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이재영
국제유가, 이란 핵협상 앞두고 하락...뉴욕증시, '칼 아이칸' 경고에 혼조세

이란 핵협상을 앞두고 국제유가가 하락했다. 미국 뉴욕증시는 1만6000선을 돌파한후 장 막판 기업사냥꾼 '칼 아이칸'의 증시 거품경고로 혼조세로 마감했다. 18일(현지시간)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12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전거래일보다 0.81달러(0.9%) 하락한 배럴당 93.03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런던 ICE선물시장에서 북해산 브렌트유는 5센트(0.05%) 내린 배럴당 108.45달러 선에서 움직였다. 국제유가가 하락한것은 강대국 진영과 이란의 핵협상이 타결될 경우 국제 원유시장의 공급량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기 때문이다. 이날 뉴욕증시는 혼조세로 마감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14.32포인트(0.09%) 오른 1만5976.02에서 거래를 마쳤다. 반면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 지수는 6.65포인트(0.37%) 낮은 1791.53을, 나스닥 종합지수는 36.90포인트(0.93%) 내린 3949.07을 각각 기록했다. 뉴욕증시는 기업실적 호조와 풍부한 유동성 덕에 다우는 장중 한때 1만6000선을 돌파했다. 그러나 최근 상승세에 따른 차익매물과 장 막판 `기업 사냥꾼` 칼 아이칸의 `증시 거품' 경고 발언이 증시에 부담이 되면서 혼조세로 마감했다. 칼 아이칸은 이날 자신의 트위터에 최근 뉴욕 증시의 상승세에 대해 “주가가 폭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위원들의 발언도 증시에 악영향을 미쳤다. 찰스 플로서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이날 “연준은 즉흥적인 자산매입을 중단해야 한다”며 “지난 9월 연방공개시장 위원회에서 양적완화를 축소하지 않아 연준의 신뢰성이 위협받고 있다”고 말했다.

2013-11-19 07:30:34 윤다혜 기자
기사사진
신세계百, '中 쇼핑족' 대상 '순금 100돈 龍 경품'

신세계백화점이 성탄절과 겨울스키 여행을 의해 입국하는 중국 관광객을 대상으로 고가의 경품 마케팅에 나섰다. 순금 100돈(388g)으로 만든 용(龍) 모형을 경품으로 내 건 것. 세공비를 포함해 2천만 원이 넘는 이 경품은 단순히 고가라는 개념을 넘어 중국인들이 좋아하는 금(金)과 용(龍), 그리고 숫자 '8'과 '3'을 사용해 '중국 고객을 소중하게 모시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는 것이 백화점 측의 설명이다. 경품 행사에는 연말까지 신세계백화점 본점을 방문하는 중국인 고객은 대상으로 하며, 당첨자가 발표 시점에 국내에 없을 경우 별도로 경비를 제공해 경품을 받으러 올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신세계는 이번 행사를 대대적으로 홍보하기 위해 중국 내 각종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동원하고, 본점 1층 매장에 실물과 똑같은 크기의 모형도 전시한다. 또 신세계는 다음 달 1일부터 중국인들이 좋아하는 색깔인 붉은색과 금색을 활용한 쇼퍼백을 제작해 SNS나 여행잡지를 통해 배포하는 교환 쿠폰을 소지한 중국인 방문객에게 증정키로 했다. 신세계백화점이 중국 마케팅에 남다른 공을 들이는 것은 중국인 매출이 급격하게 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백화점의 올해 11월 중순까지 중국인 매출은 2012년 연간 매출보다 약 48%, 2011년보다는 700% 넘게 증가했다. 더욱이 신세계는 관광지에서 쇼핑을 강요하는 이른바 '쇼핑 관광'을 금지한 여유법 시행으로 백화점을 찾는 중국 관광객이 더 늘어날 것으로 보고, 신세계백화점을 '중국인 쇼핑명소'로 각인시키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조창현 신세계백화점 본점장은 "매장을 방문한 고객을 모시는 수준을 넘어 미래의 잠재 고객을 선점하기 위해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게 됐다"며 "앞으로도 중국인 고객 유치 확대를 위해 적극 나설 것이다"고 말했다.

2013-11-18 20:00:45 정영일 기자
기사사진
[임의택의 車車車]메르세데스 벤츠 뉴 E클래스의 매력은?

[!IMG01!] '차는 역시 벤츠다' 기자의 지인들이 페이스북에 올리는 글 중에는 이런 내용이 가끔 올라온다. 다른 사람도 아니고 자동차 전문가들이 이런 글을 올리는 이유가 뭘까? 곰곰이 생각해보면 답이 나온다. 수많은 차를 시승하지만 역시 최종 결론은 벤츠로 귀결되는 경우가 많았다는 얘기다. 물론, 벤츠가 모든 클래스에서 가장 좋은 차라고 할 수는 없다. 그러나 뉴 E클래스는 동급에서 가장 믿을만한 선택임이 분명하다. 이번에 만난 뉴 E클래스 쿠페와 카브리올레도 그런 차다. E클래스 쿠페와 카브리올레는 세단의 파생차종이지만 플랫폼은 약간 다르다. 휠베이스(앞뒤 차축간 거리)가 세단보다 115mm 짧고 트레드도 약간 좁기 때문에 승차감이나 핸들링에서 세단과는 다른 느낌을 준다. 그러면서 쿠페와 카브리올레의 감각도 차별화했다. E클래스 세단이 말랑말랑한 승차감을 보여주는 반면에 쿠페는 상대적으로 단단한 느낌이다. 고속 핸들링 역시 안정감이 매우 높다. 반면 통통 튀는 느낌도 있기 때문에 단단한 승차감을 싫어하는 이에게는 안 어울릴 수 있다. 이와 달리 카브리올레는 쿠페보다 살짝 부드러운 느낌이다. 지붕을 열고 달릴 수 있는 차의 특성에 맞게 안락함과 여유로움을 중시했다. 겉모습은 개인적으로 세단보다 쿠페/카브리올레의 것이 더 나아 보인다. 범퍼 공기흡입구를 키우고, 앞뒤 펜더의 볼륨감이 풍부한 쿠페와 카브리올레 디자인이 훨씬 더 매력적인 느낌이다. 세단과 다른 핸들링 추구를 위해 휠베이스를 줄인 만큼, 실내공간에서는 손해를 봤다. 그러나 쿠페나 카브리올레는 주로 한두 명이 타는 차이기 때문에 크게 흠잡을 부분은 아니다. 시승차는 두 모델 모두 E350이 배정됐다. V6 3.5ℓ 306마력 가솔린 엔진이 7단 자동변속기와 조합된 파워트레인이다. 엔진의 정숙성과 파워는 동급 최고 수준이다. 강렬한 맛은 없지만 힘이 충분하고, 무엇보다 변속기와의 매칭이 훌륭하다. 덕분에 넓은 구간에서 여유 있는 토크감각을 보여준다. 3.5 쿠페의 복합연비는 9.8km/ℓ로, 같은 배기량의 세단(10.3km/ℓ)보다 떨어진다. 252마력의 세단이 연비를 중시한 반면, 쿠페는 출력을 높이면서 주행의 즐거움에 치중했기 때문이다. 카브리올레는 이보다 더 떨어지는 9.3km/ℓ의 복합연비를 나타낸다. 차체 강성 보강을 위해 쿠페보다 120kg이 무겁게 설계된 탓이다. 뉴 E클래스 쿠페와 카브리올레는 각기 다른 매력을 지닌 차다. 흔하디흔한 세단에서 벗어나고 싶을 때 선택하기 딱 좋은 차들이다. 쿠페는 달리는 즐거움에서, 카브리올레는 오픈 에어링의 즐거움에서 세단이 따라올 수 없는 즐거움을 준다. 물론, 그에 따른 대가는 감수해야 한다. E350 카브리올레는 8490만원, E350 쿠페는 7930만원으로 세단보다 약간 가격이 비싸다. 차급이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지만, 아우디 A5 카브리올레나 BMW 4시리즈 쿠페보다 약간 비싸다는 점이 선택을 주저하게 만들 수도 있다. 메르세데스 벤츠 E350 쿠페 달리는 즐거움을 추구한다면 세단보다 훨씬 낫다. 평점 ★★★★☆ 메르세데스 벤츠 E350 카브리올레 오픈 에어링은 매력적이다. 다만 대가가 비싸다. 평점 ★★★★

2013-11-18 14:05:08 메트로신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