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팔 전쟁發 후폭풍] 車업계 전쟁 장기화 조짐에 긴장감 고조
지난 7일(현지시간)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이스라엘 기습 공격으로 시작된 전쟁이 장기화 조짐을 보이면서 국내 완성차업계가 촉각을 세우고 있다. 자칫 이스라엘과 이란의 전쟁으로 확전될 경우 유가 상승, 인플레이션 증가 여파로 수요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현대자동차그룹은 현지 판매와 미래 모빌리티 기술력 확보에 제동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18일 완성차 업계에 따르면 '창업국가' 이스라엘은 현대차그룹의 미래 모빌리티 기술력 확보를 위한 중요한 R&D 거점 중 하나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2017년 이스라엘의 유망 스타트업과 손잡고 미래 모빌리티 기술 개발에 힘을 싣고 있다. 특히 현대차그룹은 해외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 육성하고 이들과의 협업을 통해 첨단 기술을 확보한다는 '글로벌 오픈 이노베이션' 전략의 일환으로 세계 5개 지역(이스라엘·미국·중국·독일·싱가포르)에 글로벌 혁신 거점인 크래들을 운영하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이스라엘 '텔 아비브'다. 2018년 설립된 크래들 텔 아비브는 올해까지 17개의 이스라엘 회사에 투자하고 25건 이상의 기술 검증 과제를 진행하는 등 매년 현지 스타트업과 신규 협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 현대차그룹은 자율주행 센서인 라이다 기술을 보유한 옵시스(Opsys), 차량용 반도체 개발회사 오토톡스(Autotalks), 딥러닝 기반의 인공지능(AI) 기술을 연구하는 알레그로(Allegro.ai), 드론 개발 업체 퍼셉토(Percepto), 수소 연료를 개발하는 에이치투프로(H2PRO), AI를 통한 자동차 결함 검사 시스템을 개발하는 유브이아이(Uveye) 스마트 글래스를 제조하는 가우지(Gauzy) 등 여러 이스라엘 스타트업들과 맞손을 잡았다. 대규모 투자와 공동개발을 통해 급변하는 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4차 산업 혁명을 이어간다는 전략이다. 특히 현대차그룹의 이스라엘 스타트업과의 협업 강화는 정의선 회장이 직접 챙기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5월에는 이스라엘 정부가 모빌리티 분야의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해 설립한 에코모션(EcoMotion) 주관으로 텔아비브에서 열린 이스라엘 최대 스타트업 '에코모션 위크 2023'에 참여하기도 했다. 당시 현대차그룹은 이스라엘 혁신청과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혁신적인 이스라엘 스타트업의 발굴과 육성 지원에도 나서기로 했다. 이처럼 이스라엘이 현대차의 중요한 R&D 거점 중 하나로 급부상하면서 전쟁이 장기화될 경우 미래 모빌리티 개발에 타격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또 국내 완성차 업체들의 이스라엘 현지 판매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 현재 현대차·기아의 이스라엘 수입차 점유율은 28.2%로 1~2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스라엘 자동차 수입협회에 따르면 현대차의 올해 1~8월 이스라엘 판매량은 3만6459대, 같은 기간 기아 판매량은 2만7399대다. 양사 모두 도요타(2만3483대)를 제치고 이스라엘 시장 점유율 현대차 16.4%, 기아 12.3%를 기록했다. 지난해 이스라엘을 포함한 중동 지역에서 28만7000대를 판매한 현대차는 올해 3만대를 더 늘린 31만9000대 판매를 목표로 한다. 이는 전년 대비 11.1% 높인 것으로 북미 성장률(9.6%)보다 더 높다. 기아는 지난해 중동 지역에서 20만2000대를 팔았는데 올해는 이보다 8.0% 많은 21만9000대를 판매 목표로 잡았다. 유럽시장에 이어 아프리카와 중동 시장 등 수출 물량을 확대하고 있는 KG 모빌리티도 부담이다. KG 모빌리티는 지난해 4만5294대를 글로벌 시장에 수출, 이중 3819대를 중동 지역에 인도했다. 이스라엘에는 지난달까지 총 300대가 판매된 것으로 알려졌다. 중동 시장 공략을 위해 사우디아라비아 협력사 사우디 내셔널 오토모빌스(SNAM)와 반조립제품(KD) 협력사업 'SNAM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아직까지 본사에 보고된 직접적인 피해 상황은 없다"며 "전쟁이 장기화될 경우 현지 사업에 타격이 있을 수 있는 만큼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완성차 업계관계자는 "이스라엘이 이번 사태 배후로 이란을 지목해 전쟁이 확대될 경우 국제 유가 상승과 인플레이션 급등, 경기침체 등 최악의 상황을 맞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