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금융 상반기 순이익 2조4438억원…창립이래 최대
신한금융그룹/뉴시스 신한금융그룹이 창립이래 상반기 최대 순이익을 달성했다. 신한금융의 2분기 당기순이익은 1조2518억원으로 상반기 순이익은 2조 4438억원이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보다 35.4% 증가한 실적으로 2001년 창립이래 최고 실적이다. 27일 신한금융은 지난 2분기 당기순이익이 전년 동기(8731억원) 대비 43.4%증가한 1조2581억원이라고 밝혔다. 시장에서 전망한 1조816억원을 뛰어넘은 수준이다. 신한금융은 "그룹사 전 부문의 수익이 고르게 성장해 역대 최고실적을 견인했다"며 "특히 금투, 캐피탈, 자산운용 등 자본수익성이 높은 자본시장 관련 자회사들의 이익기여도가 높아지면서 이익의 양적·질적 측면이 모두 개선됐다"고 말했다. 신한금융그룹 당기순이익/신한금융그룹 신한금융의 상반기 이자이익은 4조3560억원으로 전년(4조230억원)대비 8.3% 증가했다. 그중에서도 은행 이자이익이 2조9510억원에서 3조1660억원으로 늘었다. 대출과 핵심예금이 모두 증가한데 따른 것이다. 이에 따른 은행 순이자 마진 역시 전분기(1.39%)대비 0.01%포인트(p)오른 1.40%를 기록했다. 비이자이익은 1조1900억원으로 전년(1조720억원) 대비 11% 상승했다. 수수료이익이 1404억원으로 가장 컸고 이외 유가증권 및 외환·파생 이익이 8290억원, 보험 관련 이익이 5430억원이었다. 수수료이익 중에선 증권수탁수수료가 2620억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는데, 성장률로 봐도 1년 전 1860억원에서 40% 늘어나 가장 높았다. 신용카드 수수료이익은 1730억원에서 1820억원 으로 5.2% 증가했다. 이에 따라 은행·비은행 간 손익기여도 역시 균형을 찾아가고 있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비은행 부문의 당기순이익 비중은 41%, 은행부문이 59%를 차지했다. 그러나 올해 상반기 당기순이익 비중은 비은행 47%, 은행 53%로 격차가 줄었다. 그룹사별 당기순이익 비중/신한금융그룹 신한금융은 지난해 코로나19 위기상황을 고려한 체계적 리스크관리를 바탕으로 대손비용의 안정적인 관리가 가능했다고 밝혔다. 상반기 신한금융의 충당금 적립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4630억원 감소한 3590억원을 기록, 그룹 대손비용률은 전 분기 대비 20bp 개선됐다. 주요 경영지표인 ROE는 11.5%, 총자산이익률(ROA)은 0.82%로, 그룹의 총자산은 전년 동기 대비 7.4% 증가한 861조7000억원을 기록했다. 그룹사별로 순이익을 살펴보면 신한은행은 1년 전(1조1407억원)보다 20.2% 증가한 1조3709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제주은행은 1200억원에서 1410억원으로 38.2% 상승했다. 비은행 중에선 신한카드가 3672억원으로 21.4% 성장했고, 신한금융투자는 465.5% 오른 3229억원의 순이익을 신고했다. 오렌지라이프, 신한캐피탈 역시 각각 57.7%, 55% 늘어난 2168억원, 1313억원의 순이익을 올렸다. 신한금융은 이날 예측가능한 주주환원 정책을 실행하기 위해 6월 말 기준 주주를 대상으로 전년도 주당 배당금을 감안해 분기별로 균등한 금액을 지급하는 것을 검토했다. 신한금융 관계자는 "분기배당과 관련된 사항은 8월 예정인 이사회 결의를 통해 확정될 예정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