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금융이해력 OECD 평균보다 낮아…소득 낮을수록 이해력↓
우리나라 성인의 금융이해력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이 낮을수록 금융이해력도 떨어졌다. 다만 금융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과 이용 정도는 양호했다.
28일 금융감독원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8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만 18~79세 국민의 금융이해력 점수는 62.2점으로 2015년 기준 OECD 평균(64.9점)보다 낮았다.
연령별로 보면 30대가 64.9점으로 가장 높았고 20대(61.8점)를 제외하면 연령이 높을수록 금융이해력 점수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40대 64.1점, 50대 63.1점, 60대 59.6점, 70대 54.2점 등의 순이었다.
성별로는 전반적인 금융이해력 수준은 남·여가 각각 62.3점, 62.1점으로 비슷했으나 남자는 금융지식 점수(67.1점)가, 여자는 금융태도 점수(62.4점)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소득별로 보면 소득이 높을수록 금융이해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월 420만원(연 5000만원) 이상 계층의 금융이해력은 65.6점에 달했지만 월 250만원(연 3000만원) 미만 계층은 58.0점에 그쳤다.
부문별로 보면 금융지식(65.7점)과 금융행위(59.9점), 금융태도(61.3점) 부문도 모두 OECD 평균(각각 69.1점, 61.3점, 65.6점)을 밑돌았다. 금융지식이란 소비자가 금융상품이나 서비스를 고를 때 적절한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을 주는 기본 지식이다. 금융행위는 재무계획과 관리, 금융상품 선택 등 금융 관련 행위를 뜻하고, 금융태도는 소비와 저축, 돈의 존재가치 등에 대한 선호도를 이른다.
OECD 산하 INFE(금융교육 국제 네트워크)에 따르면 부문별 최소목표점수 이상인 사람의 비중은 금융지식(58.3%), 금융행위(47.2%), 금융태도(43.0%) 순이었다.
금융포용 수준은 양호했다. 금융포용이란 금융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과 이용 정도를 뜻한다.
INFE가 선정한 금융상품 16개 중 5개 이상을 알고 있다고 응답한 성인의 비중은 91.0%였다. 금융상품을 1개 이상 보유하고 있다고 응답한 성인의 비율은 96.6%에 달했다. 금융상품별로는 결제성상품이 76.7%로 가장 응답률이 높았고, 대출상품이 73.5%, 보험상품이 70.1%, 저축·투자상품이 67.9%다. 최근 1년간 가족이나 친구로부터 자금을 빌리거나 위탁한 사람의 비중은 17.5%로 나타났다.
한편 우리나라 성인의 85.7%는 자신의 돈을 직접 관리하고, 가계의 93.0%는 가족 구성원과 공동으로 금전을 관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월 소득 정도의 예상치 못한 지출 상황이 발생해도 돈을 빌리거나 가족·지인의 도움을 받지 않고 스스로 감당할 수 있다고 응답한 비중은 59.9%로 나타났다. 주된 소득원이 없어져도 돈을 빌리지 않고 3개월 이상 생활비를 감당할 수 있다고 답한 비중도 56.2%에 달했다.
노후·은퇴대비 재무 계획에서는 '자신 있다'고 응답한 비중은 16.3%에 그친 반면 '자신 없다'고 답한 비중은 31.1%로 조사됐다.
금감원과 한은은 "우리나라 성인의 금융이해력이 전반적으로 OECD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기에 향후 경제·금융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저소득층과 노년층 등에 대한 경제·금융교육을 강화하고, 소비 중시 경향 등을 보이는 청년층이 올바른 금융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관련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