 가장 강하게 주장해 온 육군이지만, 공군과 같은 고민과 추진력은 보여주지 않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육군참모총장 지휘서신 등, 육군차원의 교육과 조치가 이뤄진 적은 없기 때문입니다. ◆육군, 지키고 이어나갈 의지는 있나 지난 25일, 학군단 소속의 한 훈육관은 바디프로필 사진을 ‘군인’이라는 해쉬태그(#)와 함께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공개했습니다. 해당 장교의 인스타그램에는 ‘멋지다’, ‘훌륭하다’는 댓글이 다수를 차지했습니다. 댓글을 남긴 사람 중 다수는 현역 군인들이었고 이들 또한 정복 바디프로필을 인스타그램에 해쉬태그로 공개했습니다. 그 중 한명은 지난해 12월 육군 간부모집 홍보모델로 선정됐습니다. 육군이 제복의 가치훼손을 묵인하고 있다는 이야기는 오래전 부터 있던 이야기입니다. 예비군실무편람에는 복장불량자의 예비군입소를 금지합니다. 예비군의 복장은 군인복제령을 준용하기 때문에 알록달록한 표지장이나, 어사모처럼 화려한 장식이 달린 군모는 착용할 수 없습니다. 그런데 예비군의 민원이 두려운 육군은 수년 간 “병들이 전역기념으로 만드는 전역복을 입었다고해서 예비군훈련 입소를 거부할 수 없다”는 엉뚱한 해명을 반복해 왔습니다. 지난 22일 디시인사드 갤러리에는 일장기가 부착된 전투복에 “사람들 전역복에 관심없는 거 맞지?”라는 내용과 ‘X됐다 나 예비군 어케가냐’라는 제목이 붙은 개시물이 올라왔습니다. 이를 두고 네티즌들은 ‘대한닛뽄군’,‘ KGSDF(한국육상자위대)’ 등의 반응을 보였습니다. 화가나지만, 북한은 국군보다 군복의 가치와 전통을 잘 지켜지는 것 같습니다. 오는 27일 한국전쟁(6.25) 정전기념일에 맞춰 당시 군복을 차려입은 노병들이 모이는 노병대회가 열린다고 합니다. 국군참전용사 중에 참전 당시 군복을 제대로 지급받은 분들이 있을까요. 제2차세계대전을 승리로 이끈 영국 육군의 몽고메리 원수는 잔소리꾼 또는 신병교육 조교라는 비아냥을 받으면서도, 전쟁에서의 질서유지를 위해 군기를 강조했습니다.그는 엘알라메인에서 롬멜을 상대하는 영국군을 순시하면서 “군기가 빠진 군대는 전쟁의 절반을 지고 있는 것이나 다름없다. 죽더라도 깨끗하고 멋진 시체가 되는 것은 우리 대영제국 육군의 자랑이며 전통이다”고 말했습니다. 국군장병의 권익보호와 부하사랑이 남달랐던 것으로 유명한 전인범 전 특전사령관(중장 전역)은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멋진 단련된 체격을 뽑내는 것을 탓하는 것이 아닙니다. 다만 정복은 군인의 정장으로 군인이 품격있는 장소와 행사에 착용하라고 제작한 것인데 훈장과 군력이 아닌 근육을 보이는 보조물이 되는 것이 문제”라면서 “이런 가치관의 훼손이 전투력에 직결 된다는 사실을 말씀드립니다”고 장병들에게 당부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