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창업/취업
너무 정직하면 불편···악의없는 거짓말, 직장생활 도움

'악의 없는 거짓말'이 직장생활에 도움 된다고 생각하는 직장인이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청림출판사와 함께 남녀 직장인 517명을 대상으로 '악의 없는 거짓말'이 직장생활과 인간관계에 도움이 된다고 여기는지 질문한 결과, 94.8%가 '그렇다'고 답했다. '악의 없는 거짓말'을 자주 하는 대상에 대해서는 남녀 모두 '직장 상사(30.8%)'에게 그런 거짓말을 자주한다고 답했다. 다음으로 남성들은 '연인이나 배우자(22.4%)'에게, 여성들은 '부모님(22.0%)'에게 악의 없는 거짓말을 종종 한다고 답했다. 이 외에도 △직장 동료(19.5%) △친구(8.5%) △거래처 직원(4.3%) 등에게 이러한 거짓말을 한다는 답변이 뒤를 이었다. 자주 사용하는 거짓말의 종류(복수응답)로는 남성의 경우 '언제 밥 한번 살게'가 응답률 34.2%로 가장 높게 많았다. 반면 여성들은 '오늘 너무 예쁘다 또는 멋지다(45.7%)'란 말을 흔히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뿐만 아니라 남녀 직장인들은 △역시 우리 회사는 00없으면 안돌아 간다(25.1%) △다 00씨 덕분이죠(24.2%) △부장님 정말 존경합니다(13.3%) △동안이시네요(17%) 등의 거짓말을 흔히 한다고 답했다. 직장 내에서 '악의 없는 거짓말'이 필요한 순간으로는 △회식자리(45.5%)에서 필요하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평상 시 틈틈이 할 필요가 있다(43.3%)'가 뒤를 이었다. 이 외에도 △연봉협상과 인사고과 시즌(23%) △지각했을 때(21.9%) 등의 순간에 거짓말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한편 직장인 76.2%는 '정직해도 너무 정직한 직장동료 때문에 힘든 경험을 한 적이 있다'고 답해 눈길을 끌었다.

2013-11-12 09:15:47 이국명 기자
갈수록 커지는 면접···인사담당자 41% "질문 늘렸다"

기업 인사담당자들이 인성파악을 위해 면접 질문을 늘린 것으로 드러났다. 취업포털 인크루트(www.incruit.com 대표 이광석)는 인사담당자 10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63.3%가 과거와 비교했을 때 면접 질문에 변화가 있다고 응답했다고 11일 밝혔다. 과거 스펙 중심의 채용에서 변화가 생긴 것. 가장 바뀐 면접 항목으로는 '인성을 파악하기 위한 질문이 늘어남'이 40.6%로 1위를 차지했다. '업무 역량의 적합성 또는 뛰어난지 확인하기 위한 질문이 늘어남'이 39.1%로 2위로 집계됐는데 개인의 인성, 업무 적합성을 평가하는 열린 채용이 충실히 이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 밖에 '거짓말이 있는지 의심하는 질문이 늘어남'(14.5%), '지원자가 질문의 의도를 파악하지 못해 추가 질문이 생김'(5.8%) 순이다. 반면에 면접 질문에 변화가 없다고 응답한 인사담당자에게 현재로도 충분한지 의견을 물었다. 그 결과 '우리 회사에 맞는 지원자를 찾기엔 충분하다'가 55%, '충분하지 않으나 시간, 비용을 생각하면 시간을 늘리기 힘들다'는 45%로 나타났다. 한편 합숙면접, 자기 PR 등 면접 전형이 심화되는 현상에 대해서는 '필요하지만 너무 과하다고 생각한다'는 응답이 48.6%로 많았다. '회사가 원하는 인재를 채용하려면 필요하다'는 41.3%로 7.3%의 차이가 있는 것. '필요하지 않다'는 10.1%뿐 이었다.

2013-11-11 09:13:34 이국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