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
기사사진
삼성 '모니모' 해보니…"높은 연계성, 접근성은 미흡"

삼성금융네트웍스(삼성생명·화재·카드·증권)가 야심차게 선보인 금융 통합앱 '모니모(monimo)'. 하나의 앱에서 삼성 금융 4사의 모든 정보를 조회·분석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하지만 일부 서비스는 삼성카드와 삼성증권 계좌 보유 고객만 이용할 수 있었다. 연계성이 높았지만 접근성은 미흡했다. 삼성금융네트웍스 모니모 서비스는 지난 14일 개시했다. 삼성생명·화재·카드·증권이 참여한 이 서비스는 한 가지 앱을 통해 모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모니모 인증서부터 예상외의 부동산 꿀팁도 모니모에 들어가니 우선 개인정보 필수 수집·이용 동의 후 앱이 실행됐다. 여기에 공동인증서나 모니모 인증서까지 등록하면 '모니모' 내의 서비스를 대부분 이용할 수 있었다. 눈에 띄는 건 '모니모 인증서'였다. '모니모 인증서'란 송금 및 금융 계약 체결 등 중요 거래시 전자서명이 가능한 '모니모' 전용 인증서다. '모니모' 회원이라면 본인 인증 및 계좌 인증(1원인증)을 거치면 누구나 일반거래인증서 발급이 가능하다. 모니모 인증서 발급을 위해 계좌정보를 입력하니 곧바로 1원이 입금됐다. 입금자명에서 삼성 앞 숫자 4자리를 인증하니 ▲휴대폰번호 ▲통신사 ▲이름 등의 정보가 떴다. 약관에 동의한 뒤 인증번호 6자리를 인증하니 인증서 발급이 완료됐다. 이 과정까지 소요된 시간은 단 3분 남짓이었다. 공동인증서와 대비해 유효기간도 월등히 길었다. 모니모 인증서의 유효기간은 무려 10년이다. 단 3분 만에 10년간 사용할 수 있는 인증서로 200만원 초과 고액송금, 펀드 가입 등이 가능해진 셈이다. 관심 분야를 설정해 개인에게 맞춤 금융정보를 알려주고, 모니모 전용 리워드 젤리도 특징이다. 특히 젤리는 모니머니로 교환해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다. 젤리를 발급받는 과정도 간단했다. ▲출석체크 ▲걷기 챌린지 ▲젤리 챌린지 등에 도전하니 곧바로 1스페셜젤리와 2젤리를 획득했다. 클릭 몇 번만으로 1130원을 벌게 된 것. 부동산 탭도 돋보였다. 삼성생명·화재·카드·증권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앱인 만큼 부동산 탭에 대한 기대가 낮았지만, 예상외로 쉽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했다. 먼저 부동산 탭에 들어가면 위치 기반 서비스를 활용해 주변 지역의 아파트 시세와 ▲청약 ▲호재 ▲교육 등을 바로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해 지역별 투자점수와 가격상승도 체크해줬다. 부동산 투자에 입문한 일명 '부린이(부동산+어린이)'에게 유용한 서비스일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삼성카드·증권 회원만 이용 가능한 서비스도 삼성금융사만 모여 만든 앱인 만큼 한계점도 존재했다. 신용관리와 젤리투자 서비스의 경우 삼성카드와 삼성증권 계좌 보유 고객만 이용할 수 있었다. 모니모는 기존 삼성금융에서 제공하지 않았던 ▲계좌통합관리 ▲간편송금 ▲신용관리 ▲환전 및 부동산·자동차 시세조회 등 종합 금융 서비스까지 제공을 목표로 했다. 다만 기존에 삼성카드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고객의 경우 '모니모'의 핵심 서비스 중 하나로 꼽히는 신용관리를 이용하기 위해 새로운 카드를 발급받아야 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들었다. 젤리투자도 마찬가지다. 모니모 전용 리워드인 젤리를 통한 투자가 가능하려면 삼성증권 계좌가 필요했다. 출석체크와 간단한 미션 등으로 받은 젤리를 간편하게 펀드 등에 투자할 수 있다는 점은 장점이지만, 삼성증권 계좌를 보유한 고객 한정이라는 점에서는 아쉬움이 남았다. 타 금융앱의 마이데이터 서비스와 달리 '모니모'를 통해서는 삼성 금융사 상품만 가입이 가능하다는 점도 단점으로 꼽힌다. 삼성금융네트웍스의 자체 데이터만으로는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내놓기에는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금융권 관계자는 24일 "삼성 금융사들의 통합 앱으로서 연계성이 장점"이라며 "하지만 말 그대로 통합했다는 것을 제외하면 기존의 유사 어플들과 비교해 별도의 기능이나 장점이 존재한다고 보긴 어렵다"고 했다.

2022-04-24 09:15:02 백지연 기자
기사사진
하나금융, 1분기 순이익 9022억 달성…"1500억 자사주 소각"

하나금융그룹은 코로나19 장기화에도 불구하고 비은행 관계사가 성장하며 올해 1분기 호실적을 거뒀다. 하나금융은 2022년 1분기 연결 기준 당기순이익이 902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0%(666억원) 증가했다고 지난 22일 밝혔다. 당기순이익이 9000억을 돌파하며 1분기 중 역대 가장 높은 실적을 달성했다. 하나은행은 "코로나19 장기화 등 대내외 불확실성 속에서 선제적 대손충당금 적립과 은행, 카드사의 특별퇴직에 따른 대규모 일회성 비용에도 불구하고 핵심이익의 견조한 성장과 수익 포트폴리오 다각화에 힘입은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자이익과 수수료이익을 합한 핵심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2.9% 증가한 2조4737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5분기 연속 증가세다. 이자이익은 2조203억원, 수수료이익은 4535억원을 달성했다. 주력 계열사인 하나은행은 당기순이익 6671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5.9% 증가한 수치다. 하나금융은 중소기업 중심의 대출 자산이 증가했고, 저원가성예금을 높이려고 노력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비은행 관계사인 하나금융투자와 하나캐피탈, 하나카드도 모두 전분기 대비 당기순이익이 성장했다. 하나금융투자는 전분기 대비 23.5% 증가한 1193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하나캐피탈과 하나카드의 당기순이익은 각각 913억원, 546억원이었다. 이는 전분기 대비 15.8%, 6.1% 증가한 수치다. 하나금융의 올해 1분기 대손충당금 등 전입액은 180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2.4% 증가했다. 자산건전성 지표인 NPL 커버리지비율은 전년 동기 대비 30.24%포인트 증가한 160.4%를 기록했고,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0.36%로 전년 동기 대비 0.04%포인트 올랐다. 또 하나금융그룹 이사회는 2005년 지주사 설립 이래 최초로 1500억원 규모의 자사주 소각을 결정했다. 하나금융 관계자는 "이번 자사주 소각은 15년간 이어온 중간배당 전통 계승과 다변화된 주주환원정책의 일환"이라며 " 앞으로도 주주들의 신뢰에 보답하고 주주가치 향상을 위해 다양한 주주환원정책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2022-04-24 08:35:16 구남영 기자
기사사진
KB금융, 1분기 당기순이익 1조4531억원…'No.1 기업금융 플랫폼' 도약

KB금융그룹이 견고한 펀더멘탈(Fundamental, 경제기초)과 이익체력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KB금융그룹의 올 1분기 1조4531억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고 23일 공시했다. 이는 전년 동기(1조2700억원) 대비 14.4% 증가한 수준이다. 1분기 중 채권금리 상승과 주가지수 하락으로 유가증권 및 파생상품 관련 실적이 다소 부진한 상황 속에서도 여신성장과 순이자마진(NIM) 확대에 힘입어 이자이익이 견조한 상승세를 보이면서다. 그룹차원의 일반관리비 관리와 선제적인 자산건전성 관리 노력의 결실도 가시화된 데 기인했다. KB금융 관계자는 "이번 분기에 발생한 대손충당금 환입(세후 약 590억원)과 은행의 법인세 환입(약 690억원) 등 일회성이익을 제외한 당기순이익은 1조3249억원 수준으로 경상적 기준으로도 견조한 이익성장 기조가 이어지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주요 경영지표 가운데 1분기 그룹 순이자마진(NIM)은 1.91%로 금리상승 영향으로 전 분기 대비 6베이시스포인트(bp·1bp=0.01%포인트) 상승했다. 인력구조 개편과 비용감축 노력의 결실로 비용효율성 지표인 CIR(Cost-to-Income Ratio)은 45.4%를 기록해 뚜렷한 하향 안정화 기조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그룹 대손충당금전입비율은 일회성 대손충당금 환입(약 820억원) 영향으로 0.15%로 나타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와 금리상승 기조 속에서도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는 평가다. 실적발표회에서는 KB금융의 기업금융 디지털 플랫폼의 차별적 경쟁력에 대해서도 언급됐다. KB기업금융 플랫폼에서는 통합 기업자금관리 서비스인 '스타(Star) CMS'와 같은 경영지원 서비스와 'KB비대면소상공인대출', 'KB셀러론' 등 업계를 선도하는 상품을 제공함으로써 기업고객의 니즈를 다각도로 충족하고 있다. 향후 기업금융에서 차별적인 상품 라인업을 개발하여 기업금융 시장을 주도하는 것은 물론, 그룹 계열사의 각종 기업금융 서비스를 KB스타기업뱅킹에서 제공하는 확장형 기업금융 플랫폼을 구축하여 No.1 기업금융플랫폼으로 거듭난다는 전략이다. KB금융 재무총괄 담당임원은 "KB금융은 기업금융 전문성에 기반해 다양한 경영지원 서비스와 상품 라인업을 탑재한 기업금융 디지털 플랫폼을 구축하고, 기업고객 유형과 사용자별 니즈에 최적화된 웹 기반의 '기업인터넷뱅킹'과 모바일 기반의 'KB스타기업뱅킹', 두 가지 플랫폼의 차별적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2022-04-23 22:57:21 백지연 기자
기사사진
우리금융, 1분기 순익 8842억원…분기 최대실적 기록

우리금융그룹이 1분기 2019년 지주사 전환 이후 최대 분기 실적을 달성했다. 우리금융은 1분기에 8842억원의 당기순이익(지배기업 지분 순이익 기준·잠정)을 거뒀다고 22일 공시했다. 이는 작년 1분기(6천671억원)보다 32.5% 증가한 것으로 전 분기보다 126.7% 불었다. 종전 분기 최대 실적인 7천782억원(2021년 3분기)보다도 13.6% 늘어난 규모다.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으로 구성된 순영업수익은 2조3712억원을 기록하며 1년 전보다 19.3% 증가했다. 이자이익은 기업대출 중심의 자산 성장과 핵심 저비용성 예금 증대 등 수익구조 개선 노력으로 1조9877억원을 시현했다. 비이자이익은 그룹 전 자회사의 영업력 강화에 따른 핵심 수수료이익 증가와 우리은행의 외환·파생 분야 이익 호조로 전년 동기 대비 4.4% 증가한 3835억원을 기록했다. 자산건전성을 보면 고정이하여신(NPL) 비율 0.28%, 연체율 0.21%의 안정적 수준으로 관리됐다. 우량자산비율과 NPL커버리지비율은 각각 90.0%, 205.1% 기록하며 미래 경기 불확실성에 충분한 대응 여력을 확보했다. 주요 자회사별 연결 당기순이익은 우리은행 7615억원, 우리카드 855억원, 우리금융캐피탈 491억원 및 우리종합금융 200억원 등이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이번 1분기 실적을 통해 수익의 외형적 성장 뿐만 아니라, 이익 창출력 다변화 및 탁월한 비용 관리 역량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2022-04-22 15:07:11 이승용 기자
기사사진
신한은행, 배달앱 땡겨요 입점업자 대상 ‘사관학교’ 운영

신한 소호 사관학교 19기 개강식 모습./신한은행 신한은행은 금융권 최초의 배달앱 '땡겨요'에 입점한 자영업자 고객들을 대상으로 '신한 SOHO사관학교'를 진행해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한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19기째 진행중인 '신한 SOHO사관학교'는 '땡겨요' 입점 가맹 자영업자들을 대상으로 지원 받아 30명을 선발·진행해 '땡겨요 사관학교'로 운영하고 있으며 교육 과정은 ▲브랜딩 및 홍보전략 ▲'땡겨요' 플랫폼 활용법 ▲선배 자영업자의 노하우 공유 등을 교육한다. 또한 신한은행에서 운영중인 자영업자 컨설팅 센터인 '신한 SOHO성공지원센터'를 연계해 사관학교 수료 후에도 ▲상권분석 컨설팅 ▲정책자금안내 ▲'신한 SOHO사관학교' 출신 선배 자영업자들의 실전멘토링 등 케어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이번 '땡겨요 사관학교' 종료 후 다양한 피드백 등을 받아 정규 과정으로의 편성도 검토하고 있다"며 "'너도살고 나도사는' 이라는 슬로건에 발 맞춰 자영업자분들과의 상생을 추구하는 ESG 경영을 실천해 '땡겨요'에 입점한 가맹점 사장님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땡겨요'는 '너도살고 나도사는 우리동네 배달앱'을 슬로건으로 낮은 중개 수수료와 빠른 정산 서비스로 최대 1.5%의 포인트 적립과 '땡겨요' 전용카드 10%할인 등의 다양한 혜택을 통해 이용자, 가맹점주 그리고 배달라이더까지 참여자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착한 플랫폼을 추구하는 신한은행의 배달앱이다. /이승용기자 lsy2665@metroseoul.co.kr

2022-04-22 14:35:59 이승용 기자
기사사진
우리은행, '원더랜드' 주택청약 컨설팅 오픈 이벤트

/우리은행 우리은행은 22일 부동산플랫폼 '우리원더랜드' 앱의 주택 청약컨설팅 서비스 오픈을 기념해'원더랜드 청약마을 탐험하기'이벤트를 오는 5월 31일까지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이벤트는 주택청약종합저축 신규가입 고객은 물론 기존 가입고객(청약예금·부금·저축 포함)도 참여할 수 있다. 참여 방법은'우리원더랜드'앱 회원가입 및 청약 상담서비스 이용 동의 후 이벤트에 응모하면 된다. 추첨을 통해 신규가입 고객, 기존 가입 고객 각 100명씩 총 200명에게 신세계 모바일 상품권 ▲5만원권(20명), ▲3만원권(60명), ▲1만원권(120명)을 제공한다. 또한 '우리원더랜드' 청약컨설팅 서비스에서 청약 가점계산을 하고 우리은행 SNS계정에 친구를 태그해 댓글을 남기면 추첨을 통해 5명에게 웨스틴 조선 서울 애프터눈 티 세트를 제공한다. 자세한 이벤트 내용은 '우리원더랜드'와 우리WON뱅킹 앱, 인터넷뱅킹의 이벤트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부동산 금융 특화 앱인'우리원더랜드'의 청약컨설팅 서비스를 통해 분양정보, 청약상담, 청약 제도·상품 등 주택청약에 관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우리은행 주택청약상품을 이용하는 고객들을 위한 다양한 컨텐츠와 이벤트를 제공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승용기자 lsy2665@metroseoul.co.kr

2022-04-22 14:35:58 이승용 기자
기사사진
두나무, ESG 경영위원회 공식 출범

/두나무 가상화폐 거래소 업비트 운영사인 두나무는 ESG(환경·사회적 책무·기업지배구조 개선) 경영위원회를 공식 출범한다고 22일 밝혔다. 두나무 ESG 경영위원회는 송치형 회장이 위원장을 김형년 부회장이 부위원장을 맡았다. 이 밖에도 이석우 대표이사(CEO), 임지훈 최고전략책임자(CSO), 정민석 최고운영책임자(COO), 남승현 최고재무책임자(CFO)로 구성됐다.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중 ESG 경영위원회를 발족한 곳은 두나무가 최초다.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인 ESG를 고려한 경영을 선제적으로 추진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ESG 경영위원회에서는 ▲ESG 전략 관련 기본 방향 설정 ▲ESG 관련 규정 제정 및 개정 ▲ESG 관련 활동의 실행 계획에 대한 검토 ▲ESG 관련 활동에 대한 성과 모니터링 및 평가 등을 수행하게 된다. 두나무는 기업의 윤리성 및 투명성 확립과 함께 '세상에 이로운 기술과 힘이 되는 금융으로 미래세대를 키웁니다'는 슬로건을 내세우고 '나무', '청년', '투자자 보호'라는 두나무만의 3가지 키워드를 설정했다. 이에 따라 ▲함께하는 기후변화 행동 ▲상생하는 기술과 금융 ▲책임경영과 투명한 지배구조를 ESG 활동 핵심과제로 전개해 나가고 있다. 두나무는 "가상화폐 거래소를 보유한 블록체인 및 핀테크 전문기업 중 ESG 경영위원회를 발족하는 것은 국내 최초다"며 "ESG 경영 체계를 공고히 해 사회 구성원으로부터 신뢰받는 기업이 되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승용기자 lsy2665@metroseoul.co.kr

2022-04-22 14:35:26 이승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