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지난해 노동자 상담 2만2000건 진행··· 임금체불·해고 등 피해 구제
서울시청./ 손진영 기자 서울시는 지난해 서울노동권익센터와 자치구·권역별 노동자지원센터에서 2만2000여건의 노동상담을 진행했다고 27일 밝혔다. 센터에서 이뤄진 상담 총 2만2366건 중 절반 이상은 ▲임금체불(19.3%) ▲해고·징계(18.9%) ▲근로시간 및 휴일·휴가(17.4%) 등 노동자의 생계와 직결되는 문제였다고 시는 설명했다. 이 3가지 유형이 전체 상담의 55.6%를 차지했다. 상담자 가운데 일용직, 기간제, 파견·용역, 일반임시직 같은 비정규직 노동자 비율이 58.6%에 달했다. 정규직은 35%, 무기계약직은 4.4%였다. 직종별로는 단순노무직(청소·경비·주차관리) 비율이 27.2%로 가장 높았다. 업종 역시 청소·경비·주차관리 등의 용역업체가 포함된 '시설관리업' 노동자들의 상담이 17.8%로 가장 많았다. 시는 일하는 시민의 복지 증진을 위해 '서울노동권익센터'를 중심으로 16개 자치구(강동, 강서, 강북, 관악, 광진, 구로, 노원, 도봉, 마포, 서대문, 성동, 성북, 양천, 은평, 중랑, 중구)와 권역(도심권, 동남권, 동북권, 서남권)별 노동자종합지원센터 등 총 21곳의 노동자 권익보호기관을 운영 중이다. 공인노무사가 센터에 상주하며 노동상담은 물론 불이익 구제를 위한 소송대리 등 법적구제도 지원하고 있다. 모든 상담은 무료로 진행되며 변호사, 노무사 등 법률대리인 선임 비용 또한 서울시가 부담한다. 한영희 서울시 노동·공정·상생정책관은 "코로나19 장기화로 비정규직, 소규모사업장 소속 노동자처럼 고용환경이 안정적이지 않은 분야에서 노동권익 침해를 받는 사례가 늘고 있다"며 "어려움을 겪는 노동자들이 빠른 시일 안에 피해를 구제받고, 자신의 권리를 찾을 수 있도록 서울시가 지속적인 지원을 펼치겠다"고 말했다. /김현정기자 hjk1@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