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총 등 군수품, 말도 안되는 국방규격 나아질까
국방기술품질원(이하 기품원)은 3일 '국방규격 개선사업'착수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군 일선에서는 제식 소총과 다목적 방탄복 등 기본적인 군수품의 국방규격이 개선에 기대가 높지만, '빛좋은 개살구'가 될 것으로 보여진다. 국방규격이란 군수품의 기술적인 요구조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술문서다. 국방규격서, 도면, 품질보증요구서, 기술문서 등으로 구성돼 있다. 국군이 사용하는 소총 등 일부 무기체계와 전투복, 전투화, 방탄복, 헬멧 등 전력지원체계(군수품)는 외국군의 개인장비와 비교했을 때 매우 더디게 개선되어 왔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야전의 군인들은 사용자측면과, 전술변화 등에 맞게 국방규격이 개선이 돼야 장비와 전술이 발전하는데, 신주단지처럼 모시는 국방규격이 이를 방해하고 있다고 말한다. 특히 K2 소총의 경우 구세대 방식의 멜빵고리 등을 유지해야 한다는 이유로, 현대전에 맞는 형상개선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뿐만 아니라 국군의 다목적 방탄복은 방탄복에 각종 장비를 부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몰리(MOLLE·칸칸으로 나눠진 끈)의 간격이 짝수인 국제표준과 달리 홀수(7칸)로 국방규격화 돼어 있다. 때문에 장비의 호환성 등 사용자 불편요소가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유감스럽게도 국군 장병의 기본장비임에도 불구하고 이들 군수품의 국방규격 개선은 올해에도 포함되지 않았다. 기품원이 이날 밝힌 국방규격 개선품은 총 371개 품목이지만 국방규격 개선 품목을 정하는 '규격개선협의체'가 이를 선정하지 않은 것이다. 국방규격개선협의체는 방위사업청과 육·해·공군 군수사령부로 구성된다. 때문에 조국수호 일선에 선 장병들이 사용하는 기본적 장비에 대한 규격개선에 방사청과 각군이 신경을 쓰지 않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복수의 군수품 전문자들은 "국방규격은 군수품 개선의 기본임에도, 각군은 이 기본에 충실하지 않는 것 같다"면서 "기품원이 행정적 지원을 통해 군수품 품질을 개선하려 해도 어려울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기품원은 방위사업청으로부터 '국방규격 개선사업' 업무를 위임받아 수행하고 있으며, 2016년부터 2022년까지 매년 약 20억 원 규모의 예산이 투입되고 있다. 지난해에는 육군 특전사 장병들의 특전복 상·하의 디자인 변경 등, 지난 4년 간 국방기술자료 약 14만 건에 대한 기술변경을 완료했다. 한편, 올해 국방규격 개선사업 수행업체 선정을 위한 입찰공고는 4일부터 16일까지 진행되고, 사업 수행기간은 계약일로부터 올해 12월까지다. 입찰공고는 나라장터 홈페이지와 국방기술품질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