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AI 방역망 뚫렸나···'서해안 벨트' 타고 확산

조류인플루엔자(AI) 의심신고가 충남·전북·전남에 이어 경기도에서도 접수됐다. 이에따라 AI 방역망이 뚫려 전국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5일 경기도 화성 시화호에서 채취한 야생철새 분변에서 H5N8형 AI 바이러스가 검출됐다고 밝혔다. 경기도 지역에서 AI 바이러스가 검출된 것은 이번 겨울들어 처음이다. 경기도는 현재 고병원성 여부를 검사 중이라며 시화호로부터 반경 10㎞ 내 가금류와 차량 이동을 제한하고 반경 30㎞까지 예찰 활동을 강화했다고 밝혔다. 이보다 앞서 전북지역에서 다섯 번째 의심신고가 접수됐다. 오리 1만8000여 마리를 사육 중인 전북 부안군 계화면의 농장에서는 사육오리 400여 마리가 폐사되는 등 AI 감염이 의심된다고 신고한 것이다. 전남 나주 세지면 소재 1만수 규모 종오리 농장과 영암 덕진면 소재 9000수 규모 종오리 농장에서도 AI 의심 신고가 접수됐다. 특히 닭에서도 AI 감염이 최초로 확인됐다. 농식품부는 해남 농가 송지면 종오리 농장 및 충남 부여군 홍산면 소재 종계장의 닭에 대해 H5N8 조류인플루엔자(AI) 확진 판정을 내리고 고병원성 여부를 확인 중이다. 이에따라 예방 살처분 대상이 오리에서 닭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2014-01-25 19:41:34 이국명 기자
中지린성 "5~10년내 한국 인삼 추월할 것"

전 세계 인삼 생산량의 70%를 차지하는 중국 지린성이 인삼 종주국인 한국을 앞으로 5~10년 안에 추월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25일 관영 통신사인 중국신문사에 따르면 지린성 농업위원회 리궈창 주임은 24일 "지린성이 앞으로 5~10년간의 노력을 거치면 한국 인삼산업의 수준을 따라잡거나 뛰어넘을 것으로 확신한다"고 연합뉴스가 이 통신을 인용해 전했다. 리 주임은 "현재 국제인삼시장에서 한국과 중국이 양대 축으로 자리 잡고 있지만, 한국의 인삼산업은 이미 100년의 역사가 있고 국가 차원에서 전략적으로 육성해 국제시장에서 브랜드 우위를 점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통신은 중국 인삼 생산량의 85%를 차지하는 지린성의 지난해 인삼 수출량이 한국의 20배에 달했지만 이를 통해 벌어들인 외화는 거꾸로 한국의 20분의 1에 불과했다며 고부가가치 인삼 제품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한국기업들은 중국에서 원삼(原參)을 사다가 가공한 뒤 원가의 수십 배 가격으로 유럽·미주·동남아 등지에 판매하며 중국으로도 역수출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린성은 이에 따라 이미 원삼의 과도한 수출을 제한하기 시작했고 자국 인삼 가공제품의 질을 높여 국제시장에서의 점유율을 확대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중국은 해외시장을 직접 공략하기 위해 92개국에 '창바이산(백두산의 중국 명칭) 인삼' 상표 등록을 추진 중이며 인삼 가공 기술의 수준 향상에도 주력하고 있다. 중국 언론들은 자국 전체 인삼 생산량의 절반가량이 한국과 일본 등지로 수출되고 있으며 중국 내 2만 개에 이르는 인삼 재배·가공·교역업체가 대부분 영세하고 브랜드 인지도가 부족해 한국기업의 값싼 원료 공급기지 역할밖에 못 하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지린성은 백두산 일대의 야생 인삼 자원을 회복하기 위해 지난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해마다 2~5t의 인삼 종자를 경비행기를 이용해 공중 투하하기도 했다.

2014-01-25 19:21:05 정영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