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군의관 및 수도병원 코로나19 지원... 파병장병 지원과 대조적
국방부는 2일 수도권 코로나19 확진자 급증에 따른 중앙사고수습본부의 요청을 받아 수도병원에 코로나19 치료 병상을 마련하고, 공공병원, 생활치료센터, 선별진료소 등에 군의관을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국방부의 지원결정은 환영해야 할 조치이지만, 해외파병 복귀 장병에 대한 코로나19 지원을 지자체에 의존해온 모습과 사뭇 대비가 된다. 이날 국방부는 이미 인천공항검역소에 군의관 및 간호인력 24명을 지원중에 있으며, 시급한 수도권의 중환자 병상 확보를 위해 국가지정음압병상으로 운영되던 수도병원의 8병상을 중환자용 병상으로 전환했다고 전했다. 국방부에 따르면 지난달 31일부터 군의관 및 간호인력 68명을 투입해 운영을 시작했고, 최종 준비 과정을 거쳐 오는 4일부터 코로나 중환자를 치료할 예정이다. 또한 수도병원에 추가로 국가지정음압병상을 확보하기 위해 코로나 19 치료 병상을 추가 지원할 게획이다. 중앙사고본부는 수도권 공공병원, 생활치료센터, 선별진료소 등에서의 코로나 19 치료를 위해 군의관 규모는 약 53명 정도 인력지원 요청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의 군대, 국군이 대규모 전염병 사태를 지원하는 것은 옳은 일이지만, 국제평화와 국위선양을 위해 헌신한 군인들에 대한 지원은 이에 비해 소극적이란 지적은 좀채 가라안지 않고 있다. 지난달 30일 국방부는 해외 파병에 다녀온 군인에게 자비로 자가격리 물품을 마련하게 했다는 청와대 국민청원이 사실이 아니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와 관련해 국방부는 같은달 20일 귀국한 레바논에 파병된 동명부대 23진 선방대 76명 전원이 지자체 방역물품을 받았고, 식품키트는 6개 지자체에서만 지급받았다고 밝혔다. 본지가 같은날 해외 파병부대를 담당하는 국제평화지원단의 관할 보건소 중 한 곳인 인천 계양구 보건소에 확인해본 결과, 해당 보건소 관계자는 "지난 금요일(같은달 28일)에 코로나19 격리해제 전 2차검사에 대한 협조를 구했다"면서 "검체 채취를 군에서 보내오면 검사는 협조하는 것으로 정리된 것으로 통보받았다"고 말했다. 시기적으로 보면, 청와대 국민청원이 올라온 것은 같은달 27일, 관련 최초보도가 올라온 것이 다음날인 28일인점을 고려한다면, 사실상 국방부는 해외 파병 귀국장병들의 코로나19지원에 소극적으로 임한 것으로 보여진다. 실제로 청와대 국민청원을 올린 청원자(동명부대원 아래로 자신을 소개)는 국방부 반박입장이 나온 다음날인 31일 "이미 선 복귀한 뒤 보령시에 부대격리된 파병군인들은 자비로 식대 및 체온계구매를 부담했다"고 언론보도를 통해 밝힌바 있다. 국방부가 중환자용 병상으로 지원할 계획인 수도병원은 통상 해외 파병 귀국장병들이 하룻동안 파병지역 풍토병 감염여부와 건강진잔을 받던 곳이다. 그렇지만 국방부는 동명부대23진 선발대는 인천공항에서 코로나1차 검사를 받고 곧바로 자가격리 중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