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용 요소 국내반입 물량 추가 확보… "6.8개월분 있어"
중국이 요소 수출을 통제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와 업계가 해외 대체 공급계약을 통해 총 6.8개월분 물량을 확보했다. 15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정부는 기획재정부 홍두선 차관보 주재로 15일 오전 정부 서울청사에서 '경제안보 핵심품목 TF 총괄반 회의'를 개최하고 차량용 요소 수급 및 유통 현황을 점검했다. 회의에는 외교부, 산업부, 환경부, 관세청, 조달청이 참석했다. 산업부는 "기업들의 대체공급선 확보와 조달청의 공공비축 확대 및 공동구매로 차량용 요소·요소수 국내 재고 및 베트남 등 제3국 계약물량은 총 6.8개월분으로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요소 등 추가 확보한 공공비축 물량은 베트남(3000톤), 사우디(1000톤) 등 4000톤에 베트남과의 중소기업 공동구매 계약 물량 5000톤 등 9000톤이다. 국내 요소 확보 물량은 지난 11월 30일 3개월분에서 이달 6일 3.7개월분, 8일 4.3개월분, 13일 5.1개월분에 이어 증가했다. 제3국 계약물량은 16일 베트남산 5000톤이 울산항 입항을 시작으로, 내년 1월 1만2150톤, 2월 1만4000톤이 국내에 각각 순차적으로 도착할 예정이다. 관세청은 해당 물량의 신속 통관을 최대한 지원하기로 했다. 정부는 앞으로도 공공비추 요소 5000톤의 제3국 추가 계약 협의 등 국내 요소·요소수 재고 현황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추가 물량 도입을 적극 추진할 방침이다. 조달청은 현재 비축 중인 차량용 요소 방출 가능 물량(1930톤)에 대해 생산업체 수요조사를 토대로 내주부터 방출을 개시할 예정이다. 요소수 판매 정보를 공개하고 있는 오피넷에 따르면, 지난 14일 18시 기준 3435개 주유소 중 97%인 3332개에서 요소수가 정상 판매 중이고, 주유소를 통한 요소수 판매량은 전주 대비 감소세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산업부는 밝혔다. 산업부 관계자는 "재고가 품절된 주유소는 전체 요소수 판매 주유소 중 판매 비중이 높지 않아 실제 요소수 수급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며 "소비자들의 불편 해소를 위해 공급을 최대한 신속히 하고 주유소의 요소수 판매 정보 제공 개선 등 주유소 유통현장 관리를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세종=한용수기자 hys@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