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현대 한옥 활성화 위한 '서울형 한옥 가이드라인' 마련 나선다
관광객들이 북촌 한옥마을을 둘러보고 있다./ 김현정 기자 서울시가 도시 경관 향상과 현대 한옥 활성화를 위한 '서울형 한옥 가이드라인' 수립에 나선다. 4일 서울시에 따르면 올 상반기 총 1억원을 들여 '한옥 등 건축자산에 대한 가이드라인(계획·절차) 수립 용역'을 시행하고, 6월까지 '서울형 한옥 가이드라인'을 세우기로 했다. 주요 과업 내용은 ▲서울시 한옥 등 건축자산 관리 및 운영의 기본방향 재정립 ▲서울형 한옥·건축자산 가이드라인 수립 ▲한옥 등 건축자산의 활성화를 위한 가이드라인 활용방안 마련이다. 시는 "전통적 요소 위주의 한옥 디자인 규제로 마을별 특색이 모호하고, 다양한 생활양식에 적합한 새로운 한옥 유형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면서 "새 한옥건축 양식으로의 발전을 위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현재 시는 관내 한옥 밀집지역 11곳을 7개 지구단위계획 구역(북촌·경복궁 서측·인사동·익선·돈화문로·운현궁·은평)으로 관리 중이다. 시는 지구단위계획 시행지침으로 층수·형태·마감 등 세부사항을 규정하고, 비용지원 기준을 준수한 등록한옥에 한해 수선·신축비를 보조한다. 시가 공사비를 지원하는 한옥은 지상구조에 목재를 사용하고 지붕 처마 깊이는 최소 90cm 이상이며 1층과 2층 면적 비율이 5대4인 전통 가옥이다. 시는 등록한옥은 증가하고 있으나 한옥 전체 수량이 감소해 한옥건축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지원 방안을 갖추기로 했다. 서울연구원의 서울시 주택 및 한옥 수량 현황 자료에 의하면 작년 기준 관내 단독주택 수는 총 30만7075채이고, 한옥은 전체의 2.8%인 8586채로 조사됐다. 등록한옥은 984채로 등록률은 11.46%에 이른다. 2014년 등록률 4.82%(전체 한옥 1만1776채 중 568채)와 비교하면 6.64%포인트 늘었다. 반면 한옥 수는 2014년 1만1776채에서 2020년 8586채로 약 27.1% 줄었다. 시는 "북촌 등 전통한옥마을과 상업 중심의 익선동, 신한옥마을의 건축기준이 유사해 각 마을의 개성이 결여됐다"며 "마을별 특성을 반영한 차별화된 한옥 건축기준이 필요하다"고 했다. 또 시는 현대적 건축요소를 접목해 편리하면서도 독특한 하이브리드 한옥이 증가하고 있으나 새로운 시도의 한옥은 '서울시 등록한옥 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수선비 등을 지원받지 못하고 있다고 봤다. 시는 한옥신축 활성화, 한옥의 다양한 활용, 신한옥양식 건축지원, 마을별 건축기준 차별화를 서울시 한옥 발전 방향으로 삼았다. 우선 시는 서울시 한옥건축기준 개정을 통해 한옥구조 허용 범위를 확장키로 했다. 지역과 용도별로 차별화된 지구단위지침과 비용지원 기준을 마련하고, 전통요소 도입 정도에 따른 '서울시 한옥등록제도'를 개선한다. 시는 "한옥 마을별 특성을 살리고, 도심 환경에 적합한 '서울 한옥 기준'을 마련할 것"이라며 "기존 한옥의 보존은 물론 전통과 현대가 접목된 새로운 한옥양식의 발전을 도모하고자 한다"고 전했다. /김현정기자 hjk1@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