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티웨이항공, 대구FC 홈 경기서 브랜드데이 열어

티웨이항공이 지난 10일 DGB대구은행파크에서 수원FC를 상대로 열린 대구FC 홈 경기에서 '티웨이항공 브랜드데이'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티웨이항공 브랜드데이는 대구FC 홈 경기 시작 전후 다양한 이벤트로 꾸며졌다. 이날 경기에 앞서 티웨이항공 인스타그램을 통해 사전 선발된 총 22명의 어린이 서포터즈가 에스코트 키즈로 선수들과 함께 입장했으며, 대구FC 유니폼을 착용한 심혜리 객실승무원이 시축에 나섰다. 이어 티웨이항공의 대구 베이스 객실승무원 8명이 그라운드로 입장해 안전한 경기장 관람 수칙과 응원 동작을 직접 시연하는 행사를 진행했다. 하프타임에는 당일 경기에 참석한 관중을 대상으로 좌석 번호 추첨을 통해 2명에게 대구 출발 국제선 왕복 항공권을 증정하는 등 경품 행사도 이어졌다. 이외 경기장 밖 광장에서도 팝업스토어와 슈팅 챌린지 등 미니게임과 이벤트로 팬들에게 다양한 즐길거리와 풍성한 재미를 선사했다. 또 당일 경기장에 입장한 모든 관중에게 티웨이항공 국제선 1만원 할인 쿠폰도 증정했다. 대구FC와의 협력을 통해 처음으로 이번 행사를 진행한 티웨이항공은 대구FC 선수단이 제주도로 원정 경기 시 일부 항공권을 제공하고 향후 협업을 통한 다양한 활동을 함께 이어나갈 예정이다. 티웨이항공 관계자는 "홈경기 응원의 열기를 더하는 브랜드데이 행사로 대구FC 서포터즈와 시민들에게 특별한 추억이 됐길 바란다"며 "티웨이항공은 앞으로도 대구FC와의 협력을 통해 시민들과 함께하는 다양한 이벤트와 사회공헌활동을 전개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2023-06-13 14:51:34 허정윤 기자
기사사진
에쓰오일, 국내 탄산 공급망 불안정 해소 돕는다

에쓰오일은 산업용 가스 제조업체인 동광화학에 이달 중순부터 탄산 제조 원료로 쓰이는 부생가스를 종전보다 2배 늘려 연간 20만 톤을 공급한다. 에쓰오일이 이산화탄소 제조 원료의 공급을 증대하면서 국내 탄산의 공급 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에쓰오일과 동광화학은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고 이를 제품으로 활용하는 CCU(Carbon Capture & Utilization) 사업의 일환으로 2016년부터 연간 10만 톤의 액화탄산 사업 협력을 지속해 왔다. 에쓰오일은 울산공장 수소제조공정에서 배출되는 다량의 이산화탄소가 포함된 부생가스를 파이프라인으로 공급하고, 동광화학은 부생가스에서 이산화탄소를 정제하여 산업·식품용 액화탄산, 드라이아이스를 생산한다. 에쓰오일 관계자는 "이번 탄산 공급 증대는 국내 탄산 수급 안정에 기여하는 효과가 크고, 중소기업의 생산설비 증설에 필요한 원료 공급을 확대하여 성장을 지원하는 ESG 경영의 중요한 성과" 라고 말했다. 탄산(CO2)은 조선(용접)·반도체(세정용 특수가스)·유통(드라이아이스)·농업(식물성장촉진제) 등 산업 전반에 쓰이는 산업용 가스로, 정유사·석유화학사 등에서 발생하는 부생가스를 원료로 제조한다. 원료 탄산의 공급처, 공급량이 제한적인 데다 정유·석유화학 시설 가동률에 따라 탄산 공급량의 변동성이 심화되고 있어 탄산 수요 업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최근 신선식품 택배사업의 확대로 인한 드라이아이스 수요가 늘고, 조선사들의 용접용 탄산 수요 증가로 공급망이 불안정해짐에 따라 업계에서는 정부 차원의 탄산 수급대책 마련을 요청한 상황이어서 이번 에쓰오일의 공급량 증대를 반기고 있다.

2023-06-13 14:49:00 허정윤 기자
기사사진
판 커진 확장현실(XR) 시장…삼성전자도 출격 하나?

확장현실(XR) 시장이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의 경쟁이 날이 갈수록 뜨거워지고 있다. 마크 저커버그의 메타가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닌 XR 시장에 애플이 '비전 프로'를 내놓자 다른 빅테크 기업들도 참전을 예고하고 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현재 시장에서 비전 프로는 대중의 관심을 끄는 데는 성공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 차세대 스마트 기기로 꼽히는 XR 기기는 현재 대중적으로 그 개념이 알려지고 콘텐츠도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시장조사업체인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헤드셋 디스플레이 시장 규모는 지난해 9억4200만 달러(약 1조2300억원)에서 2025년에는 73억 달러(약 9조5119억원), 2027년 200억달러(약 26조3000억원)로 성장할 전망할 것으로 관측한 바 있다. 먼저 시장 주도권을 잡은 것으로 평가되는 메타는 애플 보다 먼저 2014년 VR 기기 전문업체 오큘러스를 인수한 뒤 2020년 '오큘러스 퀘스트2', 2021년 '메타 퀘스트 프로' 등 VR 헤드셋 퀘스트 시리즈를 출시하며 80%가 넘는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며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다. 장조사기관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2022년 4분기 전 세계 XR 헤드셋 시장 점유율은 ▲메타 81% ▲DPVR 7% ▲피코 7% ▲기타 5%로 시장 구도가 집계됐다. 압도적인 점유율을 메타가 차지하고 있음에도 후발 주자 애플의 움직임도 심상치 않다. 애플은 2015년부터 MR 헤드셋 개발을 시작해 계획적인 준비 끝에 비전 프로를 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애플은 지난 5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쿠퍼티노 애플 파크에서 '세계 개발자 회의 (WWDC) 2023'을 열고 비전 프로를 '공간 컴퓨터'라고 소개했다. 스키 고글을 연상하게 하는 비전 프로는 2개의 초고해상도 디스플레이를 탑재했으며, 3D 인터페이스를 갖춘 운영체제(OS) '비전 OS'를 적용했다는 특징이 있다. 기기를 착용하면 100피트(약 30m)까지 커지는 영화관을 누릴 수 있고, 비전 프로로 페이스타임 통화를 하면 통화에 참가하는 사람들이 실물 크기의 타일로 구현돼 실제로 그 사람이 앞에 있는 것처럼 통화할 수 있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비전 프로는 우리에게 공간 컴퓨팅을 선보였으며, 예전에 보아왔던 그 어떤 것과도 비교할 수 없다. 비전 프로는 사용자들에겐 엄청난 경험, 개발자들에겐 신나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고 말했다. 하지만 경쟁사 메타의 마크 저커버그 CEO의 반응은 냉담했다. 그는 미국 실리콘밸리 멘로파크 본사에서 전 직원을 대상으로 한 올핸즈 미팅에서 애플 비전 프로에 대해 "메타가 가지 못한 새로운 영역을 보여주지 않았다"며 "최소한 내가 원하는 기기는 아니다"라고 일침했다. 가격 측면에서도 메타의 제품이 좀 더 저렴하다. 현재 비전 프로의 출시 가격은 3499달러(457만원)으로 메타의 고급 헤드셋인 '퀘스트 프로'의 3배에 달하는 가격이다. 저커버그 역시 애플의 높은 가격대를 두고 "메타가 새로 출시한 퀘스트3가 499달러임에 반해 비전프로의 가격은 3499달러에 달한다"며 메타가 더 대중적인 반응을 얻을 것으로 자신했다. 이 밖에도 샤오미, TCL 등 중국 업체들도 XR 시장의 진입을 예고했으며, 삼성전자 역시 XR 기기를 내놓을 수 있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지난 2월 개최된 '갤럭시 언팩 2023' 행사에서 삼성전자는 퀄컴, 구글과의 XR 연합을 공식화하며 '차세대 XR 경험 구축'을 추진하겠다고 밝혀 화제를 모았다. 노태문 삼성전자 MX사업부장(사장)은 "차세대 XR 경험을 함께 구축함으로써 다시 한번 모바일의 미래를 변화시킬 것"이라는 선언을 하기도 했다. 아직 구체적인 계획과 출시 일정은 공개된 바 없으나, 삼성전자의 향후 제품 출시 라인업에서 XR 제품을 기대해 볼 수 있을 전망이다.

2023-06-13 14:46:57 허정윤 기자
기사사진
소니코리아, 브이로그 최적화한 ‘ZV-1M2’ 14일 국내 출시

소니코리아가 올인원 브이로그 카메라 ZV-1M2를 오는 14일 국내 정식 출시한다고 밝혔다. ZV-1M2는 2020년 출시된 소니의 첫 번째 브이로그 카메라 ZV-1의 2세대 제품이다. 전작 대비 더욱 가벼워진 292g의 무게와 주머니 및 작은 가방에 들어가는 컴팩트한 사이즈가 특징이다. 여기에 다양한 브이로그 촬영 편의 기능 지원해 크리에이터들이 간편하면서도 풍성하게 스토리텔링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특히 ZV-1M2는 영상 입문자들도 손쉽게 콘텐츠를 만들 수 있도록 시네마틱 브이로그 세팅 기능과 크리에이티브 룩 기능이 탑재됐다. ZV-1M2는 약 2,010만 화소의 1.0타입 엑스모어 RS(Exmor RS™) 이미지 센서와 비온즈 X(BIONZ X™) 이미지 프로세서를 탑재했다. 여기에 자이스(ZEISS®) Vario-Sonnar T* 18-50mm F1.8-4 줌 렌즈를 지원해 광각부터 망원까지 더욱 넓어진 화각에서 영상과 이미지 촬영을 즐길 수 있다. 다수의 인원이 함께 촬영하는 셀카부터 음식, 실내 인테리어, 광활한 풍경까지 폭 넓은 주제의 촬영이 가능하다. 특히, ZV-1M2의 내장 ND(Neutral Density) 필터를 활용하면 노출 수준을 조절할 수 있어 주변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선명한 영상과 이미지 표현이 가능하다. 또한 소니의 최첨단 AF 성능을 기반으로 한 고속 하이브리드 AF 기능으로 빠르고 정확하게 피사체의 움직임을 추적한다. Eye-AF 성능은 사진과 영상 모두에서 사람과 동물 인식을 지원해, 동물의 빠른 움직임까지 생생하게 담아낼 수 있다. 특히, 브이로그 입문자들도 손쉬운 촬영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기능을 탑재했다. ▲자연스럽게 매끄러운 피부톤을 만들어주는 소프트스킨, ▲5가지의 룩과 4가지 무드의 조합으로 후보정 없이도 손쉽게 시네마틱한 영상미를 구현할 수 있는 시네마틱 브이로그 세팅, ▲10가지 프리셋으로 원하는 색감을 만들어주는 크리에이티브 룩, ▲선명한 오디오 녹음을 위한 인텔리전트 3캡슐 마이크 외에도 제품 리뷰 모드와 보케 버튼 등을 지원한다. 소니 관계자는 "2020년 브이로그 카메라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던 ZV-1을 시작으로, 소니는 그동안 APS-C 타입 렌즈교환식 카메라 ZV-E10, 20mm 단렌즈로 셀피 촬영에 특화된 ZV-1F, 소니의 첫 번째 풀프레임 브이로그 ZV-E1까지 ZV 라인업을 확장하며 브이로거들의 다양한 요구 사항을 충족해왔다"며 "ZV-1M2를 포함한 ZV 라인업을 통해 브이로그 시장을 선도하며 더욱 활발히 크리에이터들과 소통할 것"이라고 밝혔다. ZV-1M2는 18-50mm F1.8-4 초광각 줌 렌즈를 지원해 셀피를 촬영할 때에도 인물 뒤의 배경까지 여유롭게 담아낸다. 18-50mm의 광학 줌 뿐 아니라, 클리어 이미지 줌(Clear Image Zoom) 기능으로 화질 손실은 최소화하면서도 영상을 부드럽게 확대할 수 있다. ISO는 ISO 125부터 ISO 12,800까지 지원해 저조도 환경에서도 노이즈 적은 선명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내장 ND 필터를 활용하면 밝은 환경에서도 아름다운 배경흐림(보케) 구현이 가능하다. ZV-1M2는 고속 하이브리드 AF을 지원해 4K 촬영에서도 피사체의 움직임을 빠르고 신속하게 추적한다. AF 전환 속도 및 AF 피사체 이동 감도를 사용자 편의에 따라 맞춤 설정할 수 있어 촬영자의 의도를 더욱 창의적으로 구현해낼 수 있다. 나아가, 영상에서도 동물 Eye-AF를 지원해 반려동물 영상 촬영 시에도 역동적이고 활발한 움직임을 모두 담아낸다.

2023-06-13 14:43:21 허정윤 기자
기사사진
SK가스, "측정 이래 최고치 경신"…사회적 가치 창출 성과 '2988억'

SK가스의 사회적 가치 창출 규모가 한층 더 규모가 커졌다. SK가스는 지난해 ▲경제간접 기여성과 2557억원 ▲환경성과 114억원 ▲사회성과 317억 원 등 총 2988억 원의 사회적 가치를 창출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는 2524억 원을 기록한 전년 대비 18% 증가한 수치로 2018년 측정 이후 최고 수준이다. '경제간접 기여성과'는 고용, 배당, 납세 부문 모두 증가하며 사회적 가치 창출을 견인했다. Net Zero Solution Provider로 거듭나기 위해 탈탄소 에너지로 전환하는 과정의 브릿지 연료로서 LNG/LPG 사업을 확대함에 따라 고용 인원이 늘어나며 고용 성과가 16%(138억 원) 증가했다. 또한, 사업 성장에 비례하는 주주친화적 배당 정책을 통해 배당액이 27%(126억 원) 늘어났으며, 납세는 세전이익 상승에 따라 전년 대비 9%(79억 원) 증가했다. '사회 성과'는 전년 대비 66%(126억원) 증가한 317억원을 기록하며 큰 폭의 성장률을 보였다. '사회 성과' 구성요인 중 '사회공헌'과 '동반성장' 분야의 성장이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사회공헌'은 취약계층 지원사업과 생태보호사업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구성원들의 봉사활동이 전년 대비 3배 가까이 늘어난 결과, 144%(59억 원) 증가했다. 거래처 무이자 자금 지원과 납품대금 지급일수 단축 등의 노력으로 '동반성장' 분야가 43%(39억) 증가한 것도 '사회 성과' 성장에 한 몫을 했다. '환경성과'는 전년 대비 4% 하락한 114억 원을 기록하며 소폭 감소했다.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에 힘입어 환경(공정) 영역은 전년 대비 7% 개선되었으나, LPG 차량 감소 영향으로 LPG 연료 사용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저감 성과가 줄어들며 전체적인 환경 성과가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우병재 SK가스 ESG담당은 "SK가스는 Net Zero Solution Provider 비전 아래, LNG, 수소 등 신규 사업모델 자체가 기후변화라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 경제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할 수 있도록 청사진을 그리고 단계별로 실행해 나가고 있다"며, "내년부터 상업가동이 실현될 LNG 사업을 바탕으로 사회적 가치 창출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사회적 가치는 SK그룹이 집중하고 있는 사업모델 혁신방향으로, 각 관계사들은 영업이익 등 경제적 가치(EV, Economic Value)와 함께 사회적 가치(SV, Social Vale)를 매년 측정하고 이를 강화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여 실행하는 등 'DBL'(Double Bottom Line)을 주요 경영지표로 삼고 있다. 2019년에 첫 측정값 발표이래, 올해로 5년째를 맞고 있다.

2023-06-13 14:39:12 허정윤 기자
기사사진
삼성전자, "갤북3울트라로 디아블로 IV 즐기세요"…구매자에게 다양한 혜택 제공

대세와 대세가 만났다. 삼성전자와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디아블로 IV'와 함께 '갤럭시 북3 울트라' 특별 프로모션을 실시한다. 갤럭시 북3 울트라는 게이머들을 위한 고성능 노트북으로, 해당 제품을 구매한 소비자는 선착순으로 '디아블로 IV 한정 소장판 박스'와 '디아블로 IV 눈송이 포인트'를 제공받을 수 있다. 13일 삼성전자는 "이번 프로모션은 11년만에 선보이는 디아블로 시리즈의 최신작 '디아블로 IV'의 출시를 맞아, 몰입감 있는 게이밍 환경을 제공하는 '갤럭시 북3 울트라'의 구매 고객들에게 차별화된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이달 30일까지 '갤럭시 북3 울트라'를 구매한 고객에게 선착순으로 혜택을 제공한다. 특히 한정 수량으로 준비된 '디아블로 IV 한정 소장판 박스'는 ▲디아블로 IV 소장판 아트북 ▲창조의 양초 ▲불가사의한 마우스패드 등 디아블로 팬들에게 소장가치가 높은 아이템들로 구성됐다. 함께 제공되는 '디아블로 IV 눈송이 포인트'는 디아블로 IV 이벤트 사이트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삼성전자는 이달 21일까지 더현대 서울에서 운영되는 '디아블로 IV 팝업 스토어' 방문 고객에게 혜택을 제공한다. '갤럭시 북3 울트라' 진열존을 방문하는 고객은 삼성스토어 더현대 서울점에서 사용 가능한 할인 쿠폰을 받을 수 있다. '갤럭시 북3 울트라'는 한층 업그레이드된 CPU·GPU 기반의 강력한 성능으로 '디아블로 IV'를 즐기기에 최적화된 고성능 노트북이다. 엔비디아(NVIDIA) DLSS 3(Deep Learning Super Sampling 3)를 지원하는 '엔비디아 지포스 RTX 4070/4050' 노트북용 외장그래픽을 탑재해, 사용자는 보다 강력한 퍼포먼스로 디아블로 IV를 즐길 수 있다. 또한, 갤럭시 북3 울트라의 '다이나믹 AMOLED 2X' 디스플레이는 컬러 볼륨 120%로 실제에 가까운 색감을 제공하고 깊은 명암비를 구현해 실감나는 게이밍 환경을 제공한다. 돌비 애트모스(Dolby Atmos)로 튜닝된 AKG 쿼드 스피커는 깊고 웅장한 사운드를 선사해 게임의 몰입감을 높여준다.

2023-06-13 14:34:37 허정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