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557억원 투입해 이재민 일상복귀 지원
서울시는 이달 8일 내린 기록적인 집중호우로 수해를 입은 소상공인과 이재민들이 조속히 일상을 회복할 수 있도록 557억원을 투입해 추가적인 지원 대책을 가동한다고 30일 밝혔다. 이날 시에 따르면, 지난 8일 시간당 최고 141.5mm의 물폭탄이 쏟아져 한강 이남의 저지대 자치구(동작구, 관악구, 영등포구 등)가 하천 범람, 주택·상가 침수 등의 수해를 입었다. 이로 인해 1544명의 이재민이 발생했고, 소상공인 점포 4391개소(피해신고 총 6525곳), 47개 전통시장 1240개소의 피해가 확인됐다. 이번 서울시의 지원대책은 ▲이재민 침수가구 집수리 지원 ▲침수피해 소상공인 긴급복구비 개소당 100만원 추가 지원 ▲풍수해보험 무상가입 대상자 확대 ▲서울형긴급복지 등 기존 복지제도 연계 지원 강화 ▲현장종합지원센터 운영을 골자로 한다. 우선 시는 삶의 터전이 망가진 약 2만 침수가구에 도배, 장판 비용으로 최대 120만원까지 지원한다. 이를 위해 시는 재난구호기금 120억원을 긴급 편성해 투입하기로 했다. 26일 기준 총 1만9179가구가 침수피해를 신청했다. 이번 침수가구 집수리는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하는 '희망의 집수리'를 확대 실시하는 것으로, 소득 기준에 상관없이 모든 침수 가구가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또 시는 침수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점포 약 8000개소에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지급하기로 한 최대 400만원의 '긴급복구비'에 더해 개소당 100만원을 추가 지원키로 했다. 현재까지 전통시장을 포함한 소상공인 점포 총 6655곳의 피해신고가 접수된 상태로, 자치구에서 피해 확인 후 최종적으로 지원이 결정된다. 시는 시비로 지원하는 긴급복구비 200만원부터 우선 지원할 방침이다. 이르면 추석 전부터 각 자치구별로 지원이 시작된다. 시는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한 '풍수해보험' 가입 활성화에도 나선다. 내년부터 무상가입 대상을 기존 반지하 거주 저소득층에서 저소득층 전체로 확대하고, 제3자 기부방식을 통해 풍수해보험료를 전액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시는 서울형긴급복지, 서울희망 SOS 장학금, 서울형 주택바우처 등 기존 주거복지·긴급복지는 물론, 서울사회복지공동모금회 등 민간자원과 적극 연계해 지원을 강화한다. 시는 피해복구 및 생계지원, 월세·보증금 지원, 학자금 지원 등 다양한 서울시 지원 대책을 실제 집중호우 피해주민들이 알고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추석 전 일주일 간(9월1~8일) '현장종합지원센터'를 운영한다. 센터는 주요 피해지역 내 동주민센터 등 공간을 활용해 지역별로 2~3일씩 순회하며, 운영될 예정이다. 상담인력 5~6명이 배치돼 지원내용과 신청방법을 종합적으로 설명해준다. 김의승 서울시 행정1부시장은 "100년만의 기록적인 집중호우로 삶터와 일터에 큰 피해를 입고, 고통받고 있는 이재민과 소상공인이 조속히 일상을 되찾을 수 있도록 추가적인 지원방안을 마련했다"며 "차질 없이 추진해 피해 복구에 속도를 내고, 가을 태풍 등 재해 예방에도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김현정기자 hjk1@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