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삼성전자, 3년 만에 뉴욕서 '언팩'…7월 '갤럭시Z 플립·폴드7' 공개

삼성전자가 3년 만에 미국 뉴욕에서 하반기 '갤럭시 언팩' 행사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에서는 차세대 폴더블 스마트폰인 '갤럭시Z 플립7'과 '갤럭시Z 폴드7'이 공개될 예정이다. 24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7월 초 뉴욕 현지에서 언팩 행사를 열기로 하고 준비 작업에 착수했다. 통상 삼성전자는 언팩 행사를 현지 시간 기준 수요일에 진행해 온 만큼, 행사 날짜는 현지시간 기준 수요일인 7월 2일 또는 9일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실제로 지난해에도 삼성은 프랑스 파리에서 7월 10일(현지 시간) 수요일에 '갤럭시 언팩 2024'를 개최한 바 있다. 삼성전자가 뉴욕에서 하반기 언팩을 여는 것은 2022년 'Z 폴드4·플립4' 공개 이후 3년 만이다. 2023년에는 서울, 지난해에는 파리 등 주요 문화 도시에서 행사를 열었다. 올해 다시 뉴욕을 선택한 배경에는 북미 시장 공략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 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미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애플의 점유율은 65%, 삼성전자는 18%로 집계됐다. 비록 1위와의 격차는 크지만, 삼성 입장에서는 트렌드를 주도하는 미국은 포기할 수 없는 핵심 시장이다 이번 언팩에서는 Z플립7과 Z폴드7이 공개된다. 미국 정보기술(IT) 매체 IT팁스터(정보유출자) 등에 따르면 두 제품 모두 전작보다 얇고 가벼워진 디자인에 성능이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Z플립7은 외부 디스플레이가 커지고 베젤은 줄어들며, Z폴드7은 본체 두께가 1mm 이상 얇아지고 접히는 화면의 주름도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하드웨어뿐 아니라 인공지능(AI) 기반 기능도 업그레이드된다. 삼성전자는 지난해부터 폴더블폰에 AI 기능을 적용해 왔으며, 7시리즈에서는 접히는 형태에 최적화된 AI 경험을 선보일 예정이다. Z 시리즈 외에도 갤럭시 워치8 시리즈를 비롯해 보급형 폴더블폰으로 불리는 '갤럭시Z 플립 FE',세 번 접히는 트리폴드폰 'G 폴드(가칭)', 확장현실(XR) 전용 헤드셋 '프로젝트 무한'의 등장 여부에도 관심이 쏠린다. 다만 이들 제품은 연말 혹은 별도 행사에서 공개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온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하반기 언팩 일정이나 신제품 발표 계획 등은 아직 공식 확정된 바 없다"고 밝혔다.

2025-04-24 16:46:09 이혜민 기자
기사사진
'HEV 등 효자 차종 덕분' 현대차, 1분기 역대 최대 매출 기록…내년부터 HMGMA서 HEV 생산까지

현대자동차가 미국발 무역 전쟁으로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하이브리드 등 고부가가치 차종 판매 확대로 역대 1분기 최대 매출 신기록을 작성했다. 영업이익도 시장 기대치를 웃도는 성적표를 받아 들었다. 현대차는 24일 경영실적 콘퍼런스콜을 열고 올해 1분기 매출액 44조4078억원, 영업이익 3조6336억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역대 1분기 기준 최대 수치로 현대차는 북미 시장의 판매 호조와 함께 우호적인 환율 등에 힘입어 매출 증가세를 이어나갔다. 영업이익도 전년 동기 대비 2.1% 늘었다. 경상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4조4646억원, 3조3822억원으로 집계됐다. 매출 원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0.5%포인트(p) 상승한 79.8%를 기록했다. 영업이익률은 8.2%로 나타났다. 올해 1분기 말 원·달러 환율은 전년 동기 대비 9.4% 오른 1453원으로 집계됐다. 현대차 관계자는 "매크로(거시 경제)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신흥 시장 판매 감소에도 불구하고 하이브리드 등 고부가가치 차종 비중 확대 추세로 질적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판매량은 전년 대비 0.6% 감소한 100만1120대를 기록했다. 판매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매출이 1분기 기준 최대를 기록한 이유는 하이브리드 등 고부가가치 차량을 많이 판매한 덕분이다. 올해 1분기 하이브리드 및 전기차 등 친환경 차 판매 대수는 전년 대비 38.4% 증가한 21만2426대를 기록했다. 이 중 하이브리드가 13만7075대가 팔리며 약 65%를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 중 미국에서의 판매량은 전년 대비 1.1% 증가한 24만2729대를 기록했다. 현대차는 국가 간 무역 갈등 심화 등 여러 대외 변수로 예측하기 어려운 경영환경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신형 팰리세이드, 신형 넥쏘, 부분 변경 아이오닉6 등 신차 판매를 적극 추진하고 시장별 현지화 전략을 체계적으로 적극적으로 실행할 계획이다. 특히 미국 관세 대응과 관련해 현대차 관계자는 "미국 관세 부과에 따른 재무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4월 중순 대응 전략 TFT를 출범했다"며 "최대강점인 수익성 기반 거점별 차종별 생산 판매 최적화 전략과 전사, 전권역을 대상으로 단순 절감이 아닌 투자 우선 순위와 효율성에 입각해 적극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는 미국 관세 대응을 위해 조지아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의 생산 물량을 고부가가치 차종을 중심으로 50만대로 확대할 방침이다. 이승조 현대차 재경본부장은 "지난해 50만대 생산 확대를 발표했는데 기존 30만대에서 20만대를 확대하는건 상황에 맞춰 진행할 것"이라며 "내년부터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모두 생산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대차는 올해 1분기 보통주 배당금을 전년(2000원) 대비 25% 증가한 주당 2500원으로 책정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거시 경영 환경 변화에도 불구하고 주주가치 극대화를 위해 기존에 약속한 주주환원 정책을 충실하게 이행하도록 지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2025-04-24 16:46:06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비전브릿지파트너스, 신보 '리틀펭귄 프로그램' 최종 선정

플랫폼 기술 고도화, 콘텐츠 IP 강화등 본격화 K-POP 콘텐츠 기반의 글로벌 팬덤 플랫폼 'HIGHER'를 운영하는 비전브릿지파트너스가 신용보증기금의 혁신 창업기업 지원 프로그램인 '리틀펭귄'에 최종 선정됐다. 23일 비전브릿지파트너스에 따르면 SBS '인기가요' 투표 앱 서비스를 시작으로 글로벌 K-POP 팬덤을 대상으로 플랫폼을 운영 중으로, 디지털 포토카드와 자체 굿즈몰 등 콘텐츠 기반 수익모델을 고도화하며 창업 1년 만에 100만 명 이상의 글로벌 사용자를 확보하는 등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이번 리틀펭귄 선정은 당사의 성장성과 콘텐츠 기술력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성과"라며 "앞으로는 '퍼스트펭귄' 도약을 목표로 K-POP 콘텐츠 산업의 디지털 혁신과 글로벌 시장 선도를 위한 도전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비전브릿지파트너스는 이번 리틀펭귄 선정을 계기로 플랫폼 기술 고도화, 콘텐츠 IP 강화, 글로벌 커머스 인프라 확장 등 전략적 투자를 본격화할 예정이다. '리틀펭귄'은 우수한 기술력과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보유한 유망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신용보증기금의 육성 프로그램으로 향후 '퍼스트펭귄' 선정을 위한 전 단계 역할을 수행한다.

2025-04-24 16:28:29 김승호 기자
기사사진
"OLED 체질개선 결실" LG디스플레이, 1Q 영업익 335억원…2분기 연속 흑자

LG디스플레이가 올해 올레드(OLED·유기발광다이오드) 사업 비중 확대와 운영 효율화 성과에 힘입어 3 년만에 1분기 흑자를 기록했다. LG디스플레이는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매출 6조653억원, 영업이익 335억원을 기록했다고 24일 공시했다.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 늘었으며, 영업이익은 지난해 동기 4694억원의 영업손실에서 5000억 원 이상 개선되며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순이익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실질적인 현금 창출력도 강화된 것으로 평가된다. 실적 개선의 핵심은 OLED 제품군의 출하 확대였다. OLED가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5%로, 지난해 동기 대비 8%포인트 상승했다. 고환율 효과도 매출 증가에 기여했다.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은 1조2313억원으로, 이익률은 20%를 기록했다. 2021년 3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제품별 매출 비중은 모니터·노트북·태블릿 등 정보기술(IT)용 패널이 35%, 모바일 및 기타 패널 34%, TV용 패널 22%, 차량용 패널 9% 순이다. LG디스플레이는 OLED 중심의 체질 개선 기조를 유지하며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더욱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중소형 OLED 부문에서는 모바일용 제품의 품질과 원가 경쟁력을 기반으로 출하를 늘릴 예정이다. 또 IT용 디스플레이는 저전력·고휘도·장수명 특성을 갖춰 내구성과 성능이 뛰어난 탠덤 OLED를 중심으로 기술 지배력을 강화한다. 대형 OLED 부문은 인공지능(AI)에 최적화된 4세대 OLED TV, 게이밍 모니터 등 차별화 제품 확대에 집중하고 있다. 광저우 LCD 공장 매각 이후 OLED 중심 구조 전환도 가속화되는 분위기다. 차량용 디스플레이는 탠덤 기술 기반의 플라스틱(P) OLED, 고휘도 ATO(Advanced Thin OLED), 고급 저온다결정실리콘(LTPS) LCD 등 차별화된 기술 기반 제품으로 수익성을 강화하고 있다. 김성현 LG디스플레이 최고재무책임자(CFO0는 "대외 환경의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근본 경쟁력 강화에 집중한 성과가 본격화하고 있다"며 "사업구조 고도화 및 운영 효율화를 지속하여 연간 흑자전환을 달성하고 그 규모를 확대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혜민기자 hyem@metroseoul.co.kr

2025-04-24 16:22:23 이혜민 기자
기사사진
KGM,1분기 영업익 106억…3년 연속 1분기 흑자 달성

KG모빌리티(KGM)가 지난 2023년 1분기 이후 3년 연속 1분기 흑자 달성을 기록했다. KGM은 1분기 별도 재무제표 기준 매출 9070억원, 영업이익 106억원 당기순이익 85억원을 기록했다고 24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6% 감소했고,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38.7%, 84.6% 줄었다. KGM은 올해 1분기 순수 영업실적만으로 이익을 실현하면서 지난 2023년 1분기에 이어 3년 연속 1분기 흑자를 달성했다. 이는 지난 2002년~2004년 이후 21년 만의 성과다. KGM은 내수 시장 위축에 따른 판매 물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차종별 수익성 개선과 환율 효과 및 생산성 향상 노력 등에 힘입어 흑자를 달성했다고 평가했다. 1분기 판매는 내수 8184대, 수출 1만7825대 등 총 2만6009대로 집계됐다. 내수 시장 위축에 따라 판매 대수는 전년 동기 대비 11.3% 줄었다. 내수가 33% 급감했지만, 수출이 4.2% 늘어 감소폭을 상쇄했다. 1분기 수출은 지난 2014년 1분기 이후 11년 만에 1분기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 KGM은 무쏘 EV와 토레스 하이브리드 등 신모델의 본격적인 출고가 시작되면 판매 물량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상반기 판매 물량 증가와 함께 흑자 규모 확대 등 수익성 개선을 위해 적극적으로 국내외 시장 대응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KGM 관계자는 "판매 물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차종별 수익성 등이 개선되며 흑자를 기록했다"며 "무쏘 EV와 토레스 하이브리드 등 신모델이 출시되며 판매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만큼 내수 시장은 물론 글로벌 시장 공략 강화를 통해 판매 물량 증대와 함께 수익성을 더욱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승용기자 lsy2665@metroseoul.co.kr

2025-04-24 15:41:25 이승용 기자
기사사진
LG전자, 1분기 매출 역대 최대…'전장·HVAC' 쌍끌이 성장

LG전자가 올해 1분기 전장과 냉난방공조(HVAC) 등 기업간거래(B2B) 사업 호조에 힘입어 사상 최대 분기 매출을 기록했다. 반면 영업이익은 일회성 비용과 시장 경쟁 영향으로 시장 기대치를 소폭 밑돌았다. LG전자는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매출 22조7398억원, 영업이익 1조2591억원을 기록했다고 24일 공시했다. 매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7.8% 증가해 1분기 기준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고, 순이익은 8756억원으로 49.6% 늘었다. 영업이익은 지난해보다 5.7% 감소하며 시장 전망치인 1조3315억원을 5.4% 하회했다. 그럼에도 6년 연속 영업이익 1조원을 넘기며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이어갔다. LG전자 관계자는 "VS사업본부와 ES사업본부 영업이익 합계가 전년 대비 37.2% 증가했다"며 "구독, 플랫폼, 소비자직접판매(D2C) 등 질적 성장 전략이 전체 실적에 크게 기여했다"고 밝혔다. 사업부별로 살펴보면, 전장 사업을 맡은 VS사업본부는 매출 2조8432억원, 영업이익 1251억원을 기록하며 분기 기준 최대 실적을 냈다.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VI) 등 고부가 제품 확대가 수익성 개선을 이끌었다. 현재 수주잔고는 100조원 규모에 달한다. 냉난방공조 사업을 담당하는 ES사업본부도 매출 3조544억원, 영업이익 4067억원을 기록했다.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8%, 21.2% 증가했다.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용 초대형 냉동기 '칠러' 수주 확대 등 산업용 시장을 겨냥한 B2B 전략이 실적으로 연결됐다. 가전을 주력으로 하는 HS사업본부는 구독형 제품과 D2C 채널 확대로 역대 최대 1분기 매출인 6조6968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6446억원으로 전년보다 9.9% 늘었다. TV와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아우르는 MS사업본부는 매출 4조9503억원, 영업이익 49억원을 기록했다. TV 수요 정체 속에서도 웹(web)OS 기반 광고·콘텐츠 사업이 성장세를 유지하며 실적을 방어했다. LG전자는 2분기에도 불확실한 통상환경과 시장 경쟁 격화에 대응해 ▲프리미엄 제품 강화 ▲B2B 수주 확대 ▲구독·플랫폼 사업 고도화 ▲원가 절감 등을 통해 수익성과 성장성을 함께 추구하겠다는 방침이다.

2025-04-24 15:38:22 이혜민 기자
기사사진
포스코홀딩스, 1분기 영업익 5700억원…"전략적 제휴 통해 동력 확보"

포스코 홀딩스가 글로벌 관세전쟁 및 경제적 불확실성에 따른 경영환경 악화로 인해 영업이익이 소폭 감소했다. 포스코홀딩스는 올해 1분기 연결기준 매출 17조 4370억원, 영업이익 5680억원, 순이익 3440억원을 기록했다고 24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 3.4%, 영업익 1.7%, 순이익 44.3% 각각 감소한 수치다. 포스코홀딩스는 "글로벌 관세전쟁 및 경제적 불확실성에 따른 경영환경 악화 속에서도 전분기(작년 4분기) 대비 매출은 2.1% 감소했으나 영업이익은 4730억원 증가해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수준을 회복했다"고 밝혔다. 철강사업은 주요 공장의 수리 증가로 생산 및 판매량이 감소했으나 판매가격 상승과 원가절감에 따른 수익성 개선으로 영업이익이 전분기 대비 34.7% 증가한 4500억원을 기록했다. 에너지소재사업의 경우 포스코퓨처엠의 하이니켈 양극재 판매가 확대되었으며 음극재도 고객사의 공급망 다변화 수요 확대에 따라 판매량이 증가했다. 또한 가동 초기 에너지소재 법인들의 수익성 개선으로 전분기 대비 영업적자 폭이 감소했다. 에너지·건축·DX·물류사업 등 인프라사업 부문에서는 포스코인터내셔널 가스전 판매 증가와 발전부문 실적 개선 등에 힘입어 영업이익은 307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181.7% 증가했다. 포스코홀딩스는 최근 발표한 현대자동차그룹과의 철강 및 이차전지 분야 상호 협력 내용과 핵심 사업 투자 계획 및 저수익·비핵심자산 구조개편 성과도 설명했다. 포스코그룹은 지난해 3월 장인화 회장 취임 이후 '2코어 뉴엔진(Core+New Engine)' 전략에 따라 철강, 에너지소재, 신사업 중심으로 그룹 사업을 재편한 바 있다. 철강사업은 고성장·고수익 시장 중심으로 현지 거점을 확보해 가는 '완결형 현지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현대자동차그룹과의 미국 제철소 공동투자를 통해 글로벌 통상환경 위기 대응과 함께 북미 철강시장의 교두보를 마련할 계획이다. 이차전지소재사업에서도 글로벌 톱 기업들과의 전략적 제휴를 강화해 나가는 등 핵심 사업분야에서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이승용기자 lsy2665@metroseoul.co.kr

2025-04-24 15:23:05 이승용 기자
기사사진
'8분기 연속 흑자'…HD한국조선해양, 1분기 영업익 8600억 전년 대비 436.3% ↑

HD현대 조선 부문 중간 지주사인 HD한국조선해양이 8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24일 HD한국조선해양은 공시를 통해 올해 1분기 연결재무제표 기준 매출액 6조7717억원, 영업이익 8592억원, 당기순이익 6116억원의 잠정 실적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2.8%, 영업이익은 무려 436.3% 증가했다. 계절적 요인에 따른 조업일수 감소에도 불구하고 ▲생산성 향상 및 건조 물량 증가 ▲고선가 선박 매출 비중 확대 ▲선별 수주에 따른 수익성 개선 등으로 뚜렷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특히 조선 부문 계열사인 HD현대중공업은 매출 3조8225억원, 영업이익 4337억원을 기록하며 호실적을 이끌었다. HD현대삼호와 HD현대미포도 각각 매출 1조9664억원과 1조1838억원, 영업이익 3659억원과 685억원을 기록해 실적 개선을 뒷받침했다. 선박 엔진 부문 계열사인 HD현대마린엔진은 지난해 그룹 편입 후 시너지 효과를 본격 발휘하고 있다. 엔진 물량 확대, 생산 효율화 등으로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5.3% 증가한 830억원, 영업이익은 64.4% 증가한 103억원을 기록했다. 사업 부문별로 살펴보면 조선 부문은 전반적인 업황 호조세에 힘입어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1.6%, 207.2% 늘어난 5조8451억원과 7814억원을 기록했다. 엔진기계 부문은 친환경 규제 강화에 따른 이중연료 엔진 비중 확대, 엔진 가격 상승 및 인도 물량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48.7% 상승한 6672억 원의 매출을 거뒀다. 영업이익은 103.3% 증가한 1543억원을 기록했다. 해양플랜트 부문도 기존 물량에 대한 매출 인식이 확대되며 전년 동기 대비 43.8% 상승한 1613억 원의 매출과 66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뒀다. HD한국조선해양 관계자는 "디지털·친환경 기술 고도화, 스마트 조선소 구축, 자율운항 및 SMR, 전동화 기술 개발 등으로 미래 선박 시장을 선도해 나가겠다"며 "고부가가치 선박 위주의 선별 수주를 이어가 수익성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승용기자 lsy2665@metroseoul.co.kr

2025-04-24 15:20:02 이승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