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0억 수소펀드 출범… "민간 수소투자 본격화"
수소 분야 투자 활성화를 위한 5000억원 규모 수소펀드가 출범한다. 정부는 민간의 투자 활성화를 위한 금융지원과 규제혁신 등 정책 지원에 나선다. 6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코리아 H2 비즈니스 서밋'이 이날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2022 H2 인베스터 데이(Investor day)'를 개최하고 수소펀드 출범을 선포했다. '코리아 H2 비즈니스 서밋'은 수소 밸류체인에 투자하는 17개 기업이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난해 9월 자발적으로 발족한 협의체다. 현대차, SK, 포스코, 한화, 롯데, 현대중공업, GS칼텍스, 효성, 두산, 코오롱, 삼성물산, 이수, 일진 E1, 고려아연, 세아철강특수강, LG화학이 참여한다. 수소 펀드는 민간 기업들이 수수분야에 대한 대규모 투자 필요성에 공감해 자발적으로 조성을 추진했으며, 협의체 회원사 등 국내 기업과 외부 투자자의 출자 등을 통해 5000억원 규모를 목표로 결성해, 10년간 운용 후 청산할 예정이다. 모펀드 운용사인 미래에셋이 공동 투자 파트너 스톤피크(Stonepeak), 자펀드 운용사인 노앤파트너스(Noh&Partners)와 함께 올해 말까지 투자자를 모집하고 자금을 매칭해, 내년 초부터 수소 분야에 본격 투자한다. 수소펀드로 국내외 수소 생산·유통·저장 인프라를 구축하고, 핵심 수소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투자를 진행할 예정이다. 예컨대 국내 수소 공급 및 운송 인프라 프로젝트, 초기 시장 선점 및 경쟁력 확보가 필요한 글로벌 수소 인프라 프로젝트 등이 가능한 투자처다. 민간 투자 활성화와 수소펀드 조성을 위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도 강화된다. 우선 한국무역보험공사, 수출입은행, 한국산업은행 등 정책금융기관이 수소 펀드가 투자하는 프로젝트와 기업에 금리 인하, 대출 확대 등 인센티브를 부여하기로 했다. 한전과 가스공사, 발전6사 등 에너지공공기관은 수소펀드 투자 대상 중소·중견의 R&D, 기술사업화, 수요처 발굴 등을 지원한다. 또 수소 프로젝트 및 신기술 개발 관련 규제를 적극 발굴하고 완화하는 노력도 지속할 계획이다. 이날 코리아 H2 비즈니스 서밋 회원사와 정책금융기관, 에너지 공공기관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협력 협약을 체결했다. 출범식에 참석한 산업부 박일준 제2차관은 "올해 5월 수소법 개정을 통해 청정수소 인증제, 청정수소 발전 입찰 시장 등 투자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며 "앞으로도 수소펀드 조성을 통해 민간 투자 활성화가 본격화될 수 있도록 아낌없이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세종=한용수기자 hys@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