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대출 3번째 만기연장?…은행 부실폭탄 터질라
다음달 종료 예정이던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출 만기연장과 원리금 이자상환 유예조치가 또다시 연장될 전망이다. 세 번째다. 금융당국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거리두기로 민간경제의 피해가 확대돼 지원연장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반면 은행권은 1년 이상의 만기연장이 금융리스크로 전이될 수 있다고 우려한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다음달 말 종료되는 코로나대출 만기연장 및 이자상환 유예조치와 관련해 대출만기는 연장하고, 이자상환 유예조치는 종료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코로나대출 만기연장 및 이자상환 유예조치는 지난해 2월 정부방침에 따라 실시된 뒤 2차례 연장돼 오는 9월 말 종료 예정이었다. 이번까지 연장되면 세 번째 연장되는 셈이다. 금융당국은 특히 금리인상 시기와 맞물려 코로나대출 만기연장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33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0곳 중 8곳(78.5%)은 대출 만기연장 조치가 추가 연장돼야 한다고 응답했다. 추가연장이 필요한 이유로는 코로나 재확산으로 인한 매출감소가 76.4%로 가장 많았고, 대출상환 및 이자납부를 위한 자금여력부족(56.8%), 하반기 대출금리 인상 우려(40.2%) 순이었다. 거리 두기에 따른 매출감소와 금리인상으로 이자부담이 가중되는 만큼 대출만기 연장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은행들은 코로나대출 만기연장 조치가 한계기업의 연명치료에 불과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에서 이달 중순까지 만기가 연장된 대출잔액은 103조8270억원으로 지난해 말 58조9241억원과 비교해 76% 증가했다. 같은기간 대출원금을 나눠갚고 있던 분할 납부액 중 상환을 미룬 원금은 8조6210억원, 이자유예금은 561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42%, 32% 늘었다. 은행권 관계자는 "연체가 2회 이상 된 대출은 40%정도가 부실로 결론나는데, 만기·이자유예가 계속되면서 이를 확인할 길이 없다"며 "자영업자 등 상당수는 매출감소로 대출을 상환할 능력이 떨어졌기 때문에 계속 유예하면 부실률만 높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업계 안팎에서는 이자상환 유예조치만 종료하는 것에 무게가 실릴 수 있다고 관측한다. 이자상환 유예조치는 당장 중단하더라도, 금융권 전체 지원규모가 2000억원 정도에 불과해 피해가 많지 않고, 이자상환을 통해 부실률을 예측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단 최종결정은 고승범 금융위원장 후보자의 취임 이후에 결정될 전망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당장 모든 대출을 다 갚는 것은 부실을 오히려 가중시킬 수 있다"며 "금융권과의 추가 협의를 통해 추가연장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