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 제로성장 위기] '제2의 반도체' 찾아라, 신산업 육성만이 살 길
한국 경제가 1년째 '제로 성장'(0.1% 이하 성장률) 상태에 빠진 가운데, 지금이야말로 민관이 힘을 합쳐 '제2의 반도체'가 될 신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6일 관련 업계 등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3월 '신성장 4.0 15대 프로젝트'를 통해 인공지능(AI), 첨단바이오, 양자기술을 '3대 게임체인저' 기술로 선정하고, 올해에만 3조40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또 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우주항공, 전기차, 로봇 등 5대 신산업에는 총 75조4000억원 규모의 정책금융을 집중 지원하고, 2030년까지 민관 합산 60조원 규모의 연구개발(R&D) 투자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국내 주요 기업들도 위기의식을 공유하며 미래 산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AI 반도체와 첨단 패키징 분야에 주력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경기 기흥과 온양에 반도체 후공정 패키징 공장 신설을 추진 중이다. SK하이닉스는 약 120조원을 들여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하며 AI 반도체 생산 기반을 강화하고 있다. 현재 SK하이닉스는 AI용 HBM 시장에서 글로벌 점유율 70%를 기록 중이다. LG전자는 로봇, 기업간 거래(B2B), 헬스케어를 중심으로 미래 사업 전환에 나섰다. 서비스 로봇 '클로이'는 연내 상용화를 앞두고 있으며, 국내 서비스로봇 회사인 '레인보우로보틱스'와 협업해 실내 배달로봇 사업도 확대 중이다. LG그룹은 2030년까지 로봇·모빌리티 분야에 50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현대차그룹은 전기차와 도심항공교통(UAM)을 두 축으로 삼아 2030년까지 65조원을 투자한다. 자율주행 전기차 '아이오닉 5' 로보택시는 현재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시범 운행 중이며, 현대차그룹의 UAM 자회사인 슈퍼널이 개발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 'S-A2 '도 2028년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모든 전략이 효과를 내려면 결국 '퍼스트 무버'가 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지금까지는 선진 기술을 빠르게 따라가는 '패스트 팔로워' 전략이 통했지만, 글로벌 기술 경쟁이 격화된 지금은 '퍼스트 무버'가 아니면 살아남기 어렵다는 것이다. 한 전문가는"게임체인저 산업은 단기간에 성과가 나타나지 않지만, 방향을 놓치면 아예 시장 진입 기회를 잃게 된다"며 "정부가 일관된 정책 메시지를 보내야 민간의 과감한 투자가 뒤따를 수 있다"고 말했다. 정연승 단국대 경영대학원장 교수도 "정부의 강력한 정책 추진과 민관 협력을 통해 산업 전반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속가능한 성장 구조를 마련하는 것이 핵심 과제"라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신산업 육성의 성공 열쇠가 민관 협력에 있다고 입을 모은다. 정부의 규제 혁신과 제도 기반 마련, 기업의 기술 투자, 학계와 연구 기관의 인재 양성이 동시에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이혜민기자 hyem@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