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
기사사진
"은행·증권 상담을 한자리에서"…금융위, '복합점포' 도입 방안 마련

내년 1분기부터 은행과 증권 등 다양한 금융상품에 대한 상담과 가입을 한 자리에서 할 수 있게 된다. 24일 금융위원회는 지난 7월 발표한 '금융규제 개혁 방안'의 후속 조치로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복합점포 도입 관련 규제 개선 방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고객은 하나의 상담 공간에서 은행과 증권 관련 상담을 '원스톱'으로 받을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금융 상품 상담을 받고자 할 경우 각 업권의 점포나 창구를 일일이 가야 했던 번거로움이 사라지는 셈이다. 이를 위해 금융위는 은행-증권간 칸막이 제거를 통한 복합점포 활성화를 우선 추진하고, 보험 등 다른 업권은 추후 공론화를 거쳐 단계적으로 도입을 검토키로 했다. 복합점포 차원에서 공동목표 설정하고 금융회사간 보완적 영업 등을 통한 시너지 창출 가능할 것이라는 게 금융위의 설명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복합점포의 공동사무실에서 은행·증권 등 직원이 고객이 가입한 기존 금융상품과 재무상태 등을 고려해 종합적인 포트폴리오를 제시할 수 있다"며 "기존 점포를 복합점포로 활용해 비용을 절감하고, 고객을 증권 등 다른 금융회사로 소개·유치해 지주의 비은행부문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이와 함께 복합점포 고객에 대해선 종합금융자문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보공유도 원활하게 이뤄진다. 고객 정보에 대한 건별 요구 방식이 동의 방식으로 합리화되기 때문이다. 다만 금융위는 이해상충 등 부작용 방지를 위해 복합점포 내에서 다른 업권 점포간 공동으로 업무 시 지켜야 할 내부통제기준을 마련토록 유도할 방침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복합점포 허용을 위한 제도 개정을 연내 추진해 내년 1분기 중 가시화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보험사 입점문제에 대해서는 방카룰 등 기존 규제체계 재검토와 업계 수용여건 등을 보아가며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2014-10-24 14:06:07 백아란 기자
기사사진
금소연 "씨티·SC銀 개인정보유출 피해 관련, 무료 손해배상 소송진행"

금융소비자연맹(이하 '금소연')은 24일 개인정보 불법 유출로 인한 피해자들의 정신적 피해를 보상받기 위해 무료로 손해배상 공동 소송에 나선다고 밝혔다. 정보 유출로 불법대출 광고 등에 악용되고 대포폰, 보이스피싱, 대출사기 등 범죄에 이용될 위험이 상존하고 있는 데 따른 조치다. 금소원 관계자는 "금융사기에 악용된 2차 피해까지 발생하는 등 개인정보 유출 피해가 지속되고 있으나 실질적인 피해 위험 제거와 보상의 조치는 없었다"며 "정보 유출의 책임을 묻고자 피해자 비용 부담 없이 무료로 참여할 수 있는 손해배상 소송을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공동 소송은 한국씨티은행과 스탠다드차타드은행(SC)의 개인정보 불법 유출 피해자를 대상으로 한다. 원고단 참여는 내달 23일까지 금소연 홈페이지에서 신청한 후 소송서류를 다운받아 증빙자료와 동봉해 우편으로 보내면 된다. 강형구 금소연 금융국장은 "금융사가 개인정보를 유출해도 피해자가 정보 유출과 금전피해 사실의 직접적인 관련성을 입증하지 못하면 책임을 지지 않는데 반해 소비자는 각종 스팸 광고에 노출된다"며 "언제 범죄에 이용될지 몰라 고통 받는 정신적 피해 보상은 법적 구제 밖에 없음으로 모든 피해자는 이번 무료 공동소송에 적극 참여해 소비자의 권리를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2014-10-24 12:36:53 백아란 기자
기사사진
서울보증, 사상 첫 내부 출신 사장 선임되나

이수룡·김욱기 …김희태·김옥찬 외부후보와 경합 치열 SGI서울보증이 27일 사장선임과 관련 면접을 진행할 예정인 가운데 내·외부 후보가 경합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보증 대표이사후보추천위원회(대추위)는 20일 차기 대표이사 사장 후보를 외부 3명, 내부 출신 3명 등 6명으로 압축했다. 이들 6명에는 관피아 논란이 제기된 공무원 출신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내부인사 출신으로는 이수룡 전 부사장과 김욱기 전 전무, 정연길 전 감사 등도 거론되고 있다. 이들 내부인사가 선임된다면 서울보증에는 사상 첫 내부 출신 사장이 탄생한다. 이 부사장은 대구공고 영남대 법학과 출신으로 지난 1979년 서울보증보험의 전신인 대한보증보험에 입사했다. 이후 1987년 서대구지점장, 1993년 기획조정실 차장을 거쳐 1995년 비전추진본부 경영전략팀장을 지냈다. 2000년에는 감사실장, 2007년에는 영업ㆍ보구상총괄 부사장을 지내는 등 회사의 주요직을 두루 거쳤다. 김욱기 전 전무는 성동고, 한양대 공업경영학과 출신으로 서울보증에서 특수영업부장, 강남지역본부장을 지낸 영업 전문가다. 제일은행 뉴욕지점, 국제금융부 차장 등 해외 경험이 많은 정연기 전 상근감사도 하마평에 오르고 있다. 외부인사로는 김희태 전 우리아비바생명 사장과 김옥찬 전 KB국민은행 부행장이 거론되고 있다. 김희태 전 사장은 우리은행 부행장을 거쳐 우리아비바생명 사장을 역임하는 등 은행과 보험사를 두루 경험한 전문가로 평가받고 있다. 또 우리은행 도교지점, 베이징법인 등 많은 해외 근무 경험도 강점으로 꼽힌다. 김옥찬 전 부행장은 최근 KB금융 회장 후보에도 이름을 올렸지만 자진 사퇴하면서 서울보증 사장에 선임 될 것으로 주목받은 인물이다. 하지만 김 전 부행장은 국민은행 출신으로 은행에서만 30년간 몸담아 온 은행맨이지만 보험업계에서는 업무 경험이 없는 점이 '흠'으로 작용하고 있다. 대추위는 면접을 통해 최종 후보자 한 명을 선정한 뒤 28일 주주총회에 상정할 예정이다.

2014-10-24 11:14:23 김형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