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스마트폴 구축 운영 지침 수립해 시행
서울시가 도로시설물과 스마트서비스가 통합된 도시 인프라인 '스마트폴'의 구축 운영 지침을 수립해 시행한다. 우후죽순 생겨난 가로등·신호등·CCTV지주로 인한 도시 미관 저해를 막고 도로시설물의 운영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다. 9일 서울시에 따르면 도로시설물 안전 확보와 기술 수용성 제고를 골자로 하는 스마트폴 구축 운영 지침을 세워 이달부터 적용한다. 스마트폴이란 신호등·가로등·보안등 같은 도로시설물을 하나로 합치고 공공와이파이·사물인터넷·지능형CCTV 등 정보통신기술을 결합시킨 도시 인프라다. 서울시 도로시설물 현황에 의하면 관내 총 23만9610개의 도로시설물이 설치돼 있으며, 매년 4100~4900본의 등주·지주를 교체하거나 새롭게 만드는데 투입되는 비용은 389억825만4000~465억7978만8000원이다. 시는 도로시설물 약 24만본의 난립으로 구축·운영비가 증가하고 있으며 운영 효율성이 저하, 안전 위험이 있다고 진단했다. 이에 시는 자체적으로 스마트폴 구축운영 지침을 마련해 시행키로 했다. 도로시설물을 한데 모은 스마트폴을 확대해 구축 비용을 절감하고 운영 효율화를 도모한다는 목표다. 해당 지침에는 표준모델 10종과 스마트폴 운영·유지관리 방안, 스마트도시 기능 구현을 위한 한계 제원 등에 관한 내용이 담겼다. 시는 각종 등주·지주를 통합(스마트 기능 제외) 구축하면 연간 약 43억원(4500본 기준)을 아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시는 올해 구로구와 동작구에 스마트폴 110본을 설치한다. 이들 자치구는 국토부의 '스마트시티 솔루션 확산사업' 대상지로 선정된 곳이다. 시는 40억원(국비 20억원, 시비 6억원, 구비 14억원)을 들여 구로구에 가로등 스마트폴 40본, CCTV 스마트폴 30본을 구축하고 동작구에는 가로등 스마트폴 40본을 설치한다. 이와 함께 시는 관내 도로에 설치된 스마트폴을 활용한 기업 신제품 실증·상용화도 지원한다. 스마트폴 기반 자율협력주행, 상권·도시현상 분석 서비스, 민간연계 스트리트랩 환경 제공 등이 그 예다. 아울러 시는 다양한 도로환경에 적용 가능한 표준모델 수립으로 스마트폴 확장 기반을 강화하기로 했다. 여러가지 스마트기능과 미래 신기술이 도로 환경이나 필요에 따라 교체·통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시는 호환성과 상호연동성을 갖춘 서울시 스마트폴 표준모델을 만들어 특허를 출원해 지적재산권 확보에도 나선다. 오는 10월에는 스마트폴의 인지도와 스마트도시 서울의 위상 높이기 위한 스마트폴 브랜드 공모가 예정됐다. 시는 "도로시설물이 기본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안전, 복지, 환경, 시민 편의를 개선시키는 스마트도시의 핵심 인프라로 진화하고 있다"며 "서울 전역에서 공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스마트폴 구축 운영지침을 제작·확산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