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
돈마른 저축은행들 줄도산 위기

저축은행 10곳의 자본잠식률이 70%를 상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퇴출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17일 금융감독원과 저축은행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실적이 공시된 16개 저축은행 중 현대스위스저축은행, 신라저축은행, 영남저축은행, 서울저축은행 등 4곳이 완전자본잠식 상태인 것으로 집계됐다. 2011~2012년 하반기 연속 적자인 곳도 6개였다. 완전자본잠식이란 잉여금이 바닥나 자기자본이 마이너스가 된 것을 의미한다. 돌발상황이 생겼을 때 외부에서 돈을 구하지 못하면 도산 위험에 빠지게 된다. 현대저축은행은 자본잠식률이 92.0%에 달해 완전잠식 직전에 놓였다. 해솔저축은행은 82.5%, 한울저축은행은 79.3%, 신민저축은행은 77.7%, 스마트저축은행은 77.5%, 골든브릿지저축은행은 73.2%의 자본잠식률을 기록했다. 신민저축은행은 2반기 연속으로 자본잠식률이 50%를 넘어 지난 14일 상장폐지가 결정됐다. 지난해 하반기(7~12월) 중 저축은행의 영업실적을 보면 16개 저축은행의 평균 하반기 순이익 규모는 2011년 같은 기간의 2억6000만원 흑자에서 158억4000만원 적자로 추락했다. 적자를 기록한 저축은행 수도 1년 전보다 4곳 늘어난 10개에 달했다. 현대스위스, 현대스위스2, 신라, 신민, 영남, 서울, 해솔, 푸른, 한울, 대백 저축은행 등이다. 현대스위스2, 신라, 신민, 영남, 서울, 해솔 등 6곳은 전년 같은 기간에도 적자였다.

2013-02-17 18:49:29 김지성 기자
미혼 '재테크의 적' 유흥, 쇼핑

20~30대 미혼 남녀가 재테크 최대의 적으로 각각 '유흥'과 '쇼핑'을 꼽았다. 소셜데이팅 업체 이음이 운영하는 싱글생활연구소는 지난해 12월12일부터 이달 4일까지 자사 서비스를 이용하는 20~30대 성인 1만166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다고 28일 밝혔다. 결과를 보면 재테크에 가장 방해가 되는 지출 항목으로 남성은 유흥비(46%)와 집세(15%), 교통비(14%)를 들었고 여성은 쇼핑비(33%), 유흥비·데이트비(20%), 식비(17%), 집세(16%) 순이었다. 지출할 때 가장 아까운 항목은 남성이 유흥비(36%), 교통비(16%), 집세(14%)로 재테크에 방해가 되는 항목과 비슷한 데 반해 여성은 유흥비·데이트비(20%), 집세(19%), 경조사비(16%) 순이었다. 쇼핑비가 아깝다고 답한 여성은 9%였다. 이음 싱글생활연구소 측은 "20~30대 미혼 남성은 유흥비나 데이트 비용이 재테크에 방해되고 아까운 지출이라고 생각하는 반면 여성은 쇼핑비가 재테크에는 방해되지만 품위 유지를 위해 필요한 것으로 간주해 아까워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남성의 36%, 여성의 43%가 재테크를 하는 이유로 '결혼자금 마련'을 들었다. 결혼자금 마련 외의 재테크 이유로 남성은 주택마련(25%), 노후대비(20%), 여행·미용·연애(15%), 빚청산(4%) 등을 들었고 여성은 노후대비(23%), 여행·미용·연애(20%), 주택마련(10%), 빚 청산(4%) 순이었다. 연봉 대비 재테크 비중은 지난해에는 전혀 못하거나 낮은 비중으로 하고 있다는 답변이 많았지만 새해에는 연봉의 절반 이상을 재테크에 쓸 계획이라는 응답자가 남성 21%, 여성 18%로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2013-01-28 18:29:17 박성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