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 보육교사 처우 개선에 목소리 낸 서울시민들
서울시가 어린이집에서 발생하는 사건·사고 예방을 위해 보육교사의 근무환경을 개선하고자 시민들과 머리를 맞댔다. 1일 서울시의 온라인 정책제안 플랫폼 '민주주의 서울'에 따르면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근무환경 개선을 위해서는 무엇이 바뀌어야 할까요?"라는 질문에 지난달 23일부터 이날 오후 3시까지 시민 256명이 아이디어를 냈다. 현재까지 나온 의견을 종합하면 교사 대 아동 비율 조정을 통한 보육교사 처우 개선 요구가 가장 많았다. 신모 씨는 "얼마 전에도 어린이집에서 안전사고가 일어나 부모님이 청원까지 한 일이 있었다. 그 부모님은 아이를 잃은 슬픔을 이겨낼 겨를도 없이 교사와 아동 비율을 조정해달라고 힘겹게 정부에 호소를 했는데도 이뤄지지 못했다"면서 "뭐 다 알면서 조사만 하냐"고 일갈했다. 신 씨는 "한 명도 못 봐서 어린이집에 의존하는 부모들이 많은데 만 1세 영아 5명을 혼자 다 볼 수 있겠느냐"면서 "에너지가 넘치는 유아들도 마찬가지다. 초등학교도 한 반에 20명이 안되는 데 유아 20명을 보라는 게 말이되냐"고 물었다. 공감수 1위를 기록한 이모 씨는 ▲오전 당직에 보조교사 배치 ▲CCTV 영상 보관일수 단축 ▲사무원과 휴가 인력 지원 ▲보육교사 월급·수당 인상 ▲상여금 지급 등을 제안했다. 이 씨는 "유보통합(유치원·어린이집 통합 관리)을 추진, 어린이집 선생님들도 근로자가 아닌 교사로 인정해달라"면서 어린이집과 유치원을 동일하게 지원해줄 것을 당부했다. 또 "CCTV 기록 저장일수를 30일로 축소해 교사인권을 지켜달라"면서 "부모의 오해 민원이 너무 많아 부모 교육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류 간소화, 원장평가제, 입소 전 학부모 교육 법제화, 보육교사 호봉제 도입을 제안한 박모 씨 의견이 두번째로 많은 지지를 얻었다. 그는 "국가와 원에서 요구하는 서류를 하나의 파일에 작성할 수 있게 해달라"면서 "바쁜 시간에 보육일지, 관찰일지, 전화상담일지, 영아행동 변화 및 발달평가, 학부모면담평가, 안전교육일지, 소방훈련일지 등 각각의 파일을 열어 기록하고 평가하는 일이 너무나도 번거롭다"고 털어놨다. 이어 "호봉제로 운영되는 어린이집에서 경력교사는 천대를 받거나 일을 하더라도 고용불안에 시달리게 된다"면서 "갈 곳 없는 경력교사들이 미지원 시설에 몰려 최저임금을 받으면서 일하고 있다"며 보육교사 호봉제 도입을 호소했다. 원장의 갑질 근절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김모 씨는 "어린이집 평가제가 교직원에 대한 인권과 복지를 다루곤 있으나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지적했다. 김 씨는 "평가제 당일 관찰자는 서류 점검과 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원장이 보육교직원 인권보호 등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지를 평가한다. 관찰자의 질문에 교사 100%는 원장이 인권보호와 처우 및 복지에 최선을 다한다고 답변한다. 왜? 익명보장이 안 되며 직장을 잃게 되니까"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참고로 평가에서 A등급을 받은 원인데도 아직도 교사의 입에 오르내리는 몇몇 원장이 있다"며 "아이들 보는 앞에서 반말하고 호통치는 원장, 가족 운영으로 인한 보육 공백을 평교사에게 떠넘기는 원장, 원장 재평가 때 교직원을 통해 본인의 업적과 원 운영에 관한 보여주기식 서류를 만들어내는 원장이 그 예"라고 덧붙였다. 그는 평교사가 원장을 평가할 수 있는 효율적인 제도 도입, 설문조사와 간담회로 현장의 목소리를 주기적으로 반영·점검할 것을 개선방안으로 제시했다. 시는 오는 12일까지 돌보는 사람을 잘 돌보는 사회를 만들기 위한 정책 제안을 받은 뒤 시민 의견을 바탕으로 보육교사 업무환경 개선 관련 종합대책을 세울 예정이다. 한마디 거들고 싶은 시민은 민주주의 서울을 통해 의견을 내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