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에서 손 떼는 전세계 패션·뷰티 기업…국내 기업 '우려'
에스티 로더 모 매장의 향수 매대 모습. /에스티 로더 내로라하는 뷰티·패션 기업들이 러시아에서 잇따라 사업을 중단하고 있다. 현지 경제 상황이 좋지 못한 데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대응이기도 하다. 먼저 미국 화장품 기업 에스티 로더는 현지시간으로 지난 7일 러시아에서 운영하는 모든 매장을 폐쇄하고 러시아 소매업체에 제품 배송을 중단할 것이라고 밝혔다. 에스티로더 측은 "우크라이나 국민을 포함해 고통 받는 모든 이들과 함께 하고 싶다"고 취지를 설명했다. 마이클 코어스, 토미 힐피거, 캘빈 클라인 등의 브랜드를 소유한 미국의 다국적 의류 회사 PVH도 이날부터 러시아와 벨라루스에서 매장을 잠정적으로 폐쇄하고 모든 상업 활동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역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및 여기에 조력한 벨라루스에 대한 대응 차원이다. 앞서 뷰티 및 패션 시장을 주도하는 명품기업들도 러시아 압박 운동에 동참했다. 러시아에서 17개 매장을 운영하는 샤넬은 이번주부터 해당 매장들을 일시 폐쇄한다고 밝혔다. 루이비통모에헤네시그룹도 러시아 매장 운영 중단에 돌입하면서 당분간 현지에서 루이비통, 디올, 셀린느 등의 브랜드를 살 수 없게 됐다. 여기에 스웨덴 브랜드 H&M, 스페인의 자라, 그리고 나이키, 아디다스 등 패션·의류 기업들이 러시아와의 사업 및 수출 중단을 선언했다. 나이키는 지난주 러시아에서 제품 배송을 보장할 수 없다면서 러시아에서의 영업을 중단했다. 글로벌 뷰티 및 패션 기업들이 러시아 시장에서 철수, '러시아 엑소더스(탈출)'를 불러 일으키면서 국내 기업들의 고심도 깊어지고 있다.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 애경산업, 에이블씨엔씨 등은 현재 러시아 지역에서 사업을 펼치고 있다. 아모레퍼시픽이 지난 2019년 러시아 법인을 설립해 유럽 진출의 발판을 마련했고, 애경산업은 샴푸 '케라시스'와 치약 '2080' 히트에 힘입어 지난해 상반기 러시아 생활용품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88% 성장했다. 에이블씨엔씨 미샤는 러시아를 포함해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 등에 10여 개 매장 문을 연 바 있다. 뷰티·패션업계는 이번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중장기적인 글로벌 전략 수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국내 기업 중 러시아 시장 철수나 현지 공장 중단 결정을 공식적으로 밝힌 곳은 없지만, 자칫 러시아 우호 기업으로 낙인찍힐 수 있다는 우려로 조심스러운 분위기다. 업계 관계자는 "당장 러시아와의 교류를 끊으면 기업이 손해볼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향후 기업 이미지 훼손이나 다른 나라와의 교역에서 불이익을 감수해야 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옷은 필수품이다. 러시아 사람들도 생활할 권리가 있다'며 유니클로를 거느린 일본 패스트리테일링의 야나이 다다시 회장이 입장을 발표했다가 패션계의 비판과 더불어 사업 중단 요구 여론 등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원은미기자 silverbeauty@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