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수산가공품 주원료 원산지 '미궁'...활어 등과 달리 지속 수입
우리나라가 불과 몇 주 전까지 일본 후쿠시마현에서 명태 살을 비롯해 청어알, 오징어, 해파리, 어란(명란 포함) 등을 가공해 만든 수산식품을 국내에 들여온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가공품 주원료인 수산물의 원산지는 표기돼 있지 않다. 정부가 후쿠시마와 주변 지역에서 생산된 활어·냉동생선에 대해서는 그동안 수입을 차단해왔으나 수산물 가공품에 대해서는 허술했던 셈이어서 논란이 예상된다. 21일 식품의약품안전처 홈페이지에 따르면 한국은 이달 상순까지 후쿠시마산 대구알, 열빙어알, 해파리, 명태 살 등으로 만든 식품을 수입해 왔다. 이달 초 후쿠시마현에 위치한 A업체에서 수입한 식품의 경우 주원료가 열빙어알, 대구알, 해파리, 명태 살 등이다. 그러나 이들 원재료의 산지가 후쿠시마인지, 일본 내 다른 현인지, 아니면 제3국인지에 대한 표시는 없다. 지난 7월25일 후쿠시마의 B업체에서 들여온 식품의 경우 해파리와 상어지느러미 등을 가공해 만들었다. 6월9일 국내 방사능검사를 통과한 C업체(같은 현)가 만든 제품은 열빙어알과 대구알, 명태 살, 해파리 등이 주원료다. 올해 1월에는 청어와 열빙어알, 명태 살로 만든 '이타마에즈쿠리니싱'이라는 제품이 국내로 들어왔다. 후쿠시마지역 연근해에선 명태가 잘 잡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난해 10월 수입된 '시소노미쿠라게'라는 가공품에는 주원료 해파리에 더해 가다랑어추출물이 함유돼 있다. 지난해 5월 오징어와 명태 살, 열빙어알 등으로 제조한, 또 같은 해 1월 어란·어육으로 속을 채운 오징어가 주원료라는 가공품이 수입됐다. 둘 다 '코모치야리이까'라는 제품명을 쓰고 있다. 같은 해인 2022년 3월에는 연어알이 주원료인 '간장절임이쿠라'가 방사능검사에서 적합 판정을 받았다. 식약처가 공표한 항목에 따르면 이 밖에 '다이야사라다'와 '멘타이사라다' '이타마에즈쿠리니싱' 등의 수산가공품이 수차례 수입됐다. 어묵제품도 있었다. 이들 제품의 제조사는 원료로 쓰인 수산물의 산지를 밝히지 않고 있다. 식약처는 일본산 수산물가공품과 관련해 "해당 제품을 제조·가공한 업소가 소재한 지역을 의미한다"며 "원료의 생산지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이라고 최근 홈페이지에 명시했다. 후쿠시마원전 방사능 오염수 방류는 지난달 24일 시작됐다. 방류개시 이후 후쿠시마현에서 제조된 수산가공품이 수입된 공식기록은 아직 없다. 다만 후쿠시마 동북쪽의 이와테현에서 8월31일 제조했다는 소스가 이달 20일 국내에 반입됐다. 이 제품에는 가다랑어엑기스가 함유됐다. 정부는 2013년 9월 이래로 후쿠시마를 비롯한 인접 현 8곳에서 생산된 수산물 수입을 금지해 왔다. 단 금수조처는 원형이 보존된 활어·냉동생선 한정이고 수산물가공품은 해당되지 않는다. 아오모리와 이와테, 미야기, 군마, 도치기, 이바라키, 지바현이다. 이달 19일엔 아오모리현에서 만든 '참깨대구포스틱(제조일자 7월10일)'이 수입됐다. 주원료는 대구 페이스트라고 쓰여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