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모평 영어 1등급 1.47% 그쳐…국어·수학도 작년 ‘불수능’ 수준
지난달 4일 치러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6월 모의평가(모평)에서 영어 1등급을 획득한 수험생이 전체 1.47%에 그치며 '불영어'라는 지적이 나온다. 전체적으로도 '불수능'으로 평가된 지난해 수능보다 어렵게 출제된 것으로 나타나면서 난이도 조절 논란이 예상된다. 수능 출제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평가원)은 1일 '2025학년도 수능 6월 모평 채점 결과'를 발표했다. 평가원은 앞서 6월 모평을 앞두고 '킬러문항'(초고난도 문항)을 배제하면서도 변별력을 확보하겠다고 밝혔지만, 국어영역을 비롯해 수학, 영어 모두 매우 어려웠다는 평가가 나온다. 전 영역 만점자는 6명이다. ■ 국어·수학·영어 다 어려웠다 정부 방침에 따라 '킬러문항'이 배제된 이후 국어, 영어, 수학영역에서 사실상 모두 어렵게 출제되고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6월 모평에서는 특히 영어영역 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 1등급은 39만2110명 중 5764명으로, 1.47%에 그치며, 영어 절대평가 도입이래 평가원, 본수능 모두에서 1등급 비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1등급 비율이 4.71%였던 지난해 수능보다 3.24%p 줄었다. 영어는 100점 만점에 90점을 넘으면 1등급을 얻을 수 있는 절대평가로 치러진다. 수험생의 경쟁 부담을 줄인다는 취지에서다. 그러나 상대평가 1등급이 상위 누적 4%, 2등급이 누적 11%라는 점에서, 이번 영어는 이보다 1등급 비율이 낮다. 6월 모평 영어 2등급 누적은 9.47%다. 국어와 수학영역도 까다로웠다. 두 영역 표준점수 최고점은 각각 148점과 152점으로 '불수능'으로 평가된 지난해 수능 표준점수 최고점과 비슷하게 나타났다. 수학은 통합수능 도입이래 "가장 어렵게 출제됐다"는 평가도 나온다. 1등급 내 점수 차를 보면, 최고점 152점, 최저점 135점으로 17점 차가 난다. 지난해 본수능 1등급 최고점(148점), 최저점(133점) 점수차는 15점으로, 이보다 더 크게 발생했다. 상위권 변별력이 크게 형성된 셈이다. 국어영역의 경우, 1등급내 표준점수 최고점과 최저점은 각각 148점, 132점으로 16점 차가 발생했다. 지난해 본수능 최고점(150점), 최저점(133점)의 점수차(17점차)와 비슷한 수준이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이사는 "국어·수학영역은 최상위권 1등급도 풀기 어려울 정도로 상위권 변별력 확보되는 수준으로 보인다"라며 "영어과목도 절대평가 과목임에도 상대평가 때보다 더 어렵게 출제되면서 수험생 입장에서는 매우 큰 혼란이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난이도 조절 어려워…수능, 공교육 맞춰 출제" 출제본부는 이번 평가에서 '난이도 조절의 어려움'이 있었다고 밝혔다. 오승걸 평가원장은 이번 결과에 대해 "출제경향 변화에 대한 학생들의 적응도 등 올해 응시 집단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는 데 다소 어려움이 있었다"라며 "9월 모평과 수능은 공정수능 기조를 유지해 공교육 과정을 통해 충분히 준비할 수 있는 수준에서 출제되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영어영역의 경우, 절대평가 취지에 맞는 적정 수준의 난이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해 출제하겠다"라며 "수험생들은 사교육에 의존하지 말고 학교 수업을 중심으로 수험 준비를 해 달라"며 당부했다. 6월 모평 응시자는 총 39만2783명이었다. 47만4133명이 원서를 접수했지만, 8만1350명(17.1%)이 시험을 보지 않았다. 전체 응시자 가운데 고교 3학년 재학생은 31만8906명(81.1%), 졸업생과 검정고시 합격자 등 'N수생'은 7만3877명(18.8%)이다. 접수 당시 N수생은 8만8698명이었지만, 1만4821명(16.7%)이 결시했다. 지난해 6월 모평에서 N수생 응시자 비율은 19.8%였지만, 올해는 1.0%p 하락했다. / 이현진 메트로신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