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 K뷰티도 약진…글로벌 성장 총력전
K화장품 수출 지역이 다양해지고 있는 가운데 중소 K뷰티 브랜드들이 미국, 일본 등 신시장을 개척해 성과를 이루고 있다. 지난 1월 30일 중소벤처기업부가 발표한 '2023년 중소기업 수출동향'에 따르면 중소기업의 화장품 수출액은 54억 달러로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특히 중국 수출은 14.4% 감소하고 미국 수출은 47.2% 증가했다. 베트남, 일본 수출도 각각 28.6%, 12.9% 증가해 뒤를 이었다. 중국의 경기침체와 중국 자체 브랜드의 공세가 중국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미국·일본·유럽 등으로 수출국이 다변화되면서 중국 수출 감소를 상쇄했다는 분석이 따른다. 이런 가운데 18일 화장품 업계에 따르면 클리오가 사상 최대 연간 매출 실적을 발표했다. 클리오의 지난 2023년 매출은 3306억원으로 2022년 대비 21% 늘었다. 영업이익은 2022년 대비 89% 증가해 338억원이다. 클리오는 공시를 통해 국가별 매출 다변화, 유통채널 효율화, 브랜드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통해 매출이 성장했다고 밝혔다. 2023년 기준 클리오의 국내 매출은 1843억원, 해외 매출은 1463억원으로 각각 2022년 대비 34%, 9% 증가했다. 특히 미국 화장품 시장에서의 매출은 306억원으로 2022년 대비 84% 증가해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기록했다. 클리오에 따르면 클리오의 스킨케어 브랜드 '구달'을 중심으로 한 성장이 주효했다. 2023년 하반기 미국 온라인 채널 아마존에서 구달 청귤 비타C 세럼이 판매 호조를 보였다. 베트남, 필리핀, 싱가포르 등을 아우르는 동남아에서의 매출 증가율은 68%다. 동남아 시장에서 구달 청귤 비타C 제품군의 확장이 매출을 견인했다는 것이 클리오의 설명이다. 이처럼 기초 제품 수요가 확대됨에 따라 클리오는 구달의 어성초 및 흑당근 제품군도 집중 육성해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와 관련 한 업계 관계자는 "클리오의 미국 사업은 제품군 확대를 통한 외형 성장이 두드러질 것"이라며 "클리오는 향후 색조 제품뿐만 아니라 기초 제품에서도 브랜드 경쟁력을 강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실제로 클리오의 2023년 색조 제품 매출은 2452억원, 기초 제품 매출은 723억원으로 각각 2022년 대비 13%, 64% 증가한 규모다. 에이블씨엔씨의 경우 지난 2023년 연결 기준 매출은 2736억원으로 2022년 대비 10.4%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2022년 대비 14.2% 늘어 114억원이다. 국내외에서 매출 호조가 이어지며 실적 성장을 견인했다는 것이 에이블씨엔씨의 설명이다. 에이블씨엔씨에 따르면 지난 2023년 유럽에서의 매출은 2022년 대비 48%, 미국과 일본 법인은 각각 현지 통화 기준 12%, 8% 증가했다. 에이블씨엔씨 관계자는 "에이블씨엔씨는 미샤를 중심으로 오랜 기간 추구해온 브랜드 정체성을 세계 시장에 알릴 것"이라며 "K뷰티와 함께 미샤를 자연스럽게 떠올릴 수 있도록 자리매김하겠다"고 밝혔다. 증권 업계에서도 에이블씨엔씨의 수주 증가와 공장 증설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내놨다. 한화투자증권에 따르면 오는 10월 마무리되어 2025년 1월부터 본격 생산에 들어갈 한국 2공장 증축, 2026년 하반기부터 가동될 청주 신공장, 임대공장 투입 등이 에이블씨엔씨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청하기자 mlee236@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