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스타 2016, 부진 우려 씻어내나
우려 반, 기대 반 속에 개막한 국제게임박람회 '지스타 2016'이 …흥행 기록을 세웠다. 20일 지스타 조직위에 따르면 19일까지 지스타 2016에 방문한 관람객은 전년보다 6% 늘어난 총 16만1908명이다. 목요일이던 1일차 3만7515명, 2일차 4만7447명에 이어 주말인 토요일 7만6946명이 지스타 현장을 방문했다. B2B관 유료 바이어 방문객 역시 개막 3일차까지 전년 대비 6.8% 증가한 총 1902명으로 집계됐다. 조직위는 20일 폐막까지 22만명 이상이 방문할 것으로 기대했다. ◆불참·모바일·지방… 우려 컸던 지스타 이번 지스타는 여러 이유로 부진이 예상돼 업계 관계자들의 우려가 컸다. 우선 국내외 대형 게임사들의 불참이 원인으로 꼽혔다. 엔씨소프트, 네시삼십삼분, 위메이드, 네오위즈게임즈, 스마일게이트, 선데이토즈, 넥스트플로어, 블리자드엔터테인먼트, 라이엇 게임즈 등 주요 업체들이 B2C관에 참여하지 않았다. 이들 업체는 신작 개발·발표 일정 등을 이유로 불참했지만 업계 관계자는 "B2C관 독립 부스 가격이 95만원, 조립 부스 가격은 170만원"이라며 "100부스 규모로 참석할 경우 1억원 가량 드는데 그만한 마케팅 효과를 얻기는 어렵다는 판단"이라고 평가했다. 게임 트렌드가 온라인에서 모바일로 넘어온 것도 하나의 이유다. 게임업계에 따르면 모바일 게임은 온라인 게임에 비해 개발인력이 적게 구성된다. 작업량이 비교적 적기 때문이다. 게임업계가 침체되며 연구개발에 투자하는 금액이 줄고 있는 것도 작용했다. 이러한 문제로 모바일 게임은 출시 일정을 6개월~1년 전부터 지스타 기간으로 확정하고 계획을 세우기 어렵다. 게임을 내놓더라도 이용자 충성도가 낮기에 지스타 마케팅을 통한 지속적인 매출 확보도 쉽지 않다. 지역적 한계도 문제시 됐다. 대부분의 게임사와 인구의 절반이 수도권에 위치한 상황에서 부산에 전시관을 차리고 관람객을 유치하기 힘들다는 불만이다. 지스타 관람을 위해 서울에서 수능을 마치고 왔다는 한 고등학생은 "수능 후에는 마음껏 놀아도 된다는 부모님 덕분에 KTX 표를 미리 구해놓고 숙소도 마련해 지스타에 올 수 있었다"면서도 "KTX 표를 못 구해 아쉬워하는 친구들도 많았다. 표를 구하더라도 KTX 비용만 따져도 왕복 10만원 수준인데 비싼 숙소와 식비도 부담"이라고 토로했다. ◆우려 불식하며 흥행 성공…비결은 VR 하지만 지스타 2016은 관람객이 늘어나며 이러한 우려를 씻어냈다. 업계 관계자들은 다양한 가상현실(VR) 게임이 관람객 유치에 큰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 지스타에서 VR 게임의 선봉에 선 것은 소니, 룽투 등 외국계 기업이다. 소니는 지스타 조직위가 꾸린 VR 특별관을 플레이스테이션4와 전용 VR로 꾸몄다. 룽투코리아는 VR 격투게임 '파이널포스'를 선보여 눈길을 끌었다. 하드웨어 기업들도 전면에 나섰다. HTC는 지스타에서 자사 VR기기 '바이브'의 국내 출시를 공식 발표하며 홍보에 나섰고 비주얼컴퓨팅 기업 엔비디아도 자사 그래픽카드로 구현한 시스템에서 오큘러스리프트, 바이브 등의 체험존을 운영했다. 반면 한국 기업인 넥슨과 넷마블, 웹젠 등은 모바일·PC 신작 게임 시연에 집중했다. 특히 B2C관 중앙에 400부스를 마련하며 지스타의 중심으로 거듭난 넥슨은 당혹스럽다는 반응을 숨기지 않았다. 넥슨은 지스타에 앞서 마련된 프리뷰 행사에서 "VR 게임을 내놓으려면 하드웨어 발전이 더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지스타 현장에서 박지원 대표는 "(지스타 현장이) 생각과는 너무 달랐다"며 "내부적으로 준비하는 것들은 있지만 아직 외부에 보여줄 수준은 안 된다. 하지만 좀 더 고민해야겠다"고 말했다. 이정헌 부사장 역시 "이렇게 많이 나올 줄 몰라 깜짝 놀랐다. 긴장해야겠다"는 소감을 전했다. 한편 지스타 조직위는 내달 개최지 재선정에 들어간다. 부산 외에 일산, 성남 등이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지난 17일 서병수 부산시장은 이러한 경쟁을 의식한 듯 지스타 기자실을 찾아 "내년에도 잘 부탁한다"며 "지스타는 부산에서 계속 열릴 것"이라고 유치 의지를 밝혔다. 이번 지스타 흥행은 개최지 재선정에도 영향을 끼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