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연휴, 서울서 발생한 화재 절반 이상이 '부주의' 때문
설 연휴 서울에서 발생한 화재 중 절반 이상이 부주의에 의한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는 31일 최근 3년간 설 연휴 기간에 발생한 사고유형 통계를 분석하고 이같이 밝혔다. 분석 결과 화재는 2016년 161건, 2017년 62건, 2018년 70건 발생했다. 화재 원인은 부주의가 172건(58.7%)으로 가장 많았다. 전기적 요인 66건(22.5%), 기계적 요인 18건(6.1%), 방화 9건(3%) 순이었다. 구조활동은 총 3282건으로 집계됐다. 잠금장치 개방이 475건(14.5%)으로 가장 많았다. 안전조치 425건(12.9%), 동물포획 333건(10.1%), 승강기 안전사고 175건(5.3%), 자연재난 150건(4.6%), 인명 갇힘 100건(3%), 위치추적 98건(2.9%), 자살추정 92건(2.8%), 수난 58건(1.8%)이 뒤를 이었다. 구급활동 유형별 환자이송 인원은 총 1만491명이었다. 복통 1481명, 구토 1343명, 교통사고 630명, 호흡곤란 513명, 요통 492명, 두통 467명, 의식장애 429명, 심정지 248명 순으로 나타났다. 설 당일은 복통이 358명, 구토가 307명, 교통사고 162명, 요통 147명, 호흡곤란 121명, 의식장애 120명, 두통 110명, 심정지 73명으로 집계됐다. 시 소방재난본부는 설 연휴가 시작되는 2월 1일 오후 6시부터 7일 오전 9시까지 '설 연휴 대비 특별경계근무'에 돌입한다. 연휴 기간 119구급대 150개대, 119 생활안전구조대 141개대(구조대24, 생활안전구조대 117)가 생활안전사고에 대비해 24시간 비상 대기한다. 산악 사고, 도로 정체 중 사고에 대비해 소방헬기 3대를 투입, 긴급 상황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한다. 시 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설 연휴 기간 중 당직 병·의원과 약국은 소방재난본부와 소방서 홈페이지, 24개 소방서 상황실, 서울종합방재센터 상황실에서 안내한다"며 "귀성길에 나서기 전에 전열기기의 콘센트를 뽑고, 가스레인지 위에 조리 중인 음식물은 없는지 확인해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