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카드정보 유출 사태로 구글 울고 MS 웃고

국내에서 20%의 점유율을 유지했던 구글의 웹브라우저 크롬이 지난 17~19일 16%까지 떨어졌다. 반면 같은 기간 마이크로소프트(MS)의 웹브라우저 인터넷 익스플로러(IE)는 80%를 넘어섰다. IE가 80%를 돌파한 것은 2012년 11월 이후 처음이다. 크롬은 지난해까지 글로벌 시장에서 50%에 가까운 점유율을 기록하며 사실상 IE와 시장을 양분했고 국내에서도 모바일 안드로이드OS가 대중화되면서 PC에서도 존재감을 키워나가고 있었다. 구글이 MS가 가진 것을 야금야금 빼앗아왔던 지금까지의 추세와는 반대 양상이 벌어진 이유는 무엇일까. 22일 업계에 따르면 신용카드사의 개인정보 유출로 관련 정보 조회는 물론 카드 해지, 재발급 등의 업무가 IE에서만 가능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즉 자신의 카드 정보가 유출됐는지 알아보기 위해 해당 카드사 홈페이지에 접속할 때 크롬이나 사파리, 파이어폭스를 사용하는 사람은 창을 닫고 IE로 웹을 열어야 했던 것이다. 스마트폰에서라도 이 작업이 가능했더라면 사정이 달라졌겠지만 모바일에서도 이러한 업무를 지원하지 않았다. 게다가 비슷한 시기에 직장인들의 연말정산 업무가 몰린 것도 한 몫 했다. 연말정산에 필요한 각종 제출용 서류를 내려받기 위해서는 공인인증서를 넣어야 하는 데 이 작업 역시 IE에서만 가능하다. 특히 연말정산 작업을 도와주는 관련 사이트들이 IE에 최적화된 경우가 많아 크롬 유저라도 IE를 가동해야 한다. 이에 따라 IE가 아닌 웹브라우저에서도 카드사 홈페이지 업무나 연말정산 작업이 가능해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다. 여전히 금융 기관은 보안을 이유로 IE에서 사이트가 최적화되도록 설계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핑계에 지나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그간 IE 유저가 압도적으로 많았기 때문에 이들 기업들이 그 외의 웹브라우저의 최적화에는 신경을 쓰지 않았다. 줌닷컴을 서비스하는 줌인터넷 관계자는 "크롬도 요즘은 은행이나 쇼핑몰에서 서서히 돈거래를 할 수 있게 됐다. 암호화 과정에 드는 기술적인 처리를 IE가 아닌 웹브라우저에도 하느냐의 여부일 뿐"이라며 "토종 웹브라우저 '스윙'에서도 IE처럼 카드사 업무나 연말정산 작업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2014-01-22 14:55:26 박성훈 기자
"시진핑·원자바오 일가 조세회피처에 유령회사"

중국 정부가 부패척결을 밀어붙이고 있는 가운데 전·현직 최고 지도부의 친인척들이 조세회피처에 유령회사(페이퍼컴퍼니)를 세워 탈세를 해왔다는 주장이 나왔다. 사정의 칼을 빼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매형도 포함됐다. 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ICIJ)는 22일 웹사이트에서 전 세계 50여 개 언론과 공동 취재한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시 주석 누나의 남편인 덩자구이는 조세회피처인 영국령 버진아일랜드에 등록된 부동산 개발회사 엑설런스 에포트의 지분 50%를 소유하고 있었다. 덩은 수백만 달러의 재산을 보유한 부동산 개발업자다. 원 전 총리의 아들 원윈쑹도 2006년 버진아일랜드 '트렌드 골드 컨설팅'의 단독 임원이자 주주였다. 원 전 총리의 사위도 2004년 버진아일랜드에 회사를 설립해 임원 및 주주로 활동했다. 이번에 공개된 명단에는 덩샤오핑과 리펑 전 총리, 후진타오 전 주석 등 중국 최고 권력기구인 정치국 상무위원회 전·현직 위원 5명의 친인척도 포함됐다. 또한 중국 최고 여성갑부 양 후이옌 등 재계 유력인사 16명도 연루된 것으로 파악됐다. 중국에는 공직자 재산공개 제도가 없다. ICIJ는 이런 점 때문에 조세회피가 가능했으며 2000년부터 1조~4조 달러 규모의 자산이 추적을 받지 않고 해외로 빠져나갔다고 설명했다. /조선미기자

2014-01-22 14:49:56 조선미 기자
인천도시공사, 에어바운스 사고업체서 공짜표 받아

인천 연수경찰서는 22일 에어바운스 운영업체 H사가 키즈파크 임대계약 기관인 인천도시공사에 VIP무료입장권 500장을 건넨 사실을 확인하고 대가성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달 13일 인천 송도컨벤시아 전시장에서 영업을 시작했다가 어린이 사망사고로 지난 18일 문을 닫은 키즈파크의 입장료는 성인 1만3천원, 어린이 1만6천원이다. 인천시 산하 공기업인 도시공사가 업체에 전시장을 빌려주면서 VIP무료입장권 500장을 받은 것이다. 공짜표 일부는 도시공사 직원들이 나눠갖고 나머지는 인천경제자유구역청 등 관계기관에 배포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이와 함께 업체가 송도컨벤시아에서 한 달이 넘게 무허가로 키즈파크를 운영한 사실에 주목, 업체와 관계기관 간 유착 의혹도 수사할 방침이다. 에어바운스를 갖춘 키즈파크 등 유원시설업은 한국종합유원시설협회에서 실시한 놀이기구 안전성 검사 결과를 첨부해 영업허가를 신청해야 하지만 이 업체는 허가를 받지 않은 채 키즈파크를 운영했다. 경찰은 이날 H업체 대표 A(47)씨, 위탁운영업체 대표 B(37)씨와 안전관리인 등 3명을 업무상과실치사 혐의 등으로 불구속 입건했다. 한편 인천 모 초등학교 2학년 A(9)군은 지난 18일 오전 11시께 인천시 연수구 송도컨벤시아에서 에어바운스가 무너져 내려 3m 아래 바닥으로 떨어져 의식을 잃고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숨졌다.

2014-01-22 14:25:40 김두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