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민주-안측 통합 '3일간의 극비 프로젝트'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의 통합 신당 창당은 논의가 본격화된 지 불과 사흘만에 결정됐다. 김한길 민주당 대표는 지난달 28일 오후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서 '기초선거 무공천' 방침을 결정한 뒤 이를 안철수 새정치연합 창당준비위원회 중앙운영위원장에게 전화를 걸어 설명하면서 정식 제안했다. 김 대표와 안 위원장은 3·1절인 1일 오전과 밤 두 차례 만나 논의한 끝에 2일 오전 0시40분께 '제3지대 신당'을 통한 두 세력의 통합 추진에 전격 합의했다. 민주당은 2일 오전 긴급 최고위회의를 열어 이를 만장일치로 의결했고, 곧바로 김 대표와 안 위원장의 공동 기자회견을 통해 발표했다. 민주당 최재천 전략홍보본부장은 "기초공천을 둘러싸고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에 대해 초선·재선·3선과 모임을 각각 가졌는데 '야권 대통합'에 대한 강력한 요구가 있었다"며 "기초공천 폐지를 계기로 안 의원 측과 새정치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 가능하리라 보고 전화로 통합을 제안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새정치연합도 이날 오전 비공개회의를 열어 격론 끝에 신당 창당을 추인했다. 김 대표와 안 위원장은 이어 국회 사랑재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신당 창당을 통한 통합을 선언, '3일간의 극비 프로젝트'를 공개했다.

2014-03-02 13:38:45 김민준 기자
기사사진
'제3지대 신당'…창당 안된 안측 고려한 방식

지방선거를 90여일 앞두고 민주당 김한길 대표와 새정치연합 창당준비위원회 안철수 중앙운영위원장이 2일 '제3지대 신당' 창당을 선언함에 따라 양측은 숨가쁘게 통합 수순을 밟아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은 일단 6·4 지방선거 전 창당을 목표로 통합 과정을 밟기로 했다. 양쪽에서 5대 5 비율로 창당준비단을 최대한 이른 시일 안에 구성해 창당 작업에 들어갈 방침이다. 지방선거에 통합 후보를 내놓으려면 이달 안에 창당과 통합을 마쳐야 한다고 보고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아직 창당준비위원회 단계인 새정치연합과 달리 민주당은 전당대회를 열어 정당 해산과 제3지대 신당 합류를 결의해야 한다. 이후 제3신당 중앙당 창당대회를 거쳐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신고하면 야권 통합 작업이 완료된다. '제3지대 신당'은 새정치연합이 아직 창당준비위원회 단계에 머물러 있다는 점과 민주당으로의 흡수통합을 우려해온 안 위원장을 배려한 해법으로 분석된다. '당 대 당'의 합당이 불가능한 만큼 양쪽이 공동 참여하는 창당준비단이 '제3지대'에 별도의 신당을 먼저 발족한 뒤 새정치연합과 민주당이 합류하는 밑그림을 그린 것이다. 이 경우 새정치연합의 자체 창당 작업은 사실상 중단된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김한길 대표는 회견에서 "제3지대 신당은 정강·정책을 새롭게 마련하고 당헌·당규를 새롭게 마련해 새정치의 기반을 분명히 할 것"이라면서 "새정치연합은 아직 정당 형태를 갖추고 있지 않기 때문에 먼저 제3지대 신당에 합류하고, 민주당이 그 신당에 합류함으로써 통합이 실현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2014-03-02 13:37:33 김민준 기자
방통위, KBS 수신료 4000원 인상안 통과 논란 확산

방송통신위원회가 의결한 'KBS 수신료 인상안'을 놓고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방통위는 지난달 28일 이경재 위원장 주재로 전체회의를 열고 KBS 수신료를 현행 월 2500원에서 월 4000원으로 올리고 광고를 단계적으로 축소하는 내용의 '수신료 조정안에 대한 검토의견서 제출에 관한 건'을 의결했다. 이날 안건은 표결에서 전체 5명의 위원 중 여당측 3명 찬성, 야당측 2명 반대로 통과됐다. 그동안 방통위는 KBS의 재원을 안정시켜 공영성·공정성을 강화하고, 광고를 축소시켜 타 방송사의 콘텐츠 역량 강화로 연계될 수 있다며 수신료 인상의 필요성을 역설해 왔다. 이번 인상안에서도 방통위는 2017~2018년 광고를 축소하고 2019년까지 광고를 완전 폐지하는 내용을 포함했다. 또한 수신료에서 EBS 지원 비율을 현행 2.8%에서 7%까지 늘린다는 내용도 담았다. 다만 이 같은 인상안이 통과될 지 여부는 여전히 미지수다. 앞서 2007년과 2010년에도 KBS 수신료 인상안은 국회 상정됐다가 폐기된 바 있으며, 현재 여론도 인상안에 대해 좋지 만은 않은 상황이다. KBS 수신료 인상과 관련, JTBC가 여론조사기관 현대리서치에 의뢰해 최근 성인 7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수신료 인상 찬성은 19.8%, 반대 73.4%로 반대 의견이 압도했다. 방통위 내부에서도 야당 추천 의원들의 반대속에 진행된데다 야당에서도 "수신료 인상은 국민의 부담과 관련된 문제인 만큼 방송의 공정성이라는 국민 이익이 담보되는지 철저하게 따져보겠다"며 부정적인 의사를 보이고 있어 과연 KBS 수신료 인상안이 통과될 지 귀추가 주목된다. /이재영기자 ljy0403@

2014-03-02 13:09:19 이재영 기자
기사사진
'MWC 2014' 성황리 폐막…우리 기업 활약상에 전세계 '주목'

세계 최대 모바일 전시회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14'가 지난달 27일(현지시간) 성황리에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다음 세대를 창조하라(Creating What's Next)'를 슬로건으로 내걸고 진행된 이번 행사에는 전 세계 1800여 기업, 7만5000여 명이 넘는 참가자들이 전시 및 각종 컨퍼런스에 참여했다. 이번 행사에서 단연 우리나가 기업들의 활약상은 돋보였다. 삼성전자, LG전자,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주요 기업들은 이번 'MWC 2014'에서 앞선 정보통신기술(ICT)을 바탕으로 혁신적인 제품과 서비스를 선보였다. 특히 'MWC 2014'에서 가장 주목받은 것은 삼성전자의 '갤럭시S5' 언팩(제품출시) 행사였다. 삼성전자는 행사 첫 날 전략 스마트폰 갤럭시S5와 함께 '삼성 기어 핏', '기어2', '기어2 네오' 등 웨어러블 기기도 선보였다. 국내외 취재진과 참관객 등 5000여명이 행사장에 몰리며 갤럭시 시리즈의 인기를 입증했다. 비록 일각에선 '기대보다 혁신적이지 못하다'는 평을 듣기도 했지만, '이용자 편의를 위한 스마트폰 본연의 기능에 충실했다'는 반응을 받으며 향후 시장 반응을 기대하게 했다. 삼성전자의 갤럭시S5와 삼성 기어핏은 MWC 기간 중 12개의 '최고 제품상'을 거머쥐는 모습도 보였다. LG전자 역시 'LG G프로2'를 선보이며 스마트폰 시장에서 국내 제조사의 앞선 기술력을 글로벌 시장에 입증했다. LG전자는 G프로2, 웨어러블 기기 '라이프밴드 터치' 등을 앞세워 '글로벌 모바일 어워드'에서 '가장 혁신적인 제조사'에 선정되는 영예를 안기도 했다. SK텔레콤과 KT 등 국내 이동통신사업자도 글로벌 통신시장에서 뛰어난 롱텀에볼루션(LTE)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SK텔레콤과 KT는 광대역 LTE, LTE-A 상용화 및 3밴드 LTE-A 기술 등 첨단 네트워크 기술을 비롯해 다양한 LTE 요금제와 특화 서비스 등 종합적인 LTE 경쟁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모바일 어워드'에서 '최고의 LTE 공헌상'을 나란히 수상했다. 'MWC 2014' 기조연설에 이석우 카카오 공동대표가 기조연설자로 나선 데에도 업계가 주목했다. 대게 영향령 있는 이동통신사나 제조사 CEO가 맡아온 기조연설을 국내 벤처기업인이 맡았다는 것은 그만큼 카카오의 사업모델이나 카카오톡 서비스의 글로벌 위상이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업계 관계자는 "올해 MWC에서는 국내 제조사, 통신사, IT 중소기업들이 글로벌 모바일 시장에서 앞선 기술력을 선보이는 계기가 됐다"며 "전세계가 우리 기술력에 주목하는 가운데 이번 MWC가 국내 대기업뿐 아니라 IT 중소기업들에게도 글로벌 시장 진출 및 확대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2014-03-02 13:07:05 이재영 기자