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 월 468만원 벌어 73% 생활비·교육비 지출
-하나은행 '대한민국 40대가 사는 법' 보고서 대도시에 사는 40대 소득자는 월 평균 468만원을 벌어 이중 73%를 생활비와 자녀 교육비로 지출했다. 특히 이들은 우선순위로 은퇴자산 마련이 가장 시급하다고 판단했지만, 월 저축금액은 61만원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나은행 100년 행복연구센터는 3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생애금융보고서 '대한민국 40대가 사는 법: 4대 인생과제편'을 발간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서울 및 4대 광역시(대전·대구·부산·광주)에 거주하는 40대 소득자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들 40대 소득자의 평균 세후소득은 월 468만원이며, 이중 73%인 343만원을 생활비와 자녀 교육비로 지출했다. 자녀 교육비가 61만원(13%), 그 외 지출이 282만원(60%)이었다. 저축과 투자에 쓴 돈은 126만원(27%)에 그쳤다. 특히 이들은 4대 인생과제로 ▲자녀교육, ▲주거 안정성, ▲은퇴자산 마련, ▲자기계발을 제시했다. 이들의 우선순위 1순위는 은퇴자산 마련이었다. 일을 그만두게 되는 때가 온다는 위기감 때문에서다. 40대 중 65%는 은퇴자산 마련을 위해 평균 월 61만원을 저축했다. 이들이 주로 이용하는 금융상품은 퇴직연금과 연금저축이었다. 단 이들 중 59%는 저축을 늘려야 한다고 언급했다. 소득이 높을수록 '주택마련'과 '자녀 교육비 지출'이 소득이 낮을 수록 '소득 공백기'와 '가족의 질병 사고'가 늘어나 자산을 마련하기 어렵다는 이유에서였다. 2순위는 '내집 마련'이었다. 이들중 56%는 주택을 소유하며, 전세는 18%, 월세 13%, 나머지(13%)는 부모집 등에 거주하고 있었다. 주거 관련 대출 잔액은 유주택자 평균 1억 1000만원, 전세 8000만원, 월세 2400만원이다. 대출잔액이 있는 사람 중 60%는 대출상환이 부담스럽다고 답했다. 무주택자의 92%는 주택구매를 원하며 주택 보유자의 45%는 더 나은 집으로 이주하고 싶다고 했다. 무주택자나 유주택자나 40대 대부분이 아직까지 정착할 내 집을 찾는다는 설명이다. 3순위는 자녀교육이었다. 특히 이들은 본인이 4대인생과제중 자녀교육을 가장 잘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40대 부모 중 88%는 자녀를 학원을 보내어 평균 월 107만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구소득의 20% 전후에 해당한다. 이들 중 61%는 교육비가 '경제적으로 부담스럽다'라고 답했는데, '저축을 충분히 못한다'는 게 가장 크다. '교육비가 모자라다'는 게 그 다음인데 소득이 낮아질수록 그런 경향이 커진다. 특히 40대의 자녀교육 중시는 이전세대와 같지만 방향은 조금 다르다. 자녀의 진로를 정해주기보다 원하는 삶을 찾도록 최대한 뒷받침한다는 생각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40대의 4순위는 자기계발이었다. 이들이 자기계발로 사용하는 금액은 체력단련, 재테크 공부, 특기 향상순으로 비용은 월 22만원으로 나타났다. 이원주 하나은행 연금신탁그룹장은 "40대는 경제활동 기간이 남은 만큼 은퇴자산 마련 여력은 아직 충분하다"며, "퇴직연금과 ISA 등 경쟁력 있는 장기 자산관리 수단을 제공하여 은퇴자산 마련을 지원하는 게 금융회사로서 사회공헌을 위한 길"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