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신규 지도 서비스 '카카오맵' 출시
카카오가 신규 지도 서비스로 공간 관련 서비스를 강화했다. 카카오는 지난 2009년 출시한 '다음지도' 애플리케이션을 전면 업데이트한 신규 지도 서비스 '카카오맵'의 안드로이드 앱을 출시했다고 19일 밝혔다. 카카오맵은 수년간 축적해온 데이터에 최신 지도 기술과 기능을 더했다. 카카오맵에는 국내 지도 서비스 최초로 지도 데이터를 서버에서 실시간으로 불러오는 '벡터' 방식이 적용됐다. 기존 지도는 고정된 이미지를 이용하는 방식이기에 확대와 축소만 가능했다. 카카오맵은 자유로운 회전과 3D입체 뷰도 가능하다. 지도를 쓸어올리면 지도가 기울어지면서 건물 높낮이가 입체적으로 표시된다. 지도를 회전시키거나 건물의 높낮이 등을 확인할 수도 있다. '3D 스카이뷰'를 제공하는 것도 특징이다. 지난 7월 국토교통부와 업무협약을 통해 제공받은 3차원 공간 정보를 적용했다. 기존 스카이뷰가 위성·항공사진을 활용해 평면적인 모습을 보여줬다면 3D 스카이뷰는 3D 실사로 현실에 가까운 지리정보를 제공한다. 현재 서울과 성남 지역을 서비스하고 있으며 순차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목적지까지 경로와 이동 방법을 알려주는 '길찾기' 기능은 한층 업그레이드됐다. 카카오버스, 카카오지하철, 카카오내비 등 교통 전문 서비스를 연동했고 24시간 단위로 대중교통 시간표, 배차 정보 등을 업데이트해 가장 정확하고 빠른 결과를 제공한다. 위치 기반 맞춤형 추천 서비스도 도입했다. 첫 화면 하단 '주변 추천' 탭을 터치하면 해당 지역 인근의 다양한 정보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강남역에서 주변 추천 기능을 실행하면 강남역의 현재 날씨, 추천 맛집, 인근 영화관 개봉 영화, 강남역 관련 검색어, 강남역에서 집이나 회사까지 가는 경로와 소요시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카카오 이재혁 로컬팀장은 "카카오맵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정확하게 연결함으로써 이동 영역의 불편함을 해소하는 종합 솔루션 서비스"라며 "이용자의 다양한 니즈를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고도화 시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카카오는 카카오택시, 카카오내비, 카카오버스, 카카오지하철, 카카오드라이버 등으로 공간 관련 서비스를 선도하고 있다. 카카오맵 iOS 앱과 모바일 주차 예약 서비스 카카오파킹은 연내 선보일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