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61.3% "정시퇴근 힘들어"… 평균 73분 더 근무
직장인 5명 중 3명은 제 시간에 퇴근하지 못하고 평균 퇴근시간 보다 73분 더 근무하다 퇴근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직장인 대다수(85.6%)는 퇴근 후에도 업무강박을 느낀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잡코리아(www.jobkorea.co.kr)가 최근 직장인 958명을 대상으로 '퇴근 후 업무강박'을 주제로 한 설문조사를 보면, 정시퇴근을 하는 직장인은 38.7%에 불과했다. 61.3%는 '정시에 퇴근하지 못하고 사무실에 머물다가 퇴근하는 편'이라고 답했고, 직급이 높을수록 정시퇴근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정시퇴근을 못한다는 직장인들은 평균 73분(주관식 기재)을 더 사무실에 머물렀다. 초과 근무시간은 직급별로 ▲차·부장급이 106분으로 가장 길었고 ▲과장급 89분 ▲대리급 75분 ▲사원급 56분으로 직급이 높을수록 퇴근을 늦게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성별로 보면 남성(81분)이 여성(58분)보다 23분 가량 더 머물다 퇴근했다. 제 시간에 퇴근하지 못하는 이유(복수응답)는 '일이 시간 안에 긑나지 못할 정도로 많아서'가 58.4%로 가장 많았고, 이어 '칼퇴근은 어쩐지 눈치가 보여서'(50.4%), '상사가 퇴근한 후에 퇴근하려고'(34.8%), '업무시간보다 동료들이 퇴근한 후에 업무 집중력이 높아지는 편이라서'(14.0%), '복잡한 퇴근 시간을 피하려고'(11.2%), '마땅히 집에 가서 할 일도 없어서'(3.7%), '자격증 공부, 직무 교육 등 공부하느라'(3.1%) 등이었다. 응답자 중 85.6%는 '퇴근 후에도 업무에 대한 고민, 업무 부담 등 업무를 해결해야 할 것 같은 압박감을 느낀다'고 했다. 퇴근 후 업무 강박 빈도는 '어쩌다 한번씩'(39.2%), '자주'(32.7%), '늘'(13.7%) 등이었다. 업무가 끝났음에도 업무 부담을 갖는 이유(복수응답)로는 절반을 웃도는 직장인들이 '내 일, 자리에 대한 책임감'(56.8%), '맡은 업무가 많아서'(51.1%)라는 이유를 댔다. 이밖에 '성과 달성에 대한 부담감', '일을 시간 안에 다 끝내지 못해서', '회사, 상사로부터 인정받기 위해서', '이메일, 카톡 등 퇴근 후에도 이어지는 업무지시 때문에'라는 응답이 있었다. 퇴근 후 느끼는 업무강박을 느꼈다는 직장인들의 신체, 심리적 징후로는 ▲극심한 피로감(54.6%)이 가장 많았고, 이외 ▲두통(34.8%) ▲잦은 분노와 짜증(30.4%) ▲소화불량 및 위장장애(25.7%) ▲수면장애(23.9%) ▲근육통(21.0%) 등이 있었다. 이밖에 직장인 58.7%는 '퇴근 후 또는 휴일에 집에서 업무를 처리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고, 50.2%는 '저녁이 있는 삶을 영위하지 못하고 있다'고 한 것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