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창업/취업
외국어 면접 안했으면···구직자, 피하고 싶은 면접 1위

구직자들이 가장 피하고 싶은 면접 유형은 외국어면접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이정근)이 신입 구직자 667명을 대상으로 '가장 피하고 싶은 면접 유형'을 조사한 결과, '외국어면접'(41.7%)이 1위를 차지했다. 이어 '토론면접'(15.9%), 'PT면접'(11.5%), '술자리면접'(11.4%) 등의 순이었다. 선택한 면접 유형별로 기피 이유를 살펴보면, 외국어면접의 경우 '능력을 갖추지 못해서'(60.4%,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반면, PT면접은 '어려울 것 같아서'(36.4%)를, 토론면접과 술자리면접은 '경험해보지 못한 유형이라서'(각각 40.6%, 32.9%)를 이유로 들어 차이를 보였다. 실제로 응답자의 22%는 자신 없는 유형의 면접을 실시하는 기업의 입사지원을 포기한 경험이 있었으며, 51.9%는 추후 포기할 의향이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그렇다면, 지원자 개별면접과 그룹면접 중 더 어려움을 느끼는 면접 방식은 무엇일까? '그룹면접'을 선택한 응답자가 79.9%로, '개별면접'(20.1%)보다 4배 가량 많았다. 그룹면접을 더 어려워하는 이유로는 '다른 지원자와 비교당할 것 같아서'(47.5%, 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다음으로 '들러리로 전락할 수 있어서'(37.9%), '경쟁자가 있으면 위축되어서'(29.5%), '말솜씨가 좋지 않아서'(22.7%), '답변을 뺏긴 경험이 많아서'(17.1%) 등의 응답이 이어졌다. 한편 구직자들이 가장 자신 있어하는 면접 유형은 '질의응답면접'(60.7%)이 1순위였다. 자신 있는 이유로는 '상대적으로 쉬울 것 같아서'(34.8%, 복수응답), '단시간에 준비할 수 있어서'(21.2%), '관련 정보를 얻기 쉬워서'(18.5%), '조금만 노력해도 할 수 있어서'(18.5%), '오랫동안 준비해와서'(17%) 등이 있었다.

2013-11-06 09:08:04 이국명 기자
신입 구직자 54% "취업을 위해서라면 거짓말 쯤이야"

구직자 2명 중 1명은 면접에서 거짓말을 해도 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이 신입 구직자 940명을 대상으로 "귀하는 면접에서 거짓말을 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합니까"라고 질문한 결과, 54.3%가 '해도 된다'라고 답했다. 성별에 따라 살펴보면, '여성'(60.6%)이 '남성'(49.6%)보다 많았다. 그 이유로는 '입사의지를 보여준다고 생각해서'(46.7%,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계속해서 '단점이나 약점을 감출 수 있어서'(38.8%), '면접관도 감안하고 들을 거라서'(34.9%), '서로 기분 좋기 위한 거짓말이라서'(24.9%), '피해만 주지 않으면 되어서'(21.6%) 등의 이유를 들었다. 반면 거짓말을 절대 해서는 안 된다고 답한 응답자(430명)들은 그 이유로 '지원자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트려서'(49.1%, 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뒤이어 '들키면 더 큰 불이익을 당할 수 있어서'(38.1%), '불공정한 행동이라서'(29.5%), '입사 후 기업에 피해를 줄 수 있어서'(24.4%), '진짜 실력을 파악할 수 없어서'(19.8%) 등의 답변이 있었다. 실제로 면접에서 거짓말을 한 경험은 얼마나 될까. 구직자의 36.7%가 면접에서 거짓말을 한 적이 있었고, 이는 '순간적'(80.9%, 복수응답)이었다는 응답이 '계획적'(50.7%)보다 많았다. 거짓말 정도는 '장점을 부각시키기 위해 내용을 과장했다'(50.1%), '약점을 감추기 위해 내용을 축소, 은폐했다'(41.2%), '전혀 사실이 아닌 내용을 지어냈다'(8.7%) 순이었다. 거짓말 한 내용은 '입사지원 동기'가 47.5%(복수응답)로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성격 및 장단점'(27.5%), '미래 비전 및 포부'(27.5%), '희망 연봉'(24.1%), '업무 관련 스킬'(18%), '직무 관련 경험'(13.9%) 등이 있었다.

2013-11-05 08:53:13 이국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