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북극항로 거점항만 육성 방안 세미나 개최
경남도가 북극항로 시대에 대비한 거점항만 육성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경남도는 12일 경남연구원과 함께 북극항로 진출 전략과 거점항만 육성 방안 마련을 위한 세미나를 경남연구원에서 열었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해양수산부 이전과 북극항로 시대 도래 등 변화하는 해양물류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부산항 신항과 진해신항을 우리나라 해양경제 중심지이자 북극항로 거점 항만으로 육성하기 위해 기획됐다. 세미나에는 북극항로·해양물류 분야 전문 7개 기관과 박명균 행정부지사, 오동훈 경남연구원장, 박성호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장, 박동철 경남도의원, 창원시, 김해시 관련 부서 등 40여 명이 참석했다. 세미나는 김기태 영산대학교 북극물류연구소 교수의 '북극항로 개척의 당면 과제 및 경남의 대응 방향' 발표로 시작됐다. 김기태 교수는 북극항로의 현재 상황과 운항 여건, 지정학적 변수 등을 설명하며 우리나라의 북극항로 진출 경과를 소개했다. 김 교수는 경남도가 추진하느 진해신항 북극항로 진출거점 육성을 위한 단계별 준비 방안을 제시했다. 경남이 세계 최고 수준의 조선소와 쇄빙 선박 건조 경험, 다양한 화물 처리 항만 등 북극항로 진출에 유리한 환경을 갖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만큼 북극항로 개척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를 모니터링하면서, 동시에 지자체별 강점을 최대한 살리는 북극항로 진출 모색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전문가 종합 토론에서는 북극항로 대응을 위한 진해신항 중심의 전략 항만 육성, 기반 인프라 확충, 물류산업 클러스터 강화, 정부 정책과의 연계 방안 등이 논의됐다. 8000TEU급 초대형 컨테이너선, 총 21선석이 접안 가능한 진해신항은 부산항신항과 배후단지, 가덕도 신공항까지 연결돼 'Sea&Air 복합물류 허브'가 될 최적의 입지 조건을 갖췄다. 도는 진해신항의 국가 전략 항만화를 통해 북극항로 진출 거점항만으로서 선제 대응 기반을 마련할 방침이다. 북극항로 대응 정책 연구를 시작으로 내년에는 마스터플랜 수립에 착수해 해수부의 '북극항로 거점항만 조성 전략'에 대응해 나간다. 박명균 행정부지사는 "이번 토론회를 통해 진해신항이 북극항로 진출거점으로 최적지임을 재확인했고, 경남의 정책 방향을 점검했다"며 "진해신항을 중심으로 북극항로 시대를 선도하는 해양물류 거점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정책과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