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포스코 포항제철소 잇따른 사고 '안전불감증'

포스코 포항제철소에서 안전 사고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어 일류 제철소라는 명성을 무색케 하고 있다. 9일 포항제철소 2고로 안에서 가스밸브 교체작업 도중 가스 폭발사고가 발생해 근로자 5명이 중경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이모(53)씨 등 하도급업체 근로자 5명이 폭발음에 놀라 넘어지다 다쳤으며 이 중 1명은 골절상을 입고 병원에서 치료중이다. 이들은 내년 3월부터 시작할 예정인 2고로 개보수 공사의 사전작업을 위해 고로의 가스밸브를 교체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포스코 측은 가스밸브 교체 작업 중 가스가 새는 바람에 폭발사고가 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포스코 측은 사고 발생 후 포항남부소방서에 신고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수습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포스코 관계자는 "소방서에 신고할 정도의 사고가 아닌 경미한 사고였다"고 해명하고 "사고 후 4명은 병원 진료를 받고 퇴원했으며 1명만이 골절 판정을 받아 치료중이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번 사고에 앞서 포스코는 지난 7일에도 포항제철소 고로의 노체균열로 쇳물이 넘치는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세월호 사태로 국민 모두가 사건 사고에 불안해 하며 민감한 요즘, 포스코의 잇따른 사고는 글로벌 기업의 명성에 맞지 않다는 지적이다. 한편 포스코는 지난 2013년 12월에도 포항 파이넥스 3공장 인근 플랜트산소설비 현장에서 포스코건설 하도급업체 직원 최모 씨 등 2명이 유출된 질소에 숨진 채 발견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또 같은해 3월에는 크레인 운전원이 크레인 점검 중 크레인과 공장내 철제 기둥 사이에 끼어 사망한 일이 벌어졌으며, 같은 달 파이넥스 1공장에서도 폭발화재사고가 발생했다. 2011년 4월엔 파이넥스 2공장에서 폭발사고가 발생했으며, 2009년 1월엔 2공장에서 화재사고로 직원 3명이 부상을 입은 바 있다.

2014-05-09 12:38:50 김두탁 기자
기사사진
서울시 "지하철 노후차량 2022년까지 모두 교체"

서울시가 지하철 안전사고를 막기 위해 2022년까지 노후 차량을 교체하고 1~9호선 관제센터를 하나로 통합한다. 또 사고 발생 때 5분 이내에 초기대응을 완료하는 '골든타임 목표제'를 도입하고, 철도안전학교를 개설해 직원 교육도 강화할 계획이다. 9일 서울시와 서울메트로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서울지하철 운영시스템 10대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시는 먼저 제2의 추돌사고를 차단하기위해 서울메트로 소속 노후 전동차들을 당초 계획보다 앞당겨 교체할 계획이다. 시에 따르면 현재 1~4호선 전동차는 모두 1954량으로 이 중 36%인 714량은 사용연수가 18년 이상으로 고장이 잦다. 특히 2호선은 한 선로에 신형 ATO(자동운전장치), 구형 ATS(자동정지장치) 시스템이 함께 운용돼 혼선이 생기고 있다. 시는 2호선 노후차 500량은 계획보다 4년 앞당겨 2020년까지 ATO(자동운전장치)차로 교체, 3호선 150량은 2년 앞당긴 2022년까지 ATO차로 교체한다. 1호선 64량은 내년까지 수리를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호선별로 운영되는 관제센터는 2019년부터 '스마트 통합관제센터'로 통합 운영된다. 그동안 관제센터는 분리 운영과 중복 투자로 업무 효율성이 떨어졌다. 또한 철도 사고와 주요 운행 장애에 대해 '골든타임 목표제'를 도입, 위기대응 역량을 강화할 방침이다. 서울메트로는 철도안전교육을 전문적으로 시행하는 '철도안전학교'를 개설, 전 직원이 연 2회 의무적으로 교육을 수료하도록 할 계획이다. 전동차 경정비 등 10개 분야 243개에 이르는 외부 협력 회사에 대한 지도·감독도 강화된다. 시는 이번 상왕십리역 열차 추돌 사고를 계기로 운영기관, 협력업체, 외부전문가 등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지하철 운영시스템 개혁대책 테스크포스'를 구성한다. 민간 철도전문가가 참여하는 합동점검도 상시화한다. 외부 전문가 200명으로 '감시 인력풀'이 신호 등 11개 분야를 점검, 지적 사항 이행 실태도 확인할 방침이다. 서울메트로는 이번 열차 추돌 사고로 시민이 안심하고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도록 3일부터 1~4호선 전 구간의 첫 열차가 운행하기 전에 시설물을 특별점검하고 있다고 밝혔다. 시는 이번 대책 발표와 함께 지하철 내진 성능 보강과 노후시설 재투자, 무임수송 보전을 위한 국비 지원을 요청했다. 현재까지 마련된 지하철 운영시스템 개선안에 들어가는 비용은 노후 차량 교체 비용 8775억원을 포함해 2022년까지 총 1조8849억원이라고 시는 설명했다.

2014-05-09 11:43:30 조현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