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청년 53% "부모 도움 없이 '내 집 마련' 불가"
서울 청년의 절반 이상은 부모 찬스 없이는 내 집 마련이 가능하지 않다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연구원은 지난해 만 18~34세 청년 350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가구방문조사 결과를 분석해 1일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전국 응답자 3520명 가운데 서울 청년은 676명이다. 조사 결과 서울 청년 응답자의 53%는 '부모님 도움 없이 내 집 마련은 불가능하다'고 답했다. 현재 자가, 전세 보증금 등 주거 관련 비용을 부모가 부담한다고 답한 응답 비율은 44.4%로, 전국 평균 34.3%보다 10.1%포인트 높았다. 서울 청년 10명 중 7명 이상(73.9%)은 내 집 마련 욕구가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전국 평균 (68.6%)을 5.3%포인트를 웃도는 수치다. '자녀를 꼭 낳아야 한다'와 '결혼을 반드시 해야 한다'는 응답률은 서울이 각각 38.2%, 38.4%로, 전국 41.8%, 42.0%보다 낮게 조사됐다. 서울 청년은 내 집 마련이 필요한 가장 큰 이유로 '자산증식과 보전'(30.3%), '임대료 상승 부담'(28.0%)을 꼽았다. 전국 청년은 '이사 안 하고 살 수 있어서'(27.5%), '자산증식과 보전'(26.1%)을 중요한 이유로 들었다. 서울 거주 청년 가운데 내 집을 소유하고 있는 비중은 4.5%로 전국(7.8%)과 비교해 3.3%포인트 낮았다. 내 집 마련을 포기한 비중은 서울이 15.4%로 전국(10.9%)보다 4.5%포인트 높았다. 서울 청년이 생각하는 행복한 삶을 위한 요건 1위는 '자아성취와 목표의식'(23.9%)이었다. 전국 청년은 '경제력'(28.1%)을 가장 많이 꼽았다. 서울에 사는 청년이 일상에서 경험하는 부정적인 감정 경험은 '모든 일이 힘들었다'가 37.3%로 가장 많았다. 이어 '잠을 설쳤다'(33.9%), '뭘 해 나갈 엄두가 나지 않았다'(24.0%) 순이었다. 일주일간 혼점, 혼술 경험률은 서울 청년이 각각 65.6%, 21.3%로 전국 53.7%, 15.0%보다 각각 11.9%포인트, 6.3%포인트 높았다. 서울 청년 100명 중 2명(2.9%)은 방에서 안 나가거나 인근 편의점으로만 외출하는 '은둔형 고립자'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 중 32.0%는 은둔 기간이 3년 이상이었고, 은둔 계기는 '취업이 안돼서'(41.6%), '인간관계가 잘되지 않아서'(17.7%) 등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