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사우스 무더위 잡아라"…LG전자, 亞 초청 'HVAC 리더스 서밋' 개최
LG전자가 '글로벌 사우스' 지역을 중심으로 냉난방공조(HVAC) 사업 확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인도, 중동, 아프리카, 중남미 등 신흥 시장에서 고성장하는 기업 간 거래(B2B) 수요에 대응해 AI 기반 고효율 기술과 맞춤형 솔루션을 앞세워 수주 기회를 확대하겠다는 전략이다. LG전자는 지난 19일부터 나흘간 국내에서 'LG HVAC 리더스 서밋 2025'를 열고 아시아 7개국의 주요 공조 컨설턴트들을 초청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서밋은 HVAC 시장의 최신 트렌드와 업계 현황을 공유하는 자리로, LG전자의 시스템 에어컨, 초대형 냉방기(칠러), 데이터센터 열관리 솔루션 등 다양한 기술을 소개하는 세미나 형식으로 진행된다. 올해 행사에서는 인도, 베트남, 필리핀, 인도네시아뿐 아니라 중동·아프리카, 중남미 지역까지 초청 대상을 넓히며 글로벌 사우스 시장을 정조준했다. 글로벌 사우스는 높은 인구 증가율과 빠른 도시화로 인해 오피스, 공장, 상업시설 등에서 냉난방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지역이다. LG전자는 이러한 기회를 선점하기 위해 각 지역 설계 전문가들과의 접점을 넓히고 기술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서밋을 운영하고 있다. 이번 행사에 초청된 HVAC 컨설턴트는 업무시설, 쇼핑몰, 공장 등 대형 프로젝트에서 건물 규모, 에너지 효율 등을 종합해 최적의 공조 시스템을 설계하고 제품 선정과 발주에 영향력을 갖는 B2B 핵심 고객이다. LG전자는 이번 서밋에서 이들을 대상으로 시스템 에어컨, 초대형 냉방기(칠러), 데이터센터 열관리 솔루션 등 다양한 기술을 소개했다. 특히 싱가포르 투아스 지역의 초대형 물류센터 프로젝트가 대표 사례로 소개됐다. LG전자가 공급한 '멀티브이 아이'는 싱가포르 투아스 지역 초대형 물류센터에 공급한 고효율 상업용 시스템 에어컨으로, 싱가포르 건축청의 친환경 건물 인증인 '그린마크' 최고 등급을 획득한 바 있다. AI 기반의 데이터센터 열관리 솔루션도 주목을 받았다. GPU, CPU 등 고발열 부품에 냉각판을 부착해 냉각수를 보내 열을 식히는 냉각수 분배 장치(CDU)와 초대형 냉방기인 칠러를 활용한 공기냉각 솔루션 등을 선보였다. 이후 참석자들은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 부산 주상복합단지, 파주 대형 카페 등 실제 LG전자의 HVAC 시스템이 실제 적용된 현장을 직접 방문했다. LG전자는 앞으로도 맞춤형 설계와 운영 역량을 기반으로 글로벌 수주 기반을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글로벌 서밋 개최 지역도 지속 확대하고 있다. 지난 14일에는 케냐에서 아프리카 지역 컨설턴트를 대상으로 서밋을 열었으며, 오는 6월에는 중동, 7월에는 중남미 컨설턴트를 각각 한국과 파나마로 초청할 예정이다. 한편, LG전자는 지난해 말 HVAC 사업 성장을 본격화하기 위해 ES사업본부를 신설했다. 북미·유럽 연구소를 중심으로 지역별 맞춤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생산부터 설치, 유지보수까지 자체 수행하는 '현지 완결형' 구조를 기반으로 시장 대응력을 높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