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왓슨, 내달 15일부터 국내 암환자 진료 돕는다
IBM의 인공지능(AI) '왓슨'이 국내 암환자 진료를 시작한다. IBM '왓슨 포 온콜로지'는 의사들이 올바른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방대한 자료를 분석해주는 서비스다. 세계적인 암 전문 의료기관 메모리얼 케터링(MSK) 암센터의 자료를 학습해 정형·비정형 데이터를 바탕으로 의사들에게 치료 옵션을 제공한다. 이 과정에서 환자 개개인의 의료보험, 치료 기록을 활용해 맞춤형 치료 방법을 제시한다. 한국IBM은 8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가천대 길병원이 왓슨을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의료에는 연구논문 등 다양한 정보가 필요하다. 지난해 세계적으로 약 4만4000건의 온콜로지(종양학) 논문이 의료 학술지에 발표됐다. 하루 122개의 새 논문이 발표되고 있지만, 인간인 의사가 이를 모두 활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왓슨 포 온콜로지는 300개 이상의 학술지와 200개 이상의 의학 교과서 등 1500만 페이지 분량의 의료정보를 MSK 암센터에서 학습했다. 자연어 처리가 가능하기에 특정 환자에게 필요한 임상정보를 신속하게 추출할 수 있다. 이날 발표를 맡은 로버트 메르켈 IBM 왓슨 헬스 종양학 및 유전학 글로벌 총괄 사장은 "헬스케어 분야에서 정보의 양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라며 "생성되는 정보의 속도가 인간의 인지능력을 뛰어넘어 정보를 제대로 활용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고 발표를 시작했다. 그는 "의사가 환자를 진료할 때 기존 정보의 50% 미만을 사용한다"라며 "50% 미만의 정보를 습득하기 위한 업무도 이미 과다해 의사들이 환자들에게 집중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메르켈 사장은 "세계 어느 곳을 가도 의사가 환자를 진료하는 시간은 15분 내외"라며 "왓슨이 환자의 의료기록, 약물 부작용, 기존에 사용했던 약물 등의 데이터를 대신 분석해주면 의사가 환자에게 쓸 수 있는 시간도 늘어나고 그 질도 향상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국가 암 발생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2016년 우리나라에서는 총 25만4952건에 달하는 새로운 암 진단이 내려지고 7만5172명의 암환자가 사망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6년 가장 많이 확인된 암 유형은 남자의 경우 대장암, 위암, 폐암, 간암, 갑상선암이며 여자의 경우 갑상선암, 유방암, 대장암, 위암, 폐암이다. 길병원은 왓슨 포 온콜로지를 유방암, 폐암, 대장암, 직장암, 위암 치료에 도입한다. 가천대 길병원 이언 인공지능기반정밀의료추진단장은 "최고의 고객만족을 주는 병원을 만들고자 고민했고, 2년 가량 IBM과 준비를 했다"며 "10월부터 왓슨이 환자 진료에 참여한다"고 밝혔다. 왓슨은 10월 15일부터 협동진료에 투입된다. 환자의 상태와 기록, 각종 임상시험 결과 등을 토대로 왓슨이 진단과 치료법을 제시하면 의사들이 그것을 참고하는 방식이다. 길병원은 추석 이후부터 전화와 인터넷,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현장접수 등으로 왓슨 진료 예약을 받는다. 이언 단장은 "자율주행자동차의 사고에 빗대 많은 우려를 받았다"며 "왓슨은 내비게이션처럼 정보를 제공해줄 뿐, 결정은 의사가 내린다"고 말했다. 이어 "암 등의 질환은 병원을 옮겨 다니며 진료를 받는 행위가 많이 이뤄진다"며 "왓슨을 활용해 의사의 진료 정확도를 높이고 그 근거도 투명하게 공개한다면 낭비되는 사회적 비용을 줄이고 의료 품질도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